오늘날 공공박물관은 그 국가의 문화의 수준을 가늠하는 척도가 되는 문화기반시설로서 가치를 지닌다. 인류가 살아온 역사를 통해 남긴 문화유산, 유물 등을 보존, 연구, 전시하는 것이 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038902
서울: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학위논문(박사) --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 산업디자인학과 , 2016. 2
2016
한국어
서울
Research of referencee model for the public museum exhibition design consideration calculation
xi, 174 p.p.: 삽도; 26 cm.
경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유보현
참고문헌 : p.117-12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공공박물관은 그 국가의 문화의 수준을 가늠하는 척도가 되는 문화기반시설로서 가치를 지닌다. 인류가 살아온 역사를 통해 남긴 문화유산, 유물 등을 보존, 연구, 전시하는 것이 기...
오늘날 공공박물관은 그 국가의 문화의 수준을 가늠하는 척도가 되는 문화기반시설로서 가치를 지닌다. 인류가 살아온 역사를 통해 남긴 문화유산, 유물 등을 보존, 연구, 전시하는 것이 기본적인 박물관의 모습이었다면, 오늘날의 박물관은 역사, 생활문화, 과학기술, 항공기술, 우주과학, 첨단 정보통신기술, 유아교육 등 다양한 주제를 배경으로 한 첨단 연출 기술들을 수용하는 방법으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현대의 전시산업은 과거 보수적인 전시방법에서부터 첨단 과학기술과 영상기술들을 복합적으로 활용하는 종합적인 안목과 전문성을 요구하고 있다. 단순한 관람의 형태에서 벗어나 눈으로 보고, 만지고, 체험하고, 감정을 느끼는 방식으로의 변화를 반영하는 등 패러다임 변화를 수용하며 창의적인 기획력과 디자인의 전문성을 발휘해야 하는 시대가 되었다. 이렇듯 고도의 전문성을 필요로 하는 전시산업은 디자인 전문 산업으로서 분류 기준이 아직 없는 상태에 있으며, 이로 인해 전시디자인의 고유한 가치와 대가 기준에 따른 설계비 보장이 미흡한 실정에 있다.
법과 제도에서 규정하고 있는 전시산업의 현황은 우리나라 직종 분류에서 디자인 전문분야로서 등록되어 있지 않으며 전문 건설업의 한 분야인 ‘실내건축 공사업’으로 분류되어 있다. 또한, 설계 대가기준은 ‘엔지니어링 사업 대가 기준’을 적용하고 있으며, 전시산업의 특성에 적합한 대가 산정기준이 없어 연관 산업인 건설, 엔지니어링 산업의 대가 기준을 준용하는 방식으로 운용하고 있다. 현재의 법과 제도상에서 설계 대가 기준을 정하는 방식은 ‘공사비 요율 방식’과 ‘실비 정액 가산방식’ 의 두 가지 방식이 있다. 공사비 요율 방식은 총공사비의 비율로 정해진 기준에 따라 설계 대가를 정하고 있으나, 사업의 난이도, 설계변경, 추가업무 발생 등 변수에 대한 조정이 적용되지 못하는 점과 실제 투입되는 인력을 반영할 수 없는 구조를 하고 있다. 미국, 일본 등 선진 외국의 경우도 대부분 공사비 요율 방식을 금지하거나 대가 기준으로 활용하지 않고 있으며, 실비 정액 가산방식을 국제적인 표준으로 활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일부 댐, 항만, 도로, 철도 상수도 공사에 적용하고 있거나 이 방식으로 변화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연관 산업의 선행연구 결과를 보면 실비 정액 가산방식 또한 완벽한 제도는 아니며 실제 투입 인력을 집계하고 이 기준을 대가산정 기준으로 해야 한다는 주장과 개선 방안들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전시산업의 법과 제도의 규정을 고찰하고, 전시사업의 발주 사례의 조사와 분석을 통하여 대가 산정을 위한 전시디자인의 업무 기준과 함께 업무 분류체계를 정립하고, 이 체계를 기반으로 대가 산정의 기준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조달청을 통한 발주 사례를 조사, 분석하여 전시산업의 실제 대가 기준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조사방법으로는 ‘박물관’과 ‘전시시설’을 키워드로 조달청 나라장터에서 검색하였으며 전시사업 대상만을 분류하여 발주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는 전체 발주건 중에서 57.4%가 ‘기술제안입찰’ 방식으로 발주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내용을 분석해 볼 때 전문회사는 결국 공사를 통해 모든 수익을 내는 구조로써 이는 수익구조 악화로 귀결된다.
전시사업의 특성상 기술제안 입찰에서 요구되는 기술제안서의 범위는 전시 기본방향과 연출 기본방향, 스토리텔링 기법, 설계도면, 분야별 연출방법, 관리, 운영 프로그램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 단계에서 공공박물관의 전반적인 사항을 결정하는 기초 작업이 모두 이루어지며, 기술제안서의 과도한 업무량에 대한 조정과 낙찰자, 탈락자에 대한 합리적인 보상 기준과 시행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발주제도와 대가에 대한 문제는 민간 전문업계의 개선 노력이 부족한 현실에서 오는 문제이며, 전문회사의 양성과 전시 전문 인력의 육성을 위하여 개선되어야 할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관 산업의 선행연구 결과를 분석하여 전시디자인의 업무 기준과 업무 분류체계를 수립하였다. 전시디자인 업무 기준을 설정하기 위해 선행연구와 실무 자료를 기준으로 전시디자인의 진행 단계별 업무 기준을 설정하고, 기본 요소들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기본요소들을 기존의 표준 업무 기준에 대입하여 적정성과 객관성을 확보하였다. 이렇게 정리된 구성 기본요소들을 전시디자인의 진행 단계별 코드 체계를 적용하여, 계획설계, 기본설계, 실시설계, 현장설계의 4단계 별로 기준 업무체계를 설정하고, 도달 목표로써 항목과 지표를 최적화하였다.
또한, ‘설계업무 분류체계’를 기반으로 대가산정의 구성 요소들을 도출하고 대가산정의 기준모델을 수립하였다. 대가산정의 구성 요소는 전시사업의 특성, 위치, 기간, 연출 매체, 성격, 전시대상물, 첨단전시기법, 과학기술 관련 전시 등 다양한 테마를 중심으로 업무량의 많고 적음, 난이도 등 가중치의 요소들을 종합하여 6가지 구성요소를 정리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구성 요소별 가중치를 정량적으로 규정할 수는 없는 한계점을 갖고 있는데, 그 이유는 가중치의 요소를 정하는 것은 법과 제도로서 기준이 정해져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중치의 요인들을 도출하고 결과로써 제시하였으며 이는 실제 대가산정의 구성요소로써 활용하여야 한다. 가중치 요인들은 사회적인 합의를 통한 제도화 단계를 거쳐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전시 전문회사들의 협의체를 구성하여 투입되는 인력과 전문 인력의 등급별 기준 등 다양한 각도에서 제도화를 위한 기초 작업이 요구된다. 이러한 기초 작업들이 선행되어야 대가 산정의 제도화가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공공공사의 발주제도와 계약제도, 대가 기준 등이 민간산업의 기준이 되는 현실에서 본 연구 결과인 ‘설계업무 분류체계’와 이를 기반으로 한 ‘대가산정 기준모델’은 주거공간, 상업공간, 디스플레이 디자인 분야 등 민간디자인 산업의 전반에 적용하고 시행할 수 있는 기준모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1 문형욱, 학문적, 정체성, 전시학의, "확립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예술포럼』, Vol.7, 2010
2 이난영, "「박물관학 입문」", 삼화출판사, 삼화출판사, 2006
3 이보아, "『박물관학 개론』", 김영사, 김영사, 2000
4 강인애, "박물관 교육의 다양성", 문음사, 문음사, 2010
5 최종호, "『한국박물관교육학』", 한국박물관교육학, 문음사, 2010
6 최예정, "스토리텔링과 내러티브", 글누림, 글누림, 2005
7 조동성, "「디자인혁명 디자인경영」", 디자인네트, 2005
8 국성하, "「우리박물관의 역사와 교육」", 혜안, 2007
9 오미영, 정인숙, "「커뮤니케이션의 핵심 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10 김점산, 조응래, "공공 발주제도의 문제점과 대안", 경기연구원, 『이슈 & 진단』. 제150호, 2014
1 문형욱, 학문적, 정체성, 전시학의, "확립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예술포럼』, Vol.7, 2010
2 이난영, "「박물관학 입문」", 삼화출판사, 삼화출판사, 2006
3 이보아, "『박물관학 개론』", 김영사, 김영사, 2000
4 강인애, "박물관 교육의 다양성", 문음사, 문음사, 2010
5 최종호, "『한국박물관교육학』", 한국박물관교육학, 문음사, 2010
6 최예정, "스토리텔링과 내러티브", 글누림, 글누림, 2005
7 조동성, "「디자인혁명 디자인경영」", 디자인네트, 2005
8 국성하, "「우리박물관의 역사와 교육」", 혜안, 2007
9 오미영, 정인숙, "「커뮤니케이션의 핵심 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10 김점산, 조응래, "공공 발주제도의 문제점과 대안", 경기연구원, 『이슈 & 진단』. 제150호, 2014
11 금진우, "디자인 산업과 디자인 정책의 기능변화", 한국일러스트학회, 『조형미디어학회, 9권 2호, 2006
12 백령, "박물관교육의 새로운 개념과 범위 설정", 한국박물관교육학회, 『박물관교육연구』, 창간호, 2007
13 강요된, 안우성, "컨소시엄은 정당한가, 『건축과 사회』", 가을 겨울, 2013
14 양현미, "박물관 연구와 박물관 정책,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15 조동성, "“21세기 디자인 산업의 새로운 분류방법”", 『경영논집』제35권, 1호, 2001
16 김지엽, "발주제도 정비의 쟁점과 과제, 『건축과 사회』", 봄 여름, 2013
17 박수경, "공공디자인 사업 수행 프로세스 연구, 조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8 Philip Hughes, "권순관 역, 「전시 디자인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대가, 2012
19 강태임, "전시 디자인의 인터랙티브 커뮤니케이션 유형 분석", 한국디자인지식학회, 『디자인지식저널』, Vol.32, 2014
20 김규철, "국가경쟁력으로서의 공공디자인의 문화정체성 연구", 한국디자인지식학회, 『디자인지식저널』, Vol.17, 2011
21 유재엽, 임채진, "박물관 전시공간에서의 관람자 공간파악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공간 건축학회 논문집』, 통권 제22호, 2008
22 유재엽, 임채진, "박물관 전시공간의 시각운동과 가시영역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 자인학회 논문집』, 통권85호, 2011
23 조혜리, "공간디자인 산업의 디자인 정책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7권 2호 통권20호, 2012
24 배봉균, "박물관의 기능과 역사교육 프로그램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25 Michael Belcher, "신자은 / 박윤옥 역, 「박물관 전시의 기획과 디자인」", 예경, 2006
26 홍승일, "전시사업관리 프로세스 및 수행체계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 학회 논문집』, 제19권, 1호 통권 78호, 2010
27 성윤정, "공공디자인의 공공성(公共性) 개념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28 안용식, "건설업 사전입찰제도(PQ:Pre-Qulitification)의 개선에 관한 연구", 배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29 김대원(Kim, Daewon), 박원준(Park, Wonjun), 유상록(Yoo, Sangrok), 김광희(Kim, Gwang-Hee), 신윤석(Shin, Yoonseok), 신대웅(Shin, Dae-Woong), "전문건설공사의 발주사례분석을 통한 입찰업무의 개선방안", 한국건축시공학회, 『한국건축 시공학회지』, 제15권 제5호, 2015
30 조혜리, "공간디자인산업의 디자인정책과 법제 개선방향,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31 윤태석, "한국 박물관의 현황과 그 진단을 통한 정책 제언,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32 김태칠, "전시산업의 국제경쟁력 평가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33 김경훈, 김일석, "전시산업 활성화를 위한 전문인력 양성 및 인프라 구축방안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문화전시디자인연구소, 『한국과학예술포럼』, Vol.6, 2010
34 최명식, "한국디자인 행정체계의 개편과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9
35 김선아, "「디자이너의 디자인경영 : 디자인여행을 통해 세상과 소통하기!」", 비쥬얼스토리공장출판부, 비쥬얼 스토리, 공장출판부, 2009
36 권영태, "공공발주 공동주택 디자인 향상을 위한 제도개선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0
37 진경호, "설계 등 용역사업의 실비정액가산방식 도입현황, 한국건설관리학회", 『건설기 술 및 관리동향』, 제10권, 제1호, 2009
38 문정묵, "미술관 전시 공간 구조의 시대적 의미 변화에 관한 해석, 홍익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2004
39 강승희, "가격입찰로 설계자를 선정하는 입찰제도는 공정한가, 『건축과 사회』", 가을 겨울호, 2013
40 심은주, "디자인문화 확산을 위한 국내 디자인 진흥정책의 유형과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제22권 제3호, 2013
41 박정희, "전시디자인의 영상 매체 활용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7권, 제2호", 통권14호, 2007
42 김용미, "공공발주 사업에서 공정한 건축설계비 보상과 대가 기준의 선진화를 위한 제언", 대한건축학회, 『건축』, 57권 (12), 2013
43 박신의, "한국의 박물관 건립 현황 분석에 따른 박물관 건립 계획(Museum Planning) 의 필요성", 한국문화정책개발원, 『문화정책논총』제22집, 2009
44 마정혜, "사회적 자본에 기반한 체험콘텐츠 디자인이 지역 과학관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45 안광선, "박물관교육 평가기준 개발 연구: 가드너의 미래를 위한 다섯가지 마음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2011
46 김은영, "영국의 뮤지엄 평가 제도의 정책적 활용 방안-박물관 평가제도 도입방안 선도연구", 세미나, 『한국박물관협회』, 2009
47 김태완, "디자인 성과 극대화를 위한 디자인 진흥체제 및 진흥모델에 관한 연구, 홍익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48 임채진, 홍승일, "전시사업관리 사업 프로세스 구축을 위한 기반 연구, 『대한건축학 회논문집』, 제27권", 제11호(통권277호), 2011
49 장은경, "디지털 환경의 전시 콘텐츠 시뮬레이션 연구 -의료정보 콘텐츠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50 박무호, 임채진, "시대 사조적 변화에 부응하는 뮤지엄의 개념과 공공박물관 디자인 의 변용에 관한 고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통권44호, 년, 2004
51 홍승일, "전시사업관리를 적용한 제작프로세스 체계 구성에 관한 연구,『대한건축학 회논문집』", 계획계 제28권 제7호(통권285호), 년, 2012
52 정문종, "공공 기술용역 발주제도의 비효율성: 사업수행능력평가 등 입낙찰제도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회계학회, 『회계저널』, 제14권 제2호, 년 6월, 2005
53 변추석, 천정임, "우리나라의 디자인 경쟁력 강화를 위한 디자인정책 연구-이탈리아 의 Clusters system을 중심으로", 『디자인학연구』통권 제48호. Vol.15, 2001
54 문형욱, 이영아, "“‘전시’의 역사적 발전과 전시학의 가능성: 전시의 개념정의와 전시 유형 구분을 중심으로.”", 『한국과학예술포럼』, Vol.4,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