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 참여 정도에 따른 정서지능 및 친사회적 행동 차이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667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the rough-and-tumble play among preschoolers according to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social behavi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50 preschoolers aged four to five years old. 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the rough-and-tumble play among preschoolers according to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social behavi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50 preschoolers aged four to five years old. A questionnaire which are rough-and-tumble play, emotion intelligence, pro-social behavior, and a coping checklist was given to the teachers. From the 350 questionnaires returned 300 were finally analyzed based on sufficient data.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a frequency analysis and t-test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eschooler``s rough-and-tumble play most frequently displayed was running and chasing in which boys we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than girls.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e preschoolers emotion intelligence according to their level of rough-and-tumble play. Preschoolers who participated in more rough-and-tumble play showed more emotion intelligence than those who participated in less rough-and-tumble play. These differences in emotional intelligence included: more appraisal and expression of self emotion, more developed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 and more developed relationship with their peers.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e preschooler’s pro-social behavior according to their level of rough-and-tumble play. Preschoolers who participated in more rough-and-tumble play showed better pro-social behavior than those who participated in less rough-and-tumble play. These differences in pro-social behaviors included: a higher likelihood to help others, active communication, a higher willingness to help, higher comfort levels of proximity, more willing to share, and a deeper display of empath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 참여 정도에 따라 정서지능과 친사회적 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상도와 경기도에 소개하고 있는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원 ...

      본 연구는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 참여 정도에 따라 정서지능과 친사회적 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상도와 경기도에 소개하고 있는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4, 5세 유아 300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 정서지능, 친사회적 행동의 측정은 거친 신체놀이 11문항, 정서지능 50문항, 친사회적 행동 42문항으로 구성된 교사용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 참여 빈도를 알아 본 결과, 유아들은 거친 신체놀이에서 도망가기와 쫓기를 가장 많이 하였고, 몰래 다가가 놀래키기를 가장 적게 하였다. 또한 거친 신체놀이에 따라 대한 유아 성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남아가 여아보다 거친 신체놀이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 참여 정도에 따라 정서지능을 알아본 결과, 거친 신체놀이 참여도가 높은 집단의 정서지능의 점수가 더 높았다. 셋째,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 참여 정도에 따라 친사회적 행동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거친 신체놀이 참여도가 높은 집단의 친사회적 행동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선미, "협동적 신체활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 김성재, "잡기놀이 중심의 거친 신체놀이가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361-387, 2011

      3 김영옥,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평가 척도 개발 연구" 한국아동학회 24 (24): 105-118, 2003

      4 정미라,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능력과 유치원 적응력 간의 관계"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4 (14): 141-168, 2010

      5 전소영, "유아의 성에 따른 거친신체놀이에 대한 부-모간 인식 비교"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6 유민임, "유아의 성별에 따른 대인문제해결력과기질과의 관계" 27 : 1-16, 2005

      7 강상,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와 아버지의 애정적 양육태도 : 정서지능과대인문제 해결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 13 (13): 329-356, 2013

      8 박화윤, "유아의 대인관계 형성능력에 미치는 정서조절능력과 대인문제해결사고의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3 (13): 5083-5090, 2012

      9 강영식,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와 대인문제해결력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189-202, 2013

      10 이윤희,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 유선미, "협동적 신체활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 김성재, "잡기놀이 중심의 거친 신체놀이가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361-387, 2011

      3 김영옥,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평가 척도 개발 연구" 한국아동학회 24 (24): 105-118, 2003

      4 정미라,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능력과 유치원 적응력 간의 관계"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4 (14): 141-168, 2010

      5 전소영, "유아의 성에 따른 거친신체놀이에 대한 부-모간 인식 비교"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6 유민임, "유아의 성별에 따른 대인문제해결력과기질과의 관계" 27 : 1-16, 2005

      7 강상,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와 아버지의 애정적 양육태도 : 정서지능과대인문제 해결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 13 (13): 329-356, 2013

      8 박화윤, "유아의 대인관계 형성능력에 미치는 정서조절능력과 대인문제해결사고의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3 (13): 5083-5090, 2012

      9 강영식,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와 대인문제해결력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189-202, 2013

      10 이윤희,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1 우진아,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놀이 양상"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2 마혜린,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3 노은아,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 참여정도에 따른정서조절 능력과 자아탄력성의 차이"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101-119, 2012

      14 이완희,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 지원과정에서 나타난 신체놀이의 변화와 의미"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413-436, 2010

      15 왕혜원, "유아의 거친 신체 놀이의 유형과 사회적 힘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2

      16 김영아, "유아의 거친 신체 놀이와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7 김현숙, "유아의 거친 신체 놀이와 사회성과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8 구명실, "유아의 거친 신체 놀이와 공격성과의 관계"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9 고정곤, "유아사회교육" 양서원 2011

      20 박창옥, "유아를 위한 신체접촉놀이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2

      21 고여훈, "유아들의 거친 신체 놀이 양상과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 한국아동학회 31 (31): 75-90, 2010

      22 전미희, "영유아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교사의인식과 바람직한 교육 적 접근방법" 경기대학교 2013

      23 오도희, "어머니의 양육태도, 자기조절력, 대인문제해결력의 관계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4 이숙재, "어린이의 거친 신체놀이와 사회적 능력연구" 19 (19): 131-140, 1998

      25 이정숙, "어린이들의 거친 신체놀이" 22 : 95-106, 2002

      26 최미숙, "실외 자유놀이시간에 나타나는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와 리더십과의 관계"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2 (12): 91-112, 2013

      27 박창옥, "신체 접촉 집단 놀이가 유아의 정서 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0 (10): 1-17, 2010

      28 김영아, "바깥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거친 신체 놀이 양상 및 관련 변인 분석" 한국생활과학회 16 (16): 945-955, 2007

      29 윤영희, "만 5세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또래 유능성, 자기 역량지각의 예측변인"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11

      30 조경덕, "대인관계와 커뮤니케이션" 동문사 2012

      31 정방자, "대인관계와 정신역동" 이문출판사 2001

      32 Johnson, I. E., "놀이, 발달, 유아교육" 아카데미 프레스 2006

      33 이지영, "남여 유아의 거친 신체 놀이와 또래 유능성과의 관계"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34 이지영, "남녀 유아의 거친 신체 놀이와 또래유능성 및 또래인기도와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93-112, 2008

      35 장현선, "그림책을 연계한 감성교육활동이 만 3세 유아의 정서지능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6 김경희, "교사용 유아정서지능 평정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1998

      37 하희연, "교사가 인식한 남아의 거친 신체놀이와 또래놀이 행동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8 서정아,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생각과 교수전략"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201-224, 2013

      39 이미영,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부모 인식과 양육태도의 관계"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40 Smith, P. K., "The ecology of preschool behavior" Cambrige University Press 1980

      41 Ladd, G. W., "Social networks of popular, average, and rejected children in school settings" 29 : 283-307, 1983

      42 Humphreys, A. P., "Roughand-tumble, friendship, and dominance in schoolchildren : Evidence for countinuity change with age" 58 : 201-212, 1987

      43 이시자, "Rough-and-tumble 놀이에 관한연구: 6세 아동의 유치원 바깥놀이 중심으로" 삼성복지재단 1998

      44 Smith, P. K., "Rough-and-tumble play, aggression and diminanse : Perception and behavior in children’s encounters" 33 : 271-282, 1990

      45 Fladers, J. L., "Rough-and-tumble play and the regulation of aggression : An observational study of father-child play dyads" 35 : 285-295, 2009

      46 DiPietto, J. A., "Rough and tumble play : A fuction of gender" 17 (17): 50-58, 1981

      47 Humphreys, A. P., "Play in animals and human" Basil Blackwell 241-266, 1984

      48 Isengerg, J., "Play : A necessity for all Children" 64 (64): 138-145, 1998

      49 Garvey, C., "Play" Harvard University Press 1977

      50 Lindey, E. W., "Parent-child physical and pretense play : Links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46 : 565-591, 2000

      51 Salovey, P.,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9 (9): 185-211, 1990

      52 Salovey, P.,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al intelligence : Educational implication" Basic Books 3-31, 1997

      53 Goleman, D., "Emotional Intellingence" Bentan Books 1995

      54 Pellegrini, A. D., "Elementary school children’s rough-and-tumble play" 4 : 245-260, 1989

      55 Jarvis. P., "Dangerous activities within an invisible playground : A study of emergent male football play teacher’s perpectives of outdoor free play in the early years of primary school" 15 (15): 245-259, 2007

      56 Pellegrini, A. D., "Children’s rough-and-tumble play : Issues in categorization and function" 3 (3): 389-400, 1989

      57 Coie, J. D., "A behavioral analysis of emerging social status in boys and girls groups" 54 : 1400-1400, 198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16 1.396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