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학적 공포담론의 형성,거시적 전환, 그리고 과제 : 지그문트 바우만과 니클라스 루만의 논의를 중심으로 = Macro-Social Transition of Fear Discourse and Fear Study of Sociology : Focusing on Zygmunt Bauman and Niklas Luhman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318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전통적으로 공포라는 논제는 사회학의 주된 관심사가 아니었다. 사회학 본유의 연구대상인 사회적 행위는 목적 합리성과 경험적 관찰을 전제로 하는데 공포는 의도적으로 관여하기 힘든 인간의 심리 내면 과정으로 치부되어 오랫동안 사회학자들의 주요 연구 어젠더로 수렴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예기치 못한 대형 사고가 빈발하고 전 지구적 재난과 재앙이 가시화되면서 위험의 범역이 확대될 뿐만 아니라 그 인과관계도 복잡해지고 있다. 더불어, 대중의 불안과 공포가 커졌으며 관련 학계의 관심 또한 고조되고 있다. 연구 결과에서 보듯 공포는 현대사회와 현대인의 성격을 규명하는 사회학의 숨겨진 코드 중 하나였다. 일찍이 에밀 뒤르케임은 아노미 상황과 공포 간 연관성에 주목했고, 막스 베버는 공포를 프로테스탄트윤리의 정당화를 위한 주요 요소로 간주했으며, 노버트 엘리아스는 문명화 과정에서 외적 강제 메커니즘의 내화를 위한 핵심 매개체로 공포를 특정했다. 한편, 사회학계에서 공포 담론을 본격적으로 펼쳤던 이는 지그문트 바우만과 니클라스 루만이었다. 이들은 상이한 이론구성 전략과 현실 진단 및 미래 전망을 통해 사회학계 공포 논의의 심화를 위한 변곡점을 제공했다. 탈근대적 문제의식으로 무장한 바우만이 근대의 진전에 따른 공포감정의 질적 변환과 외화 및 사사화 과정을 탐구한 실천적 학자였다면 체계이론가 루만은 위험사회학의 견지에서 공포의 사회적 구성과 작용 및 공포 커뮤니케이션의 작동 메커니즘을 이론적으로 천착했다. 일부 선구적 학자들이 이론과 담론 수준에서 이끌어오던 사회학계의 공포연구는 근자에 감정사회학과 위험사회학이 사회학의 분과영역으로 자리를 잡는 것과 맞물려 새로이 활성화되고 있다. 하지만 대개는 경제위기, 환경문제, 흉악범죄, 전염병과 같은 발화성 높은 사회 이슈들을 대상으로 파편적인 논의가 이루어질 뿐 공포연구를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심화시키거나 경험적 연구성과의 체계화 및 유기적 축적 단계로까지 나아가지는 못하고 있다. 오늘날 공포는 우리의 의식과 삶을 지배하는 ‘사회적 실체’의 하나로 자리를 잡았다. 그런 만큼 사회학연구도 이에 부응함으로써 자신의 학문적 존재 이유를 증명해야 한다. 특히 공포의 사회적 확산 기제를 밝히는 실증적 연구와 함께 감정사회학과 위험사회학의 문제의식을 발전적으로 승화시키는 이른바 공포사회학의 정립이 그 무엇보다도 요청된다.
      번역하기

      전통적으로 공포라는 논제는 사회학의 주된 관심사가 아니었다. 사회학 본유의 연구대상인 사회적 행위는 목적 합리성과 경험적 관찰을 전제로 하는데 공포는 의도적으로 관여하기 힘든 인...

      전통적으로 공포라는 논제는 사회학의 주된 관심사가 아니었다. 사회학 본유의 연구대상인 사회적 행위는 목적 합리성과 경험적 관찰을 전제로 하는데 공포는 의도적으로 관여하기 힘든 인간의 심리 내면 과정으로 치부되어 오랫동안 사회학자들의 주요 연구 어젠더로 수렴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예기치 못한 대형 사고가 빈발하고 전 지구적 재난과 재앙이 가시화되면서 위험의 범역이 확대될 뿐만 아니라 그 인과관계도 복잡해지고 있다. 더불어, 대중의 불안과 공포가 커졌으며 관련 학계의 관심 또한 고조되고 있다. 연구 결과에서 보듯 공포는 현대사회와 현대인의 성격을 규명하는 사회학의 숨겨진 코드 중 하나였다. 일찍이 에밀 뒤르케임은 아노미 상황과 공포 간 연관성에 주목했고, 막스 베버는 공포를 프로테스탄트윤리의 정당화를 위한 주요 요소로 간주했으며, 노버트 엘리아스는 문명화 과정에서 외적 강제 메커니즘의 내화를 위한 핵심 매개체로 공포를 특정했다. 한편, 사회학계에서 공포 담론을 본격적으로 펼쳤던 이는 지그문트 바우만과 니클라스 루만이었다. 이들은 상이한 이론구성 전략과 현실 진단 및 미래 전망을 통해 사회학계 공포 논의의 심화를 위한 변곡점을 제공했다. 탈근대적 문제의식으로 무장한 바우만이 근대의 진전에 따른 공포감정의 질적 변환과 외화 및 사사화 과정을 탐구한 실천적 학자였다면 체계이론가 루만은 위험사회학의 견지에서 공포의 사회적 구성과 작용 및 공포 커뮤니케이션의 작동 메커니즘을 이론적으로 천착했다. 일부 선구적 학자들이 이론과 담론 수준에서 이끌어오던 사회학계의 공포연구는 근자에 감정사회학과 위험사회학이 사회학의 분과영역으로 자리를 잡는 것과 맞물려 새로이 활성화되고 있다. 하지만 대개는 경제위기, 환경문제, 흉악범죄, 전염병과 같은 발화성 높은 사회 이슈들을 대상으로 파편적인 논의가 이루어질 뿐 공포연구를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심화시키거나 경험적 연구성과의 체계화 및 유기적 축적 단계로까지 나아가지는 못하고 있다. 오늘날 공포는 우리의 의식과 삶을 지배하는 ‘사회적 실체’의 하나로 자리를 잡았다. 그런 만큼 사회학연구도 이에 부응함으로써 자신의 학문적 존재 이유를 증명해야 한다. 특히 공포의 사회적 확산 기제를 밝히는 실증적 연구와 함께 감정사회학과 위험사회학의 문제의식을 발전적으로 승화시키는 이른바 공포사회학의 정립이 그 무엇보다도 요청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raditionally, fear has not been a major concern in sociology. This is because in ‘social behavior’, the unique research subject of sociology, purposive rationality and empirical observation are presupposed, while fear has long been deemed to be a psychological process that can not be intentionally involved and has not converged as a major research agenda by sociologists. In recent years, however, as unexpected large-scale accidents have occurred frequently and global disasters have become more visible, the range of risks is expanding as well as the causal relationships becoming more complicated. As a result, public anxiety and fear are increasing, and the interest of the academic community is also getting high. This study outlines the process of shaping and developing the discourse of fear in sociology and considers the main perspectives and issues.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fear has been one of the hidden codes of sociology to understanding the character of modern society and modern people. In the past, Emile Durkheim noted the link between the Anomie situation and the fear factor, Max Weber saw fear as a key factor in rationalizing Protestant ethics, and Norbert Elias stressed that fear served as a medium for the internalization of external coercive mechanisms in the process of civilization. Meanwhile, Zygmunt Bauman and Niklas Luhmann, who were the leaders of sociological discourse of fear, provided a turning point for deepening sociological fear research through different theoretical composition strategies, reality diagnosis, and future prospects. Armed with a post-modern question, Bauman was a practical scholar who worked on the qualitative transformation and internalization process of fear emotion according to modern progress, while system theorist Luhmann deeply grasped the social formation and function of fear in addition to the working mechanisms of fear communication from the standpoint of risk sociology. The sociological discussion of fear, which was held at the theoretical and discourse level, are centered around Bauman and Luhmann, has recently been revitalized as emotional sociology and risk sociology have become subdivisions of sociology. However, with the exception of short-term or one-time studies by some scholars, the sociological study of fear has not advanced to a stage where research results are accumulated and systemized or where fear research is taken up from a mid- to long-term point of view.
      번역하기

      Traditionally, fear has not been a major concern in sociology. This is because in ‘social behavior’, the unique research subject of sociology, purposive rationality and empirical observation are presupposed, while fear has long been deemed to be a...

      Traditionally, fear has not been a major concern in sociology. This is because in ‘social behavior’, the unique research subject of sociology, purposive rationality and empirical observation are presupposed, while fear has long been deemed to be a psychological process that can not be intentionally involved and has not converged as a major research agenda by sociologists. In recent years, however, as unexpected large-scale accidents have occurred frequently and global disasters have become more visible, the range of risks is expanding as well as the causal relationships becoming more complicated. As a result, public anxiety and fear are increasing, and the interest of the academic community is also getting high. This study outlines the process of shaping and developing the discourse of fear in sociology and considers the main perspectives and issues.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fear has been one of the hidden codes of sociology to understanding the character of modern society and modern people. In the past, Emile Durkheim noted the link between the Anomie situation and the fear factor, Max Weber saw fear as a key factor in rationalizing Protestant ethics, and Norbert Elias stressed that fear served as a medium for the internalization of external coercive mechanisms in the process of civilization. Meanwhile, Zygmunt Bauman and Niklas Luhmann, who were the leaders of sociological discourse of fear, provided a turning point for deepening sociological fear research through different theoretical composition strategies, reality diagnosis, and future prospects. Armed with a post-modern question, Bauman was a practical scholar who worked on the qualitative transformation and internalization process of fear emotion according to modern progress, while system theorist Luhmann deeply grasped the social formation and function of fear in addition to the working mechanisms of fear communication from the standpoint of risk sociology. The sociological discussion of fear, which was held at the theoretical and discourse level, are centered around Bauman and Luhmann, has recently been revitalized as emotional sociology and risk sociology have become subdivisions of sociology. However, with the exception of short-term or one-time studies by some scholars, the sociological study of fear has not advanced to a stage where research results are accumulated and systemized or where fear research is taken up from a mid- to long-term point of view.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문제 제기 Ⅱ. 선행연구 검토 및 최근 연구 동향 Ⅲ. 공포 담론의 시원(始原)과 확산 Ⅳ. 사회학적 공포 담론의 형성과 전개 Ⅴ. 맺음말 참고문헌
      • Ⅰ. 문제 제기 Ⅱ. 선행연구 검토 및 최근 연구 동향 Ⅲ. 공포 담론의 시원(始原)과 확산 Ⅳ. 사회학적 공포 담론의 형성과 전개 Ⅴ. 맺음말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류찬열, "혐오와 공포의 재현을 넘어 공감과 연대의 재현으로-영화 ≪청년경찰≫과 ≪범죄도시≫를 중심으로-"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7) : 127-147, 2018

      2 박형신, "한국 보수 정권 복지정치의 감정 동학" 한국이론사회학회 (20) : 225-264, 2012

      3 Bauman, Z, "유동하는 공포" 산책자 2009

      4 Bauman, Z., "액체근대" 도서출판 강 2005

      5 김기덕, "바우만(Bauman)의 근대성 이론을 통한 한국사회복지실천의 유동성 분석" 한국사회복지학회 66 (66): 53-75, 2014

      6 김종길, "미디어공론장의 감성적 전환과 공포커뮤니케이션" 동양사회사상학회 23 (23): 1-40, 2020

      7 박형신, "먹거리, 감정, 가족 동원: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촛불집회의 경우" 한국이론사회학회 (13) : 147-183, 2008

      8 최종렬, "국민과 이주노동자: 동일성의 불안과 차이의 공포" 1 (1): 98-127, 2011

      9 신지은, "공포의 매혹: 기괴한 것으로서의 타자성에 대하여" 한국문화사회학회 11 (11): 153-191, 2011

      10 정수남, "공포, 개인화 그리고 축소된 주체 : 2000년대 이후 한국사회의 일상성" 한국학중앙연구원 33 (33): 329-357, 2010

      1 류찬열, "혐오와 공포의 재현을 넘어 공감과 연대의 재현으로-영화 ≪청년경찰≫과 ≪범죄도시≫를 중심으로-"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7) : 127-147, 2018

      2 박형신, "한국 보수 정권 복지정치의 감정 동학" 한국이론사회학회 (20) : 225-264, 2012

      3 Bauman, Z, "유동하는 공포" 산책자 2009

      4 Bauman, Z., "액체근대" 도서출판 강 2005

      5 김기덕, "바우만(Bauman)의 근대성 이론을 통한 한국사회복지실천의 유동성 분석" 한국사회복지학회 66 (66): 53-75, 2014

      6 김종길, "미디어공론장의 감성적 전환과 공포커뮤니케이션" 동양사회사상학회 23 (23): 1-40, 2020

      7 박형신, "먹거리, 감정, 가족 동원: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촛불집회의 경우" 한국이론사회학회 (13) : 147-183, 2008

      8 최종렬, "국민과 이주노동자: 동일성의 불안과 차이의 공포" 1 (1): 98-127, 2011

      9 신지은, "공포의 매혹: 기괴한 것으로서의 타자성에 대하여" 한국문화사회학회 11 (11): 153-191, 2011

      10 정수남, "공포, 개인화 그리고 축소된 주체 : 2000년대 이후 한국사회의 일상성" 한국학중앙연구원 33 (33): 329-357, 2010

      11 박형신, "고도 경쟁 사회 노동자의 감정과 행위 양식: 공포의 감정동학을 중심으로" 한국이론사회학회 (23) : 205-252, 2013

      12 박형신, "감정은 사회를 어떻게 움직이는가: 공포 감정의 거시사회학" 한길사 2015

      13 Köstler, S., "‘Sicher ist nur die Angst’ Angstkommunikation als Form sozialer Erwartungsbildung in Medienberichterstattung über Terrorismus" Universität Bielefeld 2011

      14 Bernhard, U, "‘Infortainment’ in der Presse. Eine Längsschnittuntersuchung 1980-2007 dreier regionaler Tageszeitungen" 53 (53): 231-250, 2008

      15 Luhmann, N., "Ökologische Kommunikation. Kann die moderne Gesellschaft sich auf ökologische Gefährdungen einstellen?" Westdeutcher Verlag 1986

      16 Furedi, F., "spiked" 2007

      17 Grundmann, R, "Wo steht Risikosoziologie?" 28 : 44-59, 1999

      18 Aschmann, B, "Vom Nutzen und Nachteil der Emotionen in der Geschichte. Eine Einführung in der Geschichtswissenschaft" 16 : 18-32, 2005

      19 Luhmann, N., "Uniiversität als Milieu" Haux 1992

      20 Spielberger, C. D., "The anxiety inventory: Preliminary professional manual"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1980

      21 Furedi, F., "The Politics of Fear" 2005

      22 Robin, C., "The History of a Political Idea" 2004

      23 Dynes, R, "The Dialogue Between Voltaire and Rousseau on the Lisbon Earthquake: The Emergence of Social Science View" 18 : 2000

      24 Glassner, B., "The Culture of Fear. Why Americans are Afraid of the Wrong Things" 1999

      25 Elias. N, "The Civilizing Process, vol. 2 Stat Formation and Civilization" Basil Blackwell 1982

      26 Hellmann, K. -U, "Systemtheorie und soziale Bewegungen" Suhrkamp 7-45, 1996

      27 Luhmann, N., "Systemtheorie und Soziale Bewegungen" Suhrkamp 1996

      28 Luhmann, N, "Studenten in Opposition. Beiträge zur Soziologie der deutschen Hochschule" 73-82, 1968

      29 Luhmann, N., "Soziololische Aufklärung 5" 1990

      30 Luhmann, N., "Soziologische Aufklärung 6" VS Verlag für Sozialwissenschaften 1988

      31 Luhmann, N., "Soziologie des Risikos" de Gruyter 1991

      32 Flam, H., "Soziologie der Emotionen" 2002

      33 Dehne, M., "Soziologie der Angst" Springer 2017

      34 Luhmann, N, "Riskante Technologien: Reflexion und Regulation" 138-185, 1993

      35 Beck, U., "Risikogesellschaft. Auf dem Weg in eine andere Moderne" 1986

      36 Bonß, W, "Risiko und Angst – Zum Funktionswandel der Angst in der Risikogesellschaft" 21 (21): 95-101, 1992

      37 Krohne, H. W., "Psychologie der Angst: Ein Lehrbuch" Kohlhammer Verlag 2010

      38 Bauman, Z., "Postmodern Ethics" Blackwell 1993

      39 Luhmann, N., "Politische Theorie im Wohlfahrtsstaat" 1981

      40 Luhmann, N., "Politik der Gesellschaft" Suhrkamp 2000

      41 Giddens, A., "Modernity and Self-Identity: Self and Society in the Late Modern Age" Polity 1991

      42 Klein, A., "Masse – Macht – Emotionen. Zu einer politischen Soziologie der Emotionen" Opladen und Wiebaden 2005

      43 Bauman, Z., "Liquid Modernity" polity Press 2000

      44 Bauman, Z., "Liquid Fear" 2006

      45 Eder, K., "Kulturelle Identität zwischen Tradition und Utopie: Soziale Bewegungen als Ort gesellschaftlicher Lernprozesse" 2000

      46 Luhmann, N., "Kommunikation zwischen Spannung, Konflikt und Harmonie" 117-128, 1991

      47 Bergmann, J., "Jahrbuch für Gruppenanalyse und ihre Anwendungen" Mattes Verlag 2002

      48 Goffman, E., "Interaktionisrituale: Über Verhalten in direkter Kommunikation" 1971

      49 Bauman, Z., "In Search of Politics" polity Press 1999

      50 Greven, M. Th, "Hat die politische Utopie eine Zukunft?" 87-100, 1992

      51 Riemann, F., "Grundformen der Angst. Eine tifenpsychologische Studie" 1977

      52 Simmel, G, "Gesamtausgabe Band 7, Aufsätze und Abhandlungen 1901-1908" Suhrkamp 116-131, 1995

      53 Weber, M, "Gesammelte Aufsätze zur Religionssoziologie. bd. 1" 1988

      54 Bauman, Z., "Gemeinschaften" 2009

      55 Cohen, S., "Folk Devils and Moral Panics" Routledge 2002

      56 Bauman, Z., "Flüchtige Moderne" 2003

      57 Hankiss, E., "Fears and Symbols;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Western Civilization" Central European Press 2001

      58 Scheve, C. v., "Emotionen und soziale Strukturen. Die affektiven Grundlagen sozialer Ordniung" 2009

      59 Scherke, K., "Emotionen als Forschungsgegensgand der deutschsprachigen Soziologie" 2009

      60 Barbalet, J., "Emotion, Social Theory, and Social Structure" A Macrosociological Approach 2001

      61 Hochschild, A. R, "Emotion work, feeling rules, and social structure" 85 (85): 551-575, 1979

      62 Sörensen, M., "Einführung in die Angstpsychologie: Ein Überblick für Psychologen. Pädagogen, Soziologen und Mediziner" 1992

      63 Kierkegaard, S., "Die Krankheit zum Tode" Marixverl 2016

      64 Luhmann, N., "Die Gesellschaft der Gesellschaft" Suhrkamp 1997

      65 Durkheim, E., "Der Selbstmord" 1983

      66 Altheide, D. L., "Creating Fear; News and the Construction of Crisis" Aldine De Gruyter 2002

      67 Spielberger, C. D, "Anxiety: Current Trends in theory and research Vol. 1" Academic Press 23-39, 1972

      68 Wilkinson, I., "Anxiety in a risk society. Health, risk and society" 2001

      69 Bauman, Z., "Ansicheten der Postmoderne" Argument 1995

      70 Putz-Osterloh, W, "Angst und Politik in der europaischen Geschichte" 1-11, 2000

      71 Finzen, A, "Angst und Angstbewältigung" Verlag Hans Huber 73-88, 1988

      72 Opitz, S., "An der Grenze des Rechts, Inklusion/Exklusion im Zeichen der Sicherheit" 2012

      73 Stearns, P. N., "American Fear.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High Anxiety" 2006

      74 Svendsen, L., "A Philosophy of Fear" 2008

      75 Bourke, J., "A Cultural History" 2006

      76 노진철, "2008년 촛불집회를 통해 본 광우병 공포와 무지의 위험소통" 비판사회학회 (84) : 158-182,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08-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지역사회학 -> 지역사회학(Korean Regional Sociolog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7-1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Regional Sociology ->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Sociology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4 0.771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