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의 군사력 증강 평가와 우리의 대응방향 = China's Military Buildup and ROK's Countermeasur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045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deals with Chinese intention and strategy of ongoing PLA's military modernization, analyses its implications for regional security, and identifies some measures for South Korean security. Current Chinese military buildup will be a serious threat to the security of ROK. The PLA's military intervention, for example, in case of either the North Korean contingency or a war on the Korean peninsula, will obstruct the ROK-US combined operations in the North to achieve their strategic goal. Even in peacetime, seemingly rapid changes of military balance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could enhance Chinese influence on the delicate issues such as North Korea's nuclear program, ROK-US North Korean policy, peace process of the Korean peninsula, etc. Accordingly, Chinese military buildup has already become an impending threat which could impact on South Korean security quite negatively. South Korean government and military, therefore, should contemplate appropriate strategy to deal with more militarily-confident China whose foreign policy could be more assertive and coercive in upcoming days.
      번역하기

      This article deals with Chinese intention and strategy of ongoing PLA's military modernization, analyses its implications for regional security, and identifies some measures for South Korean security. Current Chinese military buildup will be a serious...

      This article deals with Chinese intention and strategy of ongoing PLA's military modernization, analyses its implications for regional security, and identifies some measures for South Korean security. Current Chinese military buildup will be a serious threat to the security of ROK. The PLA's military intervention, for example, in case of either the North Korean contingency or a war on the Korean peninsula, will obstruct the ROK-US combined operations in the North to achieve their strategic goal. Even in peacetime, seemingly rapid changes of military balance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could enhance Chinese influence on the delicate issues such as North Korea's nuclear program, ROK-US North Korean policy, peace process of the Korean peninsula, etc. Accordingly, Chinese military buildup has already become an impending threat which could impact on South Korean security quite negatively. South Korean government and military, therefore, should contemplate appropriate strategy to deal with more militarily-confident China whose foreign policy could be more assertive and coercive in upcoming day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급속히 증강되고 있는 중국의 군사력을 평가하고 우리의 대응방향을 제시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중국은 미국의 “전략적 재균형(strategic rebalance)”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고 있는가? 중국의 국방정책과 군 현대화 방향은 무엇인가? 구체적으로 중국의 각 군은 현대화를 어떻게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어떻게 평가할 수 있는가? 중국의 군사력 증강에 따라 나타나는 각 쟁점별로 한국의 정책방향은 무엇인가? 이것이 이 글이 다루는 주요 항목이 된다.
      전작권 전환 이후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이 한중간의 주요한 쟁점이 될 수 있다. 중국은 미국이 ‘전략적 재균형’을 추구하면서 한반도에 주둔하는 미군이 자국의 안보이익을 침해한다고 주장하며 한국정부에 주한미군 철수를 요구할 수도 있다.이에 대해 한국은 전작권 전환 이후에도 주한미군의 주 역할이 한반도 방위에 있음을 명확히 강조해야 한다. 미국도 이 점을 확인해 주어야 한다. 비록 일부 미군이 대테러전쟁이나 기타 임무를 위해 잠시 한반도를 떠나 다른 지역에 투입될 수 있겠지만 주한미군은 중국을 겨냥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의 방위를 담당하는 주요한 지원세력임을 각인시켜야 한다우리 군은 보다 현실적으로 군사적 차원에서 중국의 대한반도 작전능력을 분석하고 대비해야 한다. 북한급변사태나 북한의 전쟁 도발시 중국이 투입할 수 있는 군사력을 면밀히 분석하여 대응전략을 모색해야 한다. 중국해군이 수세적으로 연안에 머물던 1980년대와 항모를 갖추고 근해로 투사할 능력을 갖춘 현재의 중국 서해작전은 판이하게 다를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한반도에 대한 중국의 군사적 개입이 이루어질 경우 그 능력과 범위는 어느 정도이며, 이에 대해 한국은 어떠한 군사적 목표와 전략을 추구해야하는지를 재평가하고 이를 보완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한국군은 미래 주변국 위협을 대비하는 차원에서 보다 적극적인 방위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최근 이스라엘이 하마스의 무차별적인 미사일 공격을 ‘아이언 돔’ 방어체제를 통해 대부분 무력화시켰듯이 한국군도 이에 버금가는 대공방어체제를 구축하는 것은 물론, 적의 도발 원점과 전략적 중추부를 공격할 수 있는 전략적 타격체계를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대북한위협 대비와 병행하여 대 주변위협 대비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가장 큰 문제는 재원이다.
      군은 중국과의 국방전략대화를 통해 북한의 잘못된 행동을 예방하고 대처할 수 있는 보다 생산적인 대화의 장을 열어나가야 한다. 이 때 ‘구동존이(求同存異)’에 입각한 대화보다는 불편한 의제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누고 공감대를 형성해가는 ‘구동화이(求同和異)’ 방식의 대화를 통해 서로 이해의 폭을 넓힐 필요가 있다. 비록 중국이 북한을 옹호하고 두둔하는 입장에 서더라도 한국은 우리의 입장을 명확히 밝혀야 한다.
      이러한 문제는 한⋅중간에 대화로 해결할 수 있는 여지가 충분히 있다. 한국의 미사일방어는 미국과 일본이 추진하는 지역미사일방어에 편입되는 것이 아니다. 한국의 체계는 미국의 미사일방어체계와 달리 북한의 스커드미사일을 비롯한 위협을 방어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저고도 방어체계이다.
      한국은 현재 추진 중인 미사일방어와 탄도미사일 사거리 연장이 우리의 안보주권을 수호하기 위한 최소한의 조치임을 중국에 인식시키고, 이것이 양국 간의 불필요 ...
      번역하기

      이 글은 급속히 증강되고 있는 중국의 군사력을 평가하고 우리의 대응방향을 제시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중국은 미국의 “전략적 재균형(strategic rebalance)”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고 있...

      이 글은 급속히 증강되고 있는 중국의 군사력을 평가하고 우리의 대응방향을 제시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중국은 미국의 “전략적 재균형(strategic rebalance)”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고 있는가? 중국의 국방정책과 군 현대화 방향은 무엇인가? 구체적으로 중국의 각 군은 현대화를 어떻게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어떻게 평가할 수 있는가? 중국의 군사력 증강에 따라 나타나는 각 쟁점별로 한국의 정책방향은 무엇인가? 이것이 이 글이 다루는 주요 항목이 된다.
      전작권 전환 이후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이 한중간의 주요한 쟁점이 될 수 있다. 중국은 미국이 ‘전략적 재균형’을 추구하면서 한반도에 주둔하는 미군이 자국의 안보이익을 침해한다고 주장하며 한국정부에 주한미군 철수를 요구할 수도 있다.이에 대해 한국은 전작권 전환 이후에도 주한미군의 주 역할이 한반도 방위에 있음을 명확히 강조해야 한다. 미국도 이 점을 확인해 주어야 한다. 비록 일부 미군이 대테러전쟁이나 기타 임무를 위해 잠시 한반도를 떠나 다른 지역에 투입될 수 있겠지만 주한미군은 중국을 겨냥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의 방위를 담당하는 주요한 지원세력임을 각인시켜야 한다우리 군은 보다 현실적으로 군사적 차원에서 중국의 대한반도 작전능력을 분석하고 대비해야 한다. 북한급변사태나 북한의 전쟁 도발시 중국이 투입할 수 있는 군사력을 면밀히 분석하여 대응전략을 모색해야 한다. 중국해군이 수세적으로 연안에 머물던 1980년대와 항모를 갖추고 근해로 투사할 능력을 갖춘 현재의 중국 서해작전은 판이하게 다를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한반도에 대한 중국의 군사적 개입이 이루어질 경우 그 능력과 범위는 어느 정도이며, 이에 대해 한국은 어떠한 군사적 목표와 전략을 추구해야하는지를 재평가하고 이를 보완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한국군은 미래 주변국 위협을 대비하는 차원에서 보다 적극적인 방위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최근 이스라엘이 하마스의 무차별적인 미사일 공격을 ‘아이언 돔’ 방어체제를 통해 대부분 무력화시켰듯이 한국군도 이에 버금가는 대공방어체제를 구축하는 것은 물론, 적의 도발 원점과 전략적 중추부를 공격할 수 있는 전략적 타격체계를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대북한위협 대비와 병행하여 대 주변위협 대비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가장 큰 문제는 재원이다.
      군은 중국과의 국방전략대화를 통해 북한의 잘못된 행동을 예방하고 대처할 수 있는 보다 생산적인 대화의 장을 열어나가야 한다. 이 때 ‘구동존이(求同存異)’에 입각한 대화보다는 불편한 의제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누고 공감대를 형성해가는 ‘구동화이(求同和異)’ 방식의 대화를 통해 서로 이해의 폭을 넓힐 필요가 있다. 비록 중국이 북한을 옹호하고 두둔하는 입장에 서더라도 한국은 우리의 입장을 명확히 밝혀야 한다.
      이러한 문제는 한⋅중간에 대화로 해결할 수 있는 여지가 충분히 있다. 한국의 미사일방어는 미국과 일본이 추진하는 지역미사일방어에 편입되는 것이 아니다. 한국의 체계는 미국의 미사일방어체계와 달리 북한의 스커드미사일을 비롯한 위협을 방어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저고도 방어체계이다.
      한국은 현재 추진 중인 미사일방어와 탄도미사일 사거리 연장이 우리의 안보주권을 수호하기 위한 최소한의 조치임을 중국에 인식시키고, 이것이 양국 간의 불필요 ...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예츠청, "후진타오 시대의 중국 대외관계" 폴리테이아 75-94, 2007

      2 김재엽, "중국·대만의 군사력 균형과 동아시아 지역질서 : 오성홍기 vs. 청천백일기" 북코리아 2012

      3 "조선일보, 2012년 6월 3일"

      4 蔡翼, "解放軍反航母與反介入的戰略思維, In 崛起東亞: 聚焦新世紀解放軍" 勒色克顧問公司 2009

      5 "新華通信, 2012年 1月 7日"

      6 軍事科學院戰略硏究部, "戰略學" 軍事科學院出版社 2001

      7 "人民日報, 2012年 1月 7日"

      8 彭光謙, "中國軍事戰略問題硏究" 解放軍出版社 2006

      9 中華人民共和國國務院新聞辦公室, "中國平和發展白書" 2011

      10 王保存, "世界新軍事變革新論" 解放軍出版社 2005

      1 예츠청, "후진타오 시대의 중국 대외관계" 폴리테이아 75-94, 2007

      2 김재엽, "중국·대만의 군사력 균형과 동아시아 지역질서 : 오성홍기 vs. 청천백일기" 북코리아 2012

      3 "조선일보, 2012년 6월 3일"

      4 蔡翼, "解放軍反航母與反介入的戰略思維, In 崛起東亞: 聚焦新世紀解放軍" 勒色克顧問公司 2009

      5 "新華通信, 2012年 1月 7日"

      6 軍事科學院戰略硏究部, "戰略學" 軍事科學院出版社 2001

      7 "人民日報, 2012年 1月 7日"

      8 彭光謙, "中國軍事戰略問題硏究" 解放軍出版社 2006

      9 中華人民共和國國務院新聞辦公室, "中國平和發展白書" 2011

      10 王保存, "世界新軍事變革新論" 解放軍出版社 2005

      11 Changhee Park, "Why China Attacks: China’s Geostrategic Vulnerability and Its Military Intervention" 한국국방연구원 20 (20): 263-282, 2008

      12 Ma, Cheng-kun, "The Sino-American Strategic Competition in the Asia-Pacific" 2 (2): 2012

      13 Bitzinger, Richard, "The People’s Liberation Army and China in Transition" University Press of the Pacific 2004

      14 Finkelstein, David M., "The People's Liberation Army and China in Transition" University Press of the Pacific 2004

      15 Krepinevich, Andrew, "The Military-Technical Revolution: A Preliminary Assessment" Center for Strategic and Budgetary Assessments 2002

      16 Fargo, Thomas, "The Military Side of Strategic Rebalancing" 2012

      17 IISS, "The Military Balance 2012" Routledge 2012

      18 Department of Defense, "Sustaining U.S. Global Leadership: Priorities for 21st Century Defense"

      19 Goldstein, Avery, "Rising to the Challenge: China’s Grand Strategy and International Security"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5

      20 Department of Defense, "Quadrennial Defense Review Report" 2001

      21 Park, Changhee, "PLA's Military Strategy and Its Implications for Regional Security" IAO,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2010

      22 Shambaugh, David, "Modernizing China’s Military: Progress, Problems, and Prospect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2

      23 Chen, Chia-Sheng, "Mainland Chinese Military Buildup and Its Influence on the Asia-Pacific Region" 2 (2): 2012

      24 Swaine, Michael D., "Interpreting China’s Grand Strategy: Past Present, and Future" RAND 2000

      25 Cliff, Roger, "Enterring the Dragon's Lair: Chinese Antiaccess Strategies and Their Implications for the United States" RAND 2007

      26 Jervis, Robert, "Cooperation Under the Security Dilemma" 30 (30): 1978

      27 Cordesman, Anthony H., "Chinese Miltiary Modernization and Force Development: A Western Perspective" CSIS 2012

      28 Johnston, Alastair Iain, "Chinese Militarized Interstate Dispute Behavior 1949-1992: A First Cut at the Data" 153 : 1998

      29 Scott, Richard, "China’s Submarine Force Awaits a Cultural Revolution" Jane’s Naval International

      30 Steinberg, James B., "China’s Arrival: The Long March to Global Power, Keynote Address"

      31 China’s First Aircraft Carrier Commissioned, "China Military Online(中國軍網)"

      32 Wang, Shaoguang, "Appendix 7D. The Military Expenditure of China, 1989-1998, In SIPRI Yearbook 1999: Armaments, Disarmament and International Security"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33 Office of Secretary of Defense, "Annual Report to Congress: Miltiary and Security Developments Involving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11

      34 Goldstein, Avery, "An Emerging China’s Emerging Grand Strategy: A Neo-Bismarckian Turn?”,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and the Asia-Pacific"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3

      35 서진영, "21세기 중국 외교정책" 폴리테이아 2006

      36 中華人民共和國國務院新聞辦公室, "2010年 中國的國防"

      37 中華人民共和國國務院新聞辦公室, "2006年 中國的國防"

      38 中華人民共和國國務院新聞辦公室, "2004年 中國的國防"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8-01 학술지등록 한글명 : 전략연구
      외국어명 : STRATEGIC STUDIES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1 0.69 0.847 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