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업(karma) 개념의 형성과 발달 과정에 대한 고찰 = 제식주의에서부터 초기불교까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558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업 관념은 인도에서 발생한 모든 종교적·철학적 사유에 전제되어 있다. 따라서 이것에 대한 고찰은 인도철학 전반에 대한 이해로 확대되는 성격을 지닌다. 필자는 이러한 업 관념이 인도철...

      업 관념은 인도에서 발생한 모든 종교적·철학적 사유에 전제되어 있다. 따라서 이것에 대한 고찰은 인도철학 전반에 대한 이해로 확대되는 성격을 지닌다. 필자는 이러한 업 관념이 인도철학사의 발달과 궤적을 같이 하면서 점차적으로 구체화되는 과정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일단 바라문교의 제식주의적 업 관념에서부터 초기불교에 이르기까지의 경로를 추적해 보았다. 필자의 연구에 따르면, 최초의 제식주의적 업 관념은 제사라는 행위를 통해 우주적 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인간 존재의 자존적능력을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인정된다. 또한 『우빠니샤드』는 제식 행위뿐만이 아니라 일상적인 모든 행위가 특정한 목적과 결과에 연결된다는 방식으로 업 관념을 구체화하는 데에 기여하였다. 한편 자이나교에서는 업을 물질 입자로 이해하여 그것의 지음과 받음이 실재적으로 존재한다는 믿음을 확고히 정착시켰다. 나아가 초기불교에서는 그것을 내면적인 의도의 차원으로 해석하여 제식주의라든가 금욕주의가 갖는 형식적 폐쇄성을 극복하는 데에 공헌하였다. 필자는 이러한 방식으로 각 학파에서 시도된 업 해석의 다양한 양상들을 살펴보았고, 이것을 통해 그들 학파의 사상적 경계를 되짚어 보고자 하였다. 또한 그 과정에서 업 문제를 둘러 싼상이 한 관점들이 각 학파의 교리적·형이상학적 입장뿐 아니라, 사회적·계급적 측면과도 유기적인 상관 관계에 있음을 고찰해 보았다. 필자는 이 연구를 통해 업 개념이 본래부터 완성된 형태로 존재했던 것이 아니었다는 점을 분명히 하였다. 이것은 업 관념을 더 이상 종교적인 신념의 영역에 방치해 두어서는 안 된다는 사실과 함께, 개방된 학문적 논의의 장으로 끌고 가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belief in karma becomes the fundamental premise in the majority of India"s religious and philosophical tradition. So, the study of karma makes it possible to understand all philosophical traditions in India. In this paper, I shed light on the deve...

      The belief in karma becomes the fundamental premise in the majority of India"s religious and philosophical tradition. So, the study of karma makes it possible to understand all philosophical traditions in India. In this paper, I shed light on the development of karma conception, especially from the ritualism to early Buddhism. I think the beliefs in karma had been gradually embodied as time went by. It was discovered from the ritualistic views of karma in Veda that human had the ability to take part in the cosmic process through ritualistic deeds. Upani?ad contributed to concretize the idea that a human being"s deeds are completely connected with specific purposes and results. Jainism had a great notion that karma is retributive, thinking of it as a law of physics. Futhermore, this conception was interpreted as the psychological matter in early buddhism. This interpretation contributed to overcome both the occlusiveness of Vedic ritualism and the asceticism of Jainism. In this way, I straightened out that the conception of karma was not complete at the first step. I think that we have to put this conception into the more opened place of academic discussion, and that this attempt may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boundaries of thought on Karma within the major schools of Indian philosoph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