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ㆍ중ㆍ일 文言短篇集 속 요괴와 귀신의 존재양상과 귀신담론 - 『天倪錄』, 『聊齋志異』, 『夜窓鬼談』을 대상으로 = The Study on existence and theory of ‘Gui-Shin’ in selection of short storie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Language of Korea, China and Japa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성리학의 이념 하에서 자연철학적 귀신의 개념과 조선시대 실제 삶 속의 귀신관념은 서로 충돌하여 때로 정치적 이유로, 사상적 이유로 조선에서 귀신은 문제적 존재였다. 그러나 ...

        성리학의 이념 하에서 자연철학적 귀신의 개념과 조선시대 실제 삶 속의 귀신관념은 서로 충돌하여 때로 정치적 이유로, 사상적 이유로 조선에서 귀신은 문제적 존재였다. 그러나 인격적 존재로서의 귀신은 종종 문학적 소재로 등장하곤 했는데 우암의 문인이었던 임방의 〈천예록〉은 조선후기 문언단편집으로서 전체의 반 이상이 귀신담과 관련된다. 그중 많은 것이 제사와 관련된 귀신담으로 제사를 통해 만난 귀신을 통해 제사의 중요성, 장지 선택의 중요성을 역설하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또한 무당이나 마마신, 관왕묘 등 무속적 귀신에 대해 그 존재를 인정하는 태도를 보이는데 이는 귀신이나 奇異를 인정했던 우암과 그의 영향을 받았던 임방의 유연한 귀신관에서 기인한다.<BR>  〈요재지이〉에서 귀신담은 서사적 흥미뿐만 아니라 다양한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불합리한 현실을 비판하는 도구로서의 귀신담과 강한 성적 욕망의 투사로서의 귀신담이다. 전자는 〈요재지이〉가 포송령의 처지에서 기인하는 孤憤之書의 의미를 지닌다는 것이며 후자는 〈수신기〉 이래로 귀신과의 성적 결합을 소재로 하는 중국 문학적 전통의 영향과 작가의 억압된 욕망의 분출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BR>  〈야창귀담〉 속 요괴와 귀신은 앞의 두 작품에 비해 매우 구체적이며 기괴한 모습을 지니는데 이는 에도시대 이후 출판물의 발달과 연극 등 예능의 성행으로 인해 귀신이 가시화된 문화적 배경에 기인한다. 작가 이시카와 고사이는 근대의 한문학자로서 전래의 귀신담을 수록하되 귀신에 대해 객관적인 태도를 취하였다. 특히 〈귀신설〉과 〈귀자해〉를 통해 귀신을 객관화하고 체계화하려는 태도를 보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nder an ideology of Sung Confucianism, the concept of Gui-Shin in the natural philosophy and the conceptof Gui-Shin in real life of the Joseon Dynasty collided with each other. Thus, Gui-Shin was the issued existence in the Joseon Dynasty...

        Under an ideology of Sung Confucianism, the concept of Gui-Shin in the natural philosophy and the conceptof Gui-Shin in real life of the Joseon Dynasty collided with each other. Thus, Gui-Shin was the issued existence in the Joseon Dynasty because of political and ideological reason. However, Gui-Shin as a personal existence was often utilized as a literary matter. 〈Cheon-Ye-Rok〉 by Imbang, a pupil of Uam Song, Si Yeol, is a selection of short storie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language in the latter term of the Joseon Dynasty and more than a half of its contents is related with Gui-Shin story. Many parts out of the Gui-Shin story are related with ancestral rites and show importance of ancestral rites and burial place’s selection through Gui-Shin seeing in ancestral rites for the most part. Also, it has an attitude to recognize existence of shamanist custom’s Gui-Shin as Mudang, Mamashin and Gwanwangmyo. Such an attitude is caused by a flexible Gui-Shin view of Uam recognizing Gui-Shin or mysteriousness and Imbang getting an influence from Uam.<BR>  Gui-Shin stories in 〈Yojaejiee〉 imply various meanings as well asdescriptive interest. Representative things out of them are a Gui-Shin story as a means to criticize an unreasonable reality and a Gui-Shin story as a means to show strong sexual desire. The former has a meaning of Gobunjiseo (孤憤之書) which 〈Yojaejiee〉 is caused by Posongryeong’s position and the latter got an influence from Chinese literary tradition with sexual combination with Gui-Shin as its subject matter since 〈Sushingi〉 and is analyzed to expose the writer’s suppressed desire.<BR>  Monsters and Gui-Shin in 〈Yachangguidam〉 has more concrete and strange features than those in the above two works. It is caused by cultural backgroundwhich people made Gui-Shin visible by publications’ development and artistic accomplishments’ prevalence as play and more after the Edo age. A writer Isikawa Gosai kept an objective attitude about Gui-Shin though he collected traditional Gui-Shin stories as a modern scholar of Chinese literature. Specially, he had an attitude to objectify and systematize Gui-Shin through 〈Gui-Shin Theory 鬼神說〉 and 〈Gui-Shin Analysis 鬼字解〉.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1. 서론
        2. 본론
        3.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 국문초록
        1. 서론
        2. 본론
        3.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동욱, "<천예록> 연구 -천리대본을 중심으로" 반교어문학회 5 : 155-179, 1994

      2 김용의, "한일 요괴설화 비교연구의 과제" 한국일본어문학회 2 : 235-261, 1996

      3 이강옥, "천예록의 야담사적 연구천예록의 야담사적 연구 -서술방식과 서사의식을 중심으로-" 한국구비문학회 14 (14): 233-279, 2002

      4 김영진, "조선후기 사대부의 야담 창작과 향유의 일 양상" 민족어문학회 37 : 21-45, 1998

      5 이욱, "조선전기 귀신론에 관한 연구" 15 : 259-275, 1998

      6 조현설, "조선 전기 귀신 이야기에 나타난 신이 인식의 의미" 한국고전문학회 23 : 147-178, 2003

      7 정용수, "임방의 문학론 연구" 동양한문학회 12 : 289-312, 1998

      8 포송령, "요재지이(1∼6권)" 민음사 2002

      9 임방, "완역 천예록" 명문당 3-395, 1995

      10 이강옥, "야담의 기이 인식 -<학산한언>을 중심으로" 우리말글학회 37 : 1-21, 2006

      1 김동욱, "<천예록> 연구 -천리대본을 중심으로" 반교어문학회 5 : 155-179, 1994

      2 김용의, "한일 요괴설화 비교연구의 과제" 한국일본어문학회 2 : 235-261, 1996

      3 이강옥, "천예록의 야담사적 연구천예록의 야담사적 연구 -서술방식과 서사의식을 중심으로-" 한국구비문학회 14 (14): 233-279, 2002

      4 김영진, "조선후기 사대부의 야담 창작과 향유의 일 양상" 민족어문학회 37 : 21-45, 1998

      5 이욱, "조선전기 귀신론에 관한 연구" 15 : 259-275, 1998

      6 조현설, "조선 전기 귀신 이야기에 나타난 신이 인식의 의미" 한국고전문학회 23 : 147-178, 2003

      7 정용수, "임방의 문학론 연구" 동양한문학회 12 : 289-312, 1998

      8 포송령, "요재지이(1∼6권)" 민음사 2002

      9 임방, "완역 천예록" 명문당 3-395, 1995

      10 이강옥, "야담의 기이 인식 -<학산한언>을 중심으로" 우리말글학회 37 : 1-21, 2006

      11 김정숙, "메이지 시대 일본 한문소설집 <夜窓鬼談>의 한 연구" 한문교육학회 29 : 545-573, 2007

      12 정환국, "기획논문: 17세기 이후 귀신이야기의 변모와 ‘저승’의 이미지 / 논평: 조현설" 한국고전문학회 31 (31): 99-128, 2007

      13 김종덕, "그로테스크로 읽는 일본문화" 책세상 301-357, 2008

      14 김현, "귀신: 자연 철학에서 추구한 종교성, 조선유학의 개념들" 예문서원 96-116, 2002

      15 임방, "교감역주 천예록"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39-503, 2005

      16 石泉鴻齋, "夜窓鬼談ㆍ東齊諧" 臺灣 學生書局 2 : 299-566, 2003

      17 차남희, "16?17세기 주자학적 귀신관과『천예록』의 귀신관: 정통과 이단" 한국정치학회 40 (40): 5-26,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7-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Http://Www.Daedonghanmunhak.Co.Kr -> http://www.daedonghanmun.or.kr/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61 1.49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