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國內 公演文化施設의 建築計劃指針을 위한 基礎的 硏究 : 현황분석에 따른 개선방향을 중심으로 = (A) Foundational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Guidekines for Performing Arts Center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8241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과거 종교의식에서 시작된 공연예술은 각 시대의 생활상과 정신세계를 반영하며 각 시대의 사상과 기술발전에 영향을 받아 발전해 왔다. 종교의식이 의례와 합창이라는 주술적 행위에서 ...

      과거 종교의식에서 시작된 공연예술은 각 시대의 생활상과 정신세계를 반영하며 각 시대의 사상과 기술발전에 영향을 받아 발전해 왔다.
      종교의식이 의례와 합창이라는 주술적 행위에서 시작하여, 현재는 오페라, 뮤지컬, 콘서트, 심포니, 발레, 연극, 전통 극 등 다양한 양식으로 발전하였고, 사람들의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자연스럽게 문화수준도 높아져 좀 더 완성도 높은 공연을 원하게 되었다. 이에 자연스럽게 공연문화의 발전은 계속되어왔다. 자연스럽게 발전된 공연문화를 소화 할 수 있는 완성도 높은 공연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용공연장의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하지만 공연장들의 발전이 계속되어왔지만, 공연물의 발전에 비해 공연장의 발전은 미비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서양의 긴 공연장의 역사와는 달리 짧은 역사를 가진 우리나라의 공연장의 경우 짧은 시간 동안 공연공간의 중심지향, 용도의 다양화, 무대와 객석간의 인접성 강화 등 많은 발전이 있었지만 아직도 공연물을 상연하는데 있어 그 완성도가 떨어지는 건 사실이다. 실제 공연에 관련된 종사자 들은 애써 제작한 공연물을 가지고 공연장에 들어가서 그 공연장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제약조건으로 인하여 제작된 공연물의 상당부분을 포기해야 할 때 가장 안타깝다고 말하고 있다.
      또한 공연장의 공간구성이 공연장에서 공연의 완성도를 떨어뜨리는 원인으로 지적 받고 있는데 실제 현재 운영되고 있는 공연장을 보면 각각의 기능 군들의 연계성에 의한 배치가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국내 공연장들을 일본의 공연장들과 비교해 봤을 때 사용자의 동선에 대한 배려가 고려되지 않음으로 해서 실제로 공연을 하는 배우들과 공연물을 제작하는 스테프 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전용공연장의 필요성은 당연시 되고 있는 실정이며, 그에 맞는 건축계획에 관련된 연구가 수반되어야 한다. 특히 공연장의 공간에 대한 이해와 그 공간의 사용자에 대한 이해를 통해 사용자를 위한 건축계획이 될 수 있도록 그에 관련된 연구들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공연장의 공간구성이 공연물을 상연함에 있어 그 완성도를 떨어뜨린다는 지적을 받고 있어, 공연장의 공간에 대한 이해와 그 공간의 사용자에 대한 이해를 통해 사용자를 위한 건축계획이 될 수 있도록 그에 관련된 연구의 필요성에 의해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문제제기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의 고찰 결과 공연장의 House내의 연구는 많은 진척이 있었으나 공연장의 특성에 따른 공간의 특성과 그 사용자에 대한 연구 및 그 상호간의 관계에 따른 공간구성에 관련된 연구는 미흡한 상태에 있어, 본 연구에서는 공연장의 일반적인 공간 특성 및 사용자 특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 추출된 일반적인 공연장의 공간구성과 실제 운영되고 있는 공연장의 공간구성을 비교 분석하여 추후의 건립될 공연장에 있어 다양한 요구에 부합될 수 있는 기본 계획 방향의 지침을 제시 하고자 한다.
      우선 문헌을 통해 공연장의 일반적인 공간구성을 도출하여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였고, 실제 운영되고 있는 국내 공연장 중 역사의 기점이 되는 공연장을 포함하여 6개관 12개 공연장을 선정하여 인터뷰 및 현장답사를 통한 현황분석을 하였다. 또한 해외 공연장 중 우수한 5개관 12개 공연장을 분석하여 일반적 공간구성에서 도출한 각 공간별 계획 시 고려사항과 함께 비교하여 국내 공연장 현황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각 개선점과 발전방향을 도출 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조사·분석의 결과 본 연구의 조사대상관을 중심으로 진행한 공연장의 현황분석을 통한 문제점 및 개선점과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공연장에서 발생되는 공통적인 문제점으로는 관객동선과 배우 및 스텝동선의 충돌, 제작 및 창고 공간 부족, 하역 공간 부족, 출연자 관련 공간 부족 등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공연장의 실 사용자인 관객, 배우, 스텝의 불편을 야기 시키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공연을 상연함에 있어 그 완성도를 떨어뜨리는 원인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이러한 문제점의 원인으로는 크게 3가지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 공연장의 실 사용자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동선 및 공간구성
      ■ 공연물 제작 및 운영의 전반적 이해 부족
      ■ 운영적 특징과 상이한 공간구성
      셋째, 이러한 문제점의 원인들은 공연장의 계획 초기단계부터 필요한 체계적인 건립프로세스의 부재와 설계자의 공연물, 공연장, 공연장을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정확한 이해의 부족으로 인하여 발생되고 있다는 것을 분석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공연장이라는 건축의 특성에 그 사용자의 특성을 고려한 공간구성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공연장의 운영체제에 대응할 수 있는 공연장의 공간구성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공연장의 운영체제에 따라 필요 공간과 실의 개수, 발생되는 동선이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연장 계획 시 공연장의 성격이 먼저 결정되어 그 운영체제에 대응할 수 있는 공간계획 및 동선계획이 이루어져야한다.
      결국, 공연장의 공간구성에 있어서 기본적인 계획방향은 공연장 계획 시 체계적인 건립프로세스를 통한 계획 진행으로 공연장이 추구하는 운영적 측면에 부합되는 건축과 설계를 진행해야 하는 것이다. 즉, 설계자의 공연장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해 공연장의 특성 및 사용자를 고려한 공간구성을 고려하여 건립과정을 진행해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설계자의 공연장에 대한 전문성 확보가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erforming art originated religious rituals, and has the present form by reflecting the living condition and idea of each period. Religious performances started from rituals and chants, and developed into various forms, such as opera, musical, concert...

      Performing art originated religious rituals, and has the present form by reflecting the living condition and idea of each period. Religious performances started from rituals and chants, and developed into various forms, such as opera, musical, concert, symphony, ballet, play, and traditional theater. As the quality of human life improves, the demand for high quality performances and performing culture has increased. Naturally, in response to the changes, dedicated performing centers are needed. However, even if the centers have been continuously advanced, it is still poor compared to the development of performing arts.
      For their short history, performing arts centers in Korea have been greatly developed in the aspects of centralized performing space, varied usage of the centers, and the closeness between audience and stage; but the quality of performing arts is still unsatisfactory. According to the opinions of people in the field, big part of well-planned performing arts have to be given up due to various limited conditions of current performing arts center. People also indicated that poor spatial planning of the centers lowers the quality of performing arts. Compared to the performing centers in Japan, the performing centers in Korea have been planned without considering the circulation of users even if the functions of the centers are well arranged according to their connectivity. As a result, the complaints of performers and staff members are high.
      The demand for dedicated performing arts centers is ever increasing, and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come up with appropriate architectural planning that reflects the opinions of user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demand for such architectural planning. From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on the problem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a lot of studies on the house of the centers, but there were few studies done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enters and their space reflecting the needs of users. In this study, the spatial planning of the existing performing centers and the performing centers that ar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and users were compared, and the guidelines for the construction of future performing centers were suggested.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general spatial planning for the performing arts centers were derived, and a foundation for research was established. Interviews and on-site surveys were conducted on 12 auditoriums from 6 performing centers in Korea. By comparing them with 12 auditoriums from 5 representative performing centers abroad, the problems of local centers were derived, and the guidelines and improvement for future performing centers could be obtained.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es,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made:
      First, the common problems of the performing arts centers in Korea were: 1) a conflict between the circulation of the audience and the circulation of performers and staff members; 2) a shortage of production and storage space; 3) insufficient loading and unloading space; and 4) insufficient space for performers. It was found that such problems not only caused inconvenience to the audience, actors, and staff members, but also lowered the quality of performing arts.
      Second, there were the following three main causes of the problems:
      ■ Circulation and space were planned withou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of the centers;
      ■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performing arts; and
      ■ Spatial planning that did no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operation.
      Third, the analyses showed that these problems were caused by lack of systematic construction process from the beginning stage of planning performing arts centers, and by the planners' poor understanding of performing arts, performing centers, and the users. Accordingly, spatial planning should consider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centers and the users.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plan a space of performing art centers that reflects an operational system of the performing arts centers. It is because the size of space, the number of rooms, and circulation are determined by the operational system of performing arts centers.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enter should be decided prior to planning the space and circulation of a performing arts center.
      Therefore, the spatial planning of the performing arts should be proceeded based on a systematic construction process, and should reflect an operational system of a performing center. Based on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performing arts center, architects should proceed a construction process and come up with spatial planning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a center and the users. Also, architects with expertise in performing arts centers are greatly need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 Abstract = ⅳ
      • 목차 = ⅶ
      • 그림목차 = ⅸ
      • 사진목차 = xi
      • 국문초록 = ⅰ
      • Abstract = ⅳ
      • 목차 = ⅶ
      • 그림목차 = ⅸ
      • 사진목차 = xi
      • 표목차 = xiii
      • 제1장 서론
      • 1.1 연구의 배경 = 1
      • 1.2 연구의 목적 및 의의 = 2
      • 1.3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3
      • 1.4 연구의 진행 및 절차 = 4
      • 제2장 공연문화시설의 특성과 이론적 고찰
      • 2.1 공연문화시설의 특성 및 구분 = 7
      • 2.1.1 공연문화시설의 운영적 특징 = 7
      • 2.1.2 공연문화시설의 건축적 특징 = 15
      • 2.2 공연문화시설의 건립기획 프로세스 = 21
      • 2.2.1 공연문화시설 1차 기획 = 22
      • 2.2.2 공연문화시설 2차 기획 = 25
      • 제3장 공연문화시설의 일반적 공간구성 분석
      • 3.1 공연문화시설의 사용자 = 30
      • 3.1.1 기능별 사용자 = 30
      • 3.1.2 규모 및 성격별 사용자 = 38
      • 3.1.3 공연장의 조직과 인력구성 = 40
      • 3.2 공연문화시설의 일반적 공간구성 및 특성 = 43
      • 3.2.1 공연문화시설의 일반적 공간개념과 동선 시스템 = 45
      • 3.2.2 부분별 공간구조 및 동선시스템 = 50
      • 제4장 국내외 사례대상관의 현황 및 공간사용 실태 분석
      • 4.1 사례대상관의 분석의 전제 = 64
      • 4.2 국내 사례대상관의 현황조사 및 문제점 도출 = 66
      • 4.2.1 예술의 전당 = 68
      • 4.2.2 세종문화회관 = 80
      • 4.2.3 국립 극장 = 90
      • 4.2.4 대전 문화예술의 전당 = 98
      • 4.2.5 대구 오페라 하우스 = 105
      • 4.2.6. LG ART CENTER = 114
      • 4.3 해외 사례대상관 분석 = 120
      • 4.3.1 바스티유 오페라 하우스(L'Opera de la Bastille) = 121
      • 4.3.2 코펜하겐 오페라 하우스(Copenhagen Opera House) = 122
      • 4.3.3 동경 신 국립극장(Tokyo New National Theatre) = 123
      • 4.3.4 북경 국립 대극원(The National Grand Theatre) = 124
      • 4.3.5 월트 디즈니 콘서트 홀(Walt Disney Concert Hall) = 125
      • 4.4 국내 사례 대상관 분석 = 126
      • 4.4.1 배치 및 주위여건 = 126
      • 4.4.2 공공서비스 영역 및 관객영역 = 128
      • 4.4.3 제작 영역 및 공연지원영역 = 132
      • 4.4.4 공연 영역 = 136
      • 4.5. 분석 결과의 종합 = 142
      • 제5장 결론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