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지역성 반영 스토어 아이덴티티 비교연구 : 이솝·아크네 스튜디오 브랜드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57446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1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 공간디자인전공 , 2019. 8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29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comparative study on store identity reflecting locality : focusing on Aesop & Acne studios brands

      • 형태사항

        vii, 71장 : 천연색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주연
        국·영문초록수록
        참고문헌: 장 65-68

      • UCI식별코드

        I804:11064-000000023819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there are a few brands that are spatial marketing through differentiated store design by store. Different architects and In-house design teams have introduced various store models depending on different countries and regions, and it allows that a store itself can play a role in brand visual marketing. The representative brands are Aesop brand and Acne Studios brand. They incorporate local characteristics into space and interior materials to ensure that the store is in harmony with the area. Currently, while multiple brands develop store identity manuals for a unified look, brands such as Aesop and Acne Studios are delivering a unified brand visual by store through a more expanded store identity manual. This study, therefore, seeks to study locality reflecting store identity through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 analysis of Aesop and Acne studios brands. It is also aimed at making the brand identity well-shown even in the design of differentiated stores by store, and adding value harmoniously in balance with the region through store identity that reflects locality.
      This study is largely divided into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case studie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it defines the notion of locality and spatial marketing reflecting circumstances. In consequence of researching several examples, it classified and defined a spatial design reflecting its locality to the elements of environmental, traditional and cultural. It also defines the store identity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analyzing on prior studies, it also classified and defined the store identity to architectural, interior and visual elements. This is a comparative study on how the two brands – Aesop & Acne studios – reflect its locality which defined/classified as above to the spatial components of store identity.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locality reflecting store identity of the two brands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First, both brands have their own concepts in every store over the world. The similarity is that they have established a store identity with local characteristics reflecting the habitats condition where they located and their own philosophy on a concisely refined interior design. Secondly, the case of Aesop brand considers the traditional elements to apply its locality in priority. Meanwhile, for Acne studios brand, they regard a regional factors to their spatial design. Lastly, in order to achieve managing and planning of spatial design with the store identity which defined as showing space includes its philosophy and sensibility, both of the brands use the forming elements of store identity, distinction, consistency, integrity and sustainability. The distinction can be proved by its locality depending on location. For consistency and integrity, it applied on product display and furniture providing experience of their products in case of Aesop. On the other hand, regarding Acne studios, they maintain their finishes, furniture design, lighting and objects to have its certain store identity continuously.
      This study suggests establishing a brand’s store identity that reflects its locality depending on location, rather than developing a store identity in a unified look especially for a global brand, but reflecting the locality to adjust harmoniously its neighborhood.
      번역하기

      Recently, there are a few brands that are spatial marketing through differentiated store design by store. Different architects and In-house design teams have introduced various store models depending on different countries and regions, and it allows t...

      Recently, there are a few brands that are spatial marketing through differentiated store design by store. Different architects and In-house design teams have introduced various store models depending on different countries and regions, and it allows that a store itself can play a role in brand visual marketing. The representative brands are Aesop brand and Acne Studios brand. They incorporate local characteristics into space and interior materials to ensure that the store is in harmony with the area. Currently, while multiple brands develop store identity manuals for a unified look, brands such as Aesop and Acne Studios are delivering a unified brand visual by store through a more expanded store identity manual. This study, therefore, seeks to study locality reflecting store identity through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 analysis of Aesop and Acne studios brands. It is also aimed at making the brand identity well-shown even in the design of differentiated stores by store, and adding value harmoniously in balance with the region through store identity that reflects locality.
      This study is largely divided into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case studie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it defines the notion of locality and spatial marketing reflecting circumstances. In consequence of researching several examples, it classified and defined a spatial design reflecting its locality to the elements of environmental, traditional and cultural. It also defines the store identity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analyzing on prior studies, it also classified and defined the store identity to architectural, interior and visual elements. This is a comparative study on how the two brands – Aesop & Acne studios – reflect its locality which defined/classified as above to the spatial components of store identity.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locality reflecting store identity of the two brands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First, both brands have their own concepts in every store over the world. The similarity is that they have established a store identity with local characteristics reflecting the habitats condition where they located and their own philosophy on a concisely refined interior design. Secondly, the case of Aesop brand considers the traditional elements to apply its locality in priority. Meanwhile, for Acne studios brand, they regard a regional factors to their spatial design. Lastly, in order to achieve managing and planning of spatial design with the store identity which defined as showing space includes its philosophy and sensibility, both of the brands use the forming elements of store identity, distinction, consistency, integrity and sustainability. The distinction can be proved by its locality depending on location. For consistency and integrity, it applied on product display and furniture providing experience of their products in case of Aesop. On the other hand, regarding Acne studios, they maintain their finishes, furniture design, lighting and objects to have its certain store identity continuously.
      This study suggests establishing a brand’s store identity that reflects its locality depending on location, rather than developing a store identity in a unified look especially for a global brand, but reflecting the locality to adjust harmoniously its neighborhoo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매장별 차별화된 스토어 디자인을 통해 공간마케팅을 하고 있는 브랜드들이 있다. 서로 다른 건축가, 인하우스 디자인 등으로 각국 또는 지역별로 매장모습을 다르게 선보이며 매장 자체가 브랜드 비주얼 마케팅의 역할을 하도록 하고 있다. 그 중심에는 이솝 브랜드와 아크네 스튜디오 브랜드 등이 있다. 그들은 지역적 특성을 공간 및 인테리어 소재에 반영하여 매장이 그 지역과 조화를 이루도록 하고 있다. 현재 다수 브랜드들이 통일된 겉모습을 위한 스토어 아이덴티티 매뉴얼을 전개한다면, 이솝과 아크네 스튜디오 등의 브랜드들은 보다 확장된 스토어 아이덴티티 매뉴얼을 통해 매장 별로 통일성 있는 브랜드 이미지를 전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솝과 아크네 스튜디오 브랜드의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해 지역성을 반영한 스토어 아이덴티티에 관해 연구해보고자 한다. 또한 매장별 차별화된 스토어 디자인 속에서도 브랜드 정체성이 잘 드러나도록 하고, 지역성을 반영한 스토어 아이덴티티를 통해 지역과 어울려 조화롭게 가치를 더하는 공간을 제안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크게 이론고찰과 사례분석으로 나눠 진행한다. 이론고찰을 통해 지역성의 개념과 지역성을 반영한 공간마케팅에 관해 살펴본 후 선행연구를 통해 공간디자인에 반영된 지역성 표현요소를 환경적 요소, 전통적 요소, 문화적 요소로 분류하고 정의한다. 또한 스토어 아이덴티티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개념을 정의하고 선행연구를 통한 스토어 아이덴티티 공간구성요소를 건축요소, 실내요소, 비주얼요소로 분류하고 정의한다. 이렇게 분류된 지역성 표현요소가 스토어 아이덴티티 공간구성요소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두 개 브랜드의 사례분석을 통해 그 특성을 비교연구 한다.
      두 브랜드의 지역성 반영 스토어 아이덴티티에 관한 비교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두 브랜드 모두 전 세계 모든 매장에는 저마다의 컨셉이 있다. 공통점은 간결하고 정제된 인테리어 컨셉 위에 브랜드의 철학과 매장이 위치한 지역성을 반영하여 현지의 특색을 살린 스토어 아이덴티티를 구축했다는 것이다. 둘째, 이솝 브랜드의 경우 지역의 전통적 요소가 건축요소에 가장 많이 반영되었으며 아크네 스튜디오 브랜드의 경우 지역의 환경적 요소가 건축요소에 가장 많이 반영됨을 알 수 있다. 셋째, 두 브랜드 모두 스토어 아이덴티티, 즉 브랜드의 철학과 감성을 담는 공간을 계획하고 관리하기 위해 차별성, 일관성, 동일성, 지속성의 아이덴티티 형성요소를 모두 반영하고 관리하고 있다. 차별성은 매장이 위치할 지역성 반영 디자인으로, 일관성 및 동일성의 경우 이솝 브랜드는 제품진열과 제품체험을 할 수 있는 가구로, 아크네 스튜디오의 경우 마감재와 가구디자인, 조명 및 오브제를 통해 브랜드가 각인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공간에 반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글로벌 브랜드의 경우 통일된 모습으로 전 매장의 스토어 아이덴티티를 전개하기보다 매장이 위치할 곳의 지역성을 반영하여 다양하지만 그 지역과 어울리는 한 구성원으로 조화롭게 가치를 더하는 지역성을 반영한 브랜드 스토어 아이덴티티를 구축하는 것을 제안한다.
      번역하기

      최근 매장별 차별화된 스토어 디자인을 통해 공간마케팅을 하고 있는 브랜드들이 있다. 서로 다른 건축가, 인하우스 디자인 등으로 각국 또는 지역별로 매장모습을 다르게 선보이며 매장 자...

      최근 매장별 차별화된 스토어 디자인을 통해 공간마케팅을 하고 있는 브랜드들이 있다. 서로 다른 건축가, 인하우스 디자인 등으로 각국 또는 지역별로 매장모습을 다르게 선보이며 매장 자체가 브랜드 비주얼 마케팅의 역할을 하도록 하고 있다. 그 중심에는 이솝 브랜드와 아크네 스튜디오 브랜드 등이 있다. 그들은 지역적 특성을 공간 및 인테리어 소재에 반영하여 매장이 그 지역과 조화를 이루도록 하고 있다. 현재 다수 브랜드들이 통일된 겉모습을 위한 스토어 아이덴티티 매뉴얼을 전개한다면, 이솝과 아크네 스튜디오 등의 브랜드들은 보다 확장된 스토어 아이덴티티 매뉴얼을 통해 매장 별로 통일성 있는 브랜드 이미지를 전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솝과 아크네 스튜디오 브랜드의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해 지역성을 반영한 스토어 아이덴티티에 관해 연구해보고자 한다. 또한 매장별 차별화된 스토어 디자인 속에서도 브랜드 정체성이 잘 드러나도록 하고, 지역성을 반영한 스토어 아이덴티티를 통해 지역과 어울려 조화롭게 가치를 더하는 공간을 제안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크게 이론고찰과 사례분석으로 나눠 진행한다. 이론고찰을 통해 지역성의 개념과 지역성을 반영한 공간마케팅에 관해 살펴본 후 선행연구를 통해 공간디자인에 반영된 지역성 표현요소를 환경적 요소, 전통적 요소, 문화적 요소로 분류하고 정의한다. 또한 스토어 아이덴티티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개념을 정의하고 선행연구를 통한 스토어 아이덴티티 공간구성요소를 건축요소, 실내요소, 비주얼요소로 분류하고 정의한다. 이렇게 분류된 지역성 표현요소가 스토어 아이덴티티 공간구성요소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두 개 브랜드의 사례분석을 통해 그 특성을 비교연구 한다.
      두 브랜드의 지역성 반영 스토어 아이덴티티에 관한 비교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두 브랜드 모두 전 세계 모든 매장에는 저마다의 컨셉이 있다. 공통점은 간결하고 정제된 인테리어 컨셉 위에 브랜드의 철학과 매장이 위치한 지역성을 반영하여 현지의 특색을 살린 스토어 아이덴티티를 구축했다는 것이다. 둘째, 이솝 브랜드의 경우 지역의 전통적 요소가 건축요소에 가장 많이 반영되었으며 아크네 스튜디오 브랜드의 경우 지역의 환경적 요소가 건축요소에 가장 많이 반영됨을 알 수 있다. 셋째, 두 브랜드 모두 스토어 아이덴티티, 즉 브랜드의 철학과 감성을 담는 공간을 계획하고 관리하기 위해 차별성, 일관성, 동일성, 지속성의 아이덴티티 형성요소를 모두 반영하고 관리하고 있다. 차별성은 매장이 위치할 지역성 반영 디자인으로, 일관성 및 동일성의 경우 이솝 브랜드는 제품진열과 제품체험을 할 수 있는 가구로, 아크네 스튜디오의 경우 마감재와 가구디자인, 조명 및 오브제를 통해 브랜드가 각인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공간에 반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글로벌 브랜드의 경우 통일된 모습으로 전 매장의 스토어 아이덴티티를 전개하기보다 매장이 위치할 곳의 지역성을 반영하여 다양하지만 그 지역과 어울리는 한 구성원으로 조화롭게 가치를 더하는 지역성을 반영한 브랜드 스토어 아이덴티티를 구축하는 것을 제안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 2. 이론적 고찰 4
      • 2.1 지역성과 공간마케팅 4
      • 1. 서론 1
      •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 2. 이론적 고찰 4
      • 2.1 지역성과 공간마케팅 4
      • 2.1.1 지역성의 개념 4
      • 2.1.2 공간마케팅의 개념 5
      • 2.1.3 지역성을 반영한 공간마케팅 7
      • 2.2 지역성 표현 요소의 분류 및 용어 정의 9
      • (1) 환경적 요소 13
      • (2) 전통적 요소 13
      • (3) 문화적 요소 13
      • 2.3 스토어 아이덴티티(Store Identity: SI) 개념 15
      • 2.3.1 스토어 아이덴티티의 이론적 고찰 15
      • 2.3.2 스토어 아이덴티티의 정의 17
      • 2.4 스토어 아이덴티티 (Store Identity: SI) 공간구성요소 18
      • 3. 사례연구 21
      • 3.1 사례연구 대상 및 분석의 틀 21
      • 3.1.1 사례연구 대상 21
      • (1) 이솝 23
      • (2) 아크네 스튜디오 26
      • 3.1.2 사례분석을 위한 종합 매트릭스 28
      • 3.2 이솝 사례연구 30
      • 3.2.1 Aesop, Sounds Hannam 30
      • 3.2.2 Aesop, Corso Magenta 31
      • 3.2.5 Aesop, Duke of York Square 32
      • 3.2.4 Aesop Rue de Namur 33
      • 3.2.5 Aesop, Shibuya II 34
      • 3.3 아크네 스튜디오 사례연구 35
      • 3.3.1 Acne Studios, Cheongdam 35
      • 3.3.2 Acne Studios, Berlin 36
      • 3.3.3 Acne Studios, Milan 37
      • 3.3.4 Acne Studios, San Francisco 38
      • 3.3.5 Acne Studios, West Hollywood 39
      • 3.4 소결 40
      • 4. 작품계획 46
      • 4.1 지역성을 반영한 스토어 디자인 46
      • 4.1.1 프로젝트 목적과 배경 46
      • 4.1.2 대상지 선정 및 분석 47
      • 4.2 공간 계획 (PLANNING) 49
      • 4.2.1 CONCEPT 49
      • 4.2.2 DESIGN IMAGE 50
      • 4.2.3 3D IMAGE 51
      • (1) FACADE 51
      • (2) PERSPECTIVE 52
      • (3) ISOMETRIC-1 53
      • (4) ISOMETRIC-2 54
      • 4.2.3 FLOOR PLAN 55
      • 4.2.4 CEILING PLAN 56
      • 4.2.5 ELEVATION 57
      • (1) FACADE 57
      • (2) ELEVATION-A, A’ 58
      • (3) ELEVATION-B, B’ 59
      • (4) ELEVATION-C, D 60
      • 4.2.6 MATERIAL 61
      • 4.2.7 패널 계획 62
      • 5. 결 론 63
      • 참 고 문 헌 65
      • ABSTRACT 6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