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1 교육개혁 및 1996 교육정보화 계획 이래 교육정보화에 대한 예산 투자가 지속·확대되고 있다. 정부는 향후 지식정보사회 도래에 대처하기 위해 교육정보화 사업 확대를 계획하고 있어 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8945654
[대전]: 대전대학교, 2002
학위논문(석사) -- 대전대학교교육대학원 , 컴퓨터 교육 , 2002
2002
한국어
376.000
대한민국
v, 75 p..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5.31 교육개혁 및 1996 교육정보화 계획 이래 교육정보화에 대한 예산 투자가 지속·확대되고 있다. 정부는 향후 지식정보사회 도래에 대처하기 위해 교육정보화 사업 확대를 계획하고 있어 지...
5.31 교육개혁 및 1996 교육정보화 계획 이래 교육정보화에 대한 예산 투자가 지속·확대되고 있다. 정부는 향후 지식정보사회 도래에 대처하기 위해 교육정보화 사업 확대를 계획하고 있어 지금까지 추진된 학교 정보화 실태에 대한 이해와 7차교육과정의 실태를 파악하고 향후 학교 정보화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방안 모색 자료의 필요성에 의거하여 이 연구는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문헌 및 통계 자료 분석, 현장 학교의 설문 조사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중학교 컴퓨터 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찾아내고 그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컴퓨터 교육 대상인 학생의 수준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멀티미디어 기기 활용 실태는 어떠한가? 셋째, 컴퓨터 교육시설상의 실태는 어떠한가? 넷째, 교육과정 운영상의 실태는 어떠한가? 다섯째, 컴퓨터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교사와 학생간의 차이는 어느 정도인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현재 중학교 7학년에 재학생 552명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컴퓨터 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중학교 컴퓨터 교육의 실태상 문제점은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크게 응답하였다. 첫째로 89.7%가 컴퓨터 관련 교과 내용을 강화 하여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주당 컴퓨터 관련 교과 이수 희망시간을 늘려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65.1%가 필수·선택과목으로 운영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중학교의 컴퓨터 교육은 실생활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지적된 컴퓨터 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이 일곱가지로 압축할 수 있다. 첫째, 컴퓨터 교육 담당교사의 확보가 우선되어야 한다. 둘째, 컴퓨터 연수교육의 연수제도는 더욱 발전시키고 강화해야 한다. 셋째, 1人 1대의 실습이 가능해야 하며, 기종은 펜티엄급 이상이 되어야 한다. 넷째, 한 학급이 동시에 같은 내용의 학습을 할 수 있는 교실망(LAN)의 설치가 바람직하다. 다섯째, 효과적인 실습이 되도록 프린터(10명당 1대)및 OHP, 실물화상기 등의 기자재가 갖추어져야 되며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이 구비되어야 한다. 여섯째,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의 활용능력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일곱째, 현행 컴퓨터 관련교과목의 내용을 정보화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수정·개편해야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2015 KERIS 교육정보화 심포지엄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임승빈, 김금순, 김은기, 범수균, 김보배, 김현철, 이수지, 최기용, 박현재, 오지연, 현연숙, 이종분, 이한진, 서정희, 최성보, 문무상, 정광훈, 안성훈, 남부호, 서남수, 손동철, 이경희2012 KERIS 교육정보화 심포지엄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장기원, 한국교육방송공사, 임연욱, 이태억, 송은정, 신성욱, 조석연, 김보선, 서희석, 정현선, 김현진, 정순원, 김홍래, 천세영2014 KERIS 교육정보화 심포지엄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차상균, 이의길, 이영호, 임철일, 이수지, 정우열, 변용완, 황윤진, 손범택, 남기량, 정유란, 최준혁, 정성아, 장시준, 계보경, 정의석, 김현철, 서혜숙, 정병호교육정보화 ODA사업의 운영 사례와 발전 방안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서정희, KERIS 글로벌 정책 연구단2011 KERIS 교육정보화 심포지엄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김철균, 이각범, 원지혜, 임수철, 서지현, 심광훈, 김미영, 강효주, 김일영, 김수미, 김현성, 방기용, 박성준, 임승창, 천세영, 김태훈, 김군호, 주형미, 홍명희, 안양옥, 권영선, 유재택, 정광훈, 김진숙, 서혜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