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현병 환자를 위한 격려 중심 사회인지 재활프로그램 적용: 사례연구 = Application of Encouragement-oriented Social Cognition Rehabilitation Program for Schizophrenics: Case Stud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699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preliminary study to verify the effect of additional application of encouraging factors emphasized by Adler school as a way to assist in social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s that have been used to improve social cognition abilities of schizophrenics. To verify this, 16 sessions of ‘encouragement-oriented social cognition rehabilitation program’ was conducted to 6 applicants who applied for participation in the local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 and pre and post-examination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using criterions related with encouragement and social cognition, and data collected through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were examined. The study found that positive changes were made in their social interest area, which consisted of social interest behavior and social interest attitude, but an interpretation was need considering the limitations of case studies which are also preliminary studies. The analysis of the case interviews resulted in 2 areas, 16 sub-areas and 4 categories, and social knowledge typically improved in all cases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disappointment, frustration and defeat due to the deterioration and damage of their social cognitive abilities showed an improved interest in other people’s relationships and learning social knowledge as social beings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e possibility that repeated encouragement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in social cognition related programs affecting positive social behaviors and attitude changes in schizophrenics was confirmed through study participan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is study is a preliminary study to verify the effect of additional application of encouraging factors emphasized by Adler school as a way to assist in social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s that have been used to improve social cognition abilities...

      This study is a preliminary study to verify the effect of additional application of encouraging factors emphasized by Adler school as a way to assist in social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s that have been used to improve social cognition abilities of schizophrenics. To verify this, 16 sessions of ‘encouragement-oriented social cognition rehabilitation program’ was conducted to 6 applicants who applied for participation in the local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 and pre and post-examination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using criterions related with encouragement and social cognition, and data collected through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were examined. The study found that positive changes were made in their social interest area, which consisted of social interest behavior and social interest attitude, but an interpretation was need considering the limitations of case studies which are also preliminary studies. The analysis of the case interviews resulted in 2 areas, 16 sub-areas and 4 categories, and social knowledge typically improved in all cases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disappointment, frustration and defeat due to the deterioration and damage of their social cognitive abilities showed an improved interest in other people’s relationships and learning social knowledge as social beings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e possibility that repeated encouragement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in social cognition related programs affecting positive social behaviors and attitude changes in schizophrenics was confirmed through study participan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조현병 환자의 사회인지 능력을 향상하는데 사용되어왔던 사회인지 재활프로그램에 아들러 학파에서 조력을 위한 방법으로 강조하는 격려 요인을 추가로 적용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예비연구이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참가 신청한 6명을 대상으로 16회기로 구성된 ‘격려 중심 사회인지재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격려 및 사회인지 관련 척도를 사용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진행했고, 합의적 질적 분석(CQR) 통해 수렴된 자료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사회적 관심 행동과 사회적 관심 태도로 구성된 사회적 관심 영역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으나 사례연구이자 예비연구의 한계를 고려한 해석이 필요했다. 사례 면담 내용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2개의 영역, 16개의 하위 영역, 4개의 범주로 도출되고, 프로그램에 참여한 모든 사례에서 전형적으로 사회적 지식(social knowledge)이 향상되었다. 사회인지 능력의 저하와 손상으로 인해 낙담과 좌절 및 패배감을 경험했던 참여자는 본 프로그램의 참여 후에 사회적 존재로서 타인과 인간관계에 대한 관심이 향상되고, 사회적 지식을 학습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반복적인 격려 활동 및 사회인지와 관련된 프로그램 참여가 조현병 환자에게 긍정적인 사회적 행동 및 태도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연구 참여자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를 위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조현병 환자의 사회인지 능력을 향상하는데 사용되어왔던 사회인지 재활프로그램에 아들러 학파에서 조력을 위한 방법으로 강조하는 격려 요인을 추가로 적용한 효과를 검증하...

      본 연구는 조현병 환자의 사회인지 능력을 향상하는데 사용되어왔던 사회인지 재활프로그램에 아들러 학파에서 조력을 위한 방법으로 강조하는 격려 요인을 추가로 적용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예비연구이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참가 신청한 6명을 대상으로 16회기로 구성된 ‘격려 중심 사회인지재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격려 및 사회인지 관련 척도를 사용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진행했고, 합의적 질적 분석(CQR) 통해 수렴된 자료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사회적 관심 행동과 사회적 관심 태도로 구성된 사회적 관심 영역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으나 사례연구이자 예비연구의 한계를 고려한 해석이 필요했다. 사례 면담 내용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2개의 영역, 16개의 하위 영역, 4개의 범주로 도출되고, 프로그램에 참여한 모든 사례에서 전형적으로 사회적 지식(social knowledge)이 향상되었다. 사회인지 능력의 저하와 손상으로 인해 낙담과 좌절 및 패배감을 경험했던 참여자는 본 프로그램의 참여 후에 사회적 존재로서 타인과 인간관계에 대한 관심이 향상되고, 사회적 지식을 학습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반복적인 격려 활동 및 사회인지와 관련된 프로그램 참여가 조현병 환자에게 긍정적인 사회적 행동 및 태도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연구 참여자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를 위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진성, "지역사회 조현병 환자를 위한 정서인식력 강화-사회인지 재활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예비 연구: 정서인식력 향상을 위한 안면피드백 방식 적용"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5 (15): 229-246, 2015

      2 전영천, "지도자의 리더십 행동유형에 따른 선수만족이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8 (8): 495-503, 2014

      3 김나라, "조현병 환자의 사회인지 능력 측정을 위한 사회행동 배열과제 개정판의 타당도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34 (34): 1-16, 2015

      4 현지원, "조현병 환자에서 음성증상과 사회인지의 연관성"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2 (22): 84-92, 2016

      5 박상규, "조망적 사회기술훈련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사회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19 (19): 629-643, 2000

      6 윤소현, "정신장애인 집단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재활심리학회 25 (25): 583-602, 2018

      7 리광철, "정신분열병 환자의 인지결함" 한국임상심리학회 21 (21): 377-389, 2002

      8 권정혜, "정신분열병 환자를 위한 사회인지 재활프로그램의 효과:Ⅰ. 1차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21 (21): 281-292, 2002

      9 이은선, "정신분열병 환자를 위한 개정판 사회인지 재활프로그램의 효과 : 예비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10 노안영, "자기격려-낙담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상담심리학회 19 (19): 675-692, 2007

      1 김진성, "지역사회 조현병 환자를 위한 정서인식력 강화-사회인지 재활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예비 연구: 정서인식력 향상을 위한 안면피드백 방식 적용"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5 (15): 229-246, 2015

      2 전영천, "지도자의 리더십 행동유형에 따른 선수만족이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8 (8): 495-503, 2014

      3 김나라, "조현병 환자의 사회인지 능력 측정을 위한 사회행동 배열과제 개정판의 타당도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34 (34): 1-16, 2015

      4 현지원, "조현병 환자에서 음성증상과 사회인지의 연관성"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2 (22): 84-92, 2016

      5 박상규, "조망적 사회기술훈련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사회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19 (19): 629-643, 2000

      6 윤소현, "정신장애인 집단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재활심리학회 25 (25): 583-602, 2018

      7 리광철, "정신분열병 환자의 인지결함" 한국임상심리학회 21 (21): 377-389, 2002

      8 권정혜, "정신분열병 환자를 위한 사회인지 재활프로그램의 효과:Ⅰ. 1차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21 (21): 281-292, 2002

      9 이은선, "정신분열병 환자를 위한 개정판 사회인지 재활프로그램의 효과 : 예비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10 노안영, "자기격려-낙담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상담심리학회 19 (19): 675-692, 2007

      11 홍혜영, "완벽주의 성향, 자기효능감, 우울과의 관계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5

      12 김미란,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에 근거한 격려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한국상담학회 7 (7): 1093-1106, 2006

      13 기채영, "아동용 자기격려척도 개발과 타당화" 한국놀이치료학회 11 (11): 49-69, 2008

      14 정민, "사회적 관심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상담학회 14 (14): 2571-2583, 2013

      15 권정혜, "사회인지 재활프로그램" 학지사 2003

      16 김성훈, "농구선수들의 자기격려-낙담과 자기관리, 자아존중감, 운동지속의지간의 인과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1 (11): 123-139, 2017

      17 Sherer, M., "The self-efficacy scale : Construction and validation" 51 (51): 663-671, 1982

      18 Knapp, M., "The global costs of schizophrenia" 30 (30): 279-293, 2004

      19 Couture, S. M., "The functional significance of social cognition in schizophrenia: a review" 32 (32): S44-S63, 2006

      20 Benton, M. K., "Social skills training with schizophrenics: a metaanalytic evaluation" 58 (58): 741-, 1990

      21 Smith, T. E., "Social skills training for schizophrenia : Review and future directions" 16 (16): 599-617, 1996

      22 Sullivan, G., "Social skills and relapse history in outpatient schizophrenics" 53 (53): 340-345, 1990

      23 Fulford, D., "Social motivation in schizophrenia: The impact of oxytocin on vigor in the context of social and nonsocial reinforcement" 127 (127): 116-128, 2018

      24 Kurtz, M. M., "Social cognitive training for schizophrenia: a meta-analytic investigation of controlled research" 38 (38): 1092-1104, 2012

      25 Horan, W. P., "Social cognitive skills training in schizophrenia: an initial efficacy study of stabilized outpatients" 107 (107): 47-54, 2009

      26 Green, M. F., "Social cognition in schizophrenia: recommendations from the measurement and treatment research to improve cognition in schizophrenia new approaches conference" 31 (31): 882-887, 2005

      27 Green, M. F., "Social cognition in schizophrenia: an NIMH workshop on definitions, assessment, and research opportunities" 34 (34): 1211-1220, 2008

      28 Green, M. F., "Social cognition in schizophrenia" 19 (19): 243-248, 2010

      29 Choi, K. -H., "Social cognition enhancement training for schizophrenia: a preliminary randomized controlled trial" 42 (42): 177-187, 2006

      30 Fiske, S. T., "Social cognition Reading" Addison-wesley 1983

      31 Combs, D. R., "Social Cognition and Interaction Training (SCIT) for inpatients with schizophrenia spectrum disorders: preliminary findings" 91 (91): 112-116, 2007

      32 Jablensky, A., "Schizophrenia: recent epidemiologic issues" 17 (17): 10-20, 1995

      33 Bellack, A. S., "Psychosocial treatment for schizophrenia" 19 (19): 317-336, 1993

      34 Kwak, K., "Korean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III (K-WISC-III)" Seoul Special Education Publishing Co 2001

      35 염태호, "K-WAIS 실시요강" 한국가이던스 105-170, 1992

      36 Corrigan, P., "Introduction: Framing models of social cognition and schizophrenia" 3-37, 2001

      37 Pinkham, A. E., "Implications for the neural basis of social cognition for the study of schizophrenia" 160 (160): 815-824, 2003

      38 Schoenaker, T., "Ich weiss, ich bin okay: Mut tut gut" Horizonte 1991

      39 Bellack, A. S., "Evaluation of social problem solving in schizophrenia" 103 (103): 371-, 1994

      40 Elliott, R., "Entering the circle:Hermeneutic investigations in psychology" 165-184, 1989

      41 Horan, W. P., "Efficacy and specificity of social cognitive skills training for outpatients with psychotic disorders" 45 (45): 1113-1122, 2011

      42 Bowie, C. R., "Determinants of real-world functional performance in schizophrenia subjects: correlations with cognition, functional capacity, and symptoms" 163 (163): 418-425, 2006

      43 Kern, R. S., "Definition and measurement of neurocognition and social cognition Neurocognition and social cognition in schizophrenia patients (Vol. 177)" Karger Publishers 1-22, 2010

      44 Perlick, D., "Contribution of family, cognitive and clinical dimensions to long-term outcome in schizophrenia" 6 (6): 257-265, 1992

      45 Hill, C. 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 practical resource for investigating social science phenomena"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2

      46 Beck, A. T., "Cognitive approaches to schizophrenia: theory and therapy" 1 : 577-606, 2005

      47 Gohar, S. M., "Adapting and evaluating a social cognitive remediation program for schizophrenia in Arabic" 148 (148): 12-17, 2013

      48 Tek, C., "A five-year followup study of deficit and nondeficit schizophrenia" 49 (49): 253-260,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1 1.71 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5 1.81 2.936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