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뇌의 기억 인출에 대한 유효 EEG 연결성 분석 = Analysis on Effective EEG Connectivity of Memory Retrieval in the Brai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728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뇌의 활성화 반응을 바탕으로 인간의 기억 과정을 이해하고자 하는 연구는 뇌인지 및 신경 과학에서 핵심적인 연구 분야로 주목받고 있다. 지난 수십 년간 많은 연구를 통해 기억 인출에 따...

      뇌의 활성화 반응을 바탕으로 인간의 기억 과정을 이해하고자 하는 연구는 뇌인지 및 신경 과학에서 핵심적인 연구 분야로 주목받고 있다. 지난 수십 년간 많은 연구를 통해 기억 인출에 따른 뇌의 역할이 규명되었지만, 최근에는 뇌 기능과 관련된 연구가 특정 역할을 담당하는 뇌 영역들을 구분하는 방법이 아닌 각 영역 간의 상호작용 및 기능적 연결성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유효 연결성은 활성화 영역 간의 인과 관계를 설명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 뇌과학 연구에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분석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억인출 과제 수행 중 기록된 EEG 데이터로부터 기억 인출에 따른 뇌 영역 간 유효 연결성을 계산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해당 영역간의 네트워크 구조를 분석한 결과에 대해 논한다. 실험 결과, 기억인출시 전두 영역, 내측두 영역 일부, 두정 영역 일부 그리고 후두 영역 일부를 포함한 뇌 영역들이 긴밀하게 연결되는 네트워크 구조를 보이며, 상전두이랑(superior frontal gyrus) 영역의 경우 이들 영역 전체를 아울러 정보흐름이 나타나는, 허브 노드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 advances in cognitive neuroscience have focused on the role of inter-areal interactions between various specialized brain regions and functional connectivity in human cognition. Decades of neuroimaging and patient lesion studies demonstrated th...

      Recent advances in cognitive neuroscience have focused on the role of inter-areal interactions between various specialized brain regions and functional connectivity in human cognition. Decades of neuroimaging and patient lesion studies demonstr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oles of specific brain structures in memory retrieval, however, neuronal mechanisms based on effective connectivity underlying the coordination of this anatomically distributed information processing have remain largely unknown. Here we investigate the information flow network of the human brain during memory retrieval. The experimental results reveal that the episodic memory retrieval involves increase of information flow and densely interconnected networks between the prefrontal cortex, the medial temporal lobe, and some subregions of the parietal and occipital cortex. In this network, interestingly, we found the SFG acted as a hub, globally interconnected across broad brain reg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 내용 및 방법
      • 3. 실험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 내용 및 방법
      • 3. 실험 결과 및 고찰
      • 4. 결론 및 향후 연구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O. Sporns, "The human connectome: a complex network" 1224 : 109-125, 2011

      2 B. Horwitz, "The elusive concept of brain connectivity" 19 : 466-470, 2003

      3 H. J. Park, "Structural and Functional Brain Networks: From Connections to Cognition" AMER ASSOC ADVANCEMENT SCIENCE 342 (342): 1-8, 2013

      4 K. J. Mitchell, "Source monitoring 15 years later: what have we learned from fMRI about the neural mechanisms of source memory?" 135 : 638-677, 2009

      5 R. S. Blumenfeld, "Prefrontal cortex and long-term memory encoding: an integrative review of findings from neuropsychology and neuroimaging" 13 : 280-291, 2007

      6 J. S. Simons, "Prefrontal and medial temporal lobe interactions in long-term memory" 4 : 637-648, 2003

      7 J. B. Hutchinson, "Posterior parietal cortex and episodic retrieval: convergent and divergent effects of attention and memory" 16 : 343-356, 2009

      8 H. Lütkepohl, "New Introduction to Multiple Time Series Analysis" Springer 2006

      9 O. Sporns, "Networks of the Brain" MIT Press 2010

      10 K. Friston, "Functional and effective connectivity in neuroimaging: A synthesis" 2 : 56-78, 1994

      1 O. Sporns, "The human connectome: a complex network" 1224 : 109-125, 2011

      2 B. Horwitz, "The elusive concept of brain connectivity" 19 : 466-470, 2003

      3 H. J. Park, "Structural and Functional Brain Networks: From Connections to Cognition" AMER ASSOC ADVANCEMENT SCIENCE 342 (342): 1-8, 2013

      4 K. J. Mitchell, "Source monitoring 15 years later: what have we learned from fMRI about the neural mechanisms of source memory?" 135 : 638-677, 2009

      5 R. S. Blumenfeld, "Prefrontal cortex and long-term memory encoding: an integrative review of findings from neuropsychology and neuroimaging" 13 : 280-291, 2007

      6 J. S. Simons, "Prefrontal and medial temporal lobe interactions in long-term memory" 4 : 637-648, 2003

      7 J. B. Hutchinson, "Posterior parietal cortex and episodic retrieval: convergent and divergent effects of attention and memory" 16 : 343-356, 2009

      8 H. Lütkepohl, "New Introduction to Multiple Time Series Analysis" Springer 2006

      9 O. Sporns, "Networks of the Brain" MIT Press 2010

      10 K. Friston, "Functional and effective connectivity in neuroimaging: A synthesis" 2 : 56-78, 1994

      11 K. Jriston, "Functional and Effective Connectivity: A Review" 1 (1): 13-36, 2011

      12 A. Delorme, "EEGLAB: an open source toolbox for analysis of single-trial EEG dynamics" 134 : 9-21, 2004

      13 A. Korzeniewska, "Determination of information flow direction among brain structures by a modified directed transfer function (dDTF) method" 125 : 195-207, 2003

      14 E. Bullmore, "Complex brain networks: graph theoretical analysis of structural and functional systems" 10 : 186-198, 2009

      15 T. Mullen, "An Electrophysiological Information Flow Toolbox for EEGLAB" Society for Neuroscience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9-1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보과학회논문지 : 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IISE : 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KIISE Transactions on Computing Practices
      KCI등재
      2013-04-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ISS : 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Journal of KIISE : 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보과학회논문지 : 컴퓨팅의 실제 -> 정보과학회논문지 : 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외국어명 : Journal of KISS : Computing Practices -> Journal of KISS : 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4 0.21 0.503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