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농업 토착 지식, 기술, 문화의 발굴과 교육 방안 = Excavation and Educational Uses of the Indigenous Knowledge, Technology, and Culture in Korean Agricul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949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cavate the indigenous knowledge, technology, and culture in Korea agriculture and to suggest their uses for edu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 of all, the researchers proposed a theoretical model for excavat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cavate the indigenous knowledge, technology, and culture in Korea agriculture and to suggest their uses for edu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 of all, the researchers proposed a theoretical model for excavating indigenous knowledge, technology, and culture in agriculture through the review of literature. Second, the researchers collected raw data through conducting literature review, interviews with expert, and field survey sources and selected agricultural indigenous things based on indigenous indicator(locality, non-formality, transferability, utility), and then finally classified them into agricultural indigenous knowledge, technology, or culture. The scope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production agricultural areas such as crop, horticulture, forestry, livestock, and insect and agricultural culture due to limited time, finance, and labor for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posed model for excavating the indigenous knowledge, technology, and culture in agriculture was valid and suitable: it consisted of the stages of deciding the field of agriculture, collecting raw data of indigenous agriculture, judging the indigenous agriculture, and classifying the indigenous agriculture into the indigenous knowledge, technology or culture. Second, based on the above proposed model, the fields of production agriculture in Korea were explored and uc4 varieties of indigenous knowledge, technology and culture were excavated. Of the fields of production agriculture, there are more crop, horticulture and livestock indigenous knowledge, technology and culture thndiothers. The number of the indigenous knowledge in agriculture was more thndithnt of the indigenous technology and culture. Third, the indigenous knowledge, technology and culture stock indiagriculture should be taught in a way to build the base for inheriting ndd making eco-friendly use of them. Especially, education of agricultural indigenous knowledge, technology and culture should be linked from primary to middle to high school to university and it should be provided differently by either liberal education or professional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농업 토착 지식, 기술, 문화를 발굴하고,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농업 토착 지식, 기술, 문화의 발굴 모형을 탐색하고, 문헌, 전...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농업 토착 지식, 기술, 문화를 발굴하고,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농업 토착 지식, 기술, 문화의 발굴 모형을 탐색하고, 문헌, 전문가 인터뷰, 그리고 현지조사 자료를 통하여 발굴 원자료를 수집하고, 토착 지표(지역성, 무형식성, 전승성, 유용성)를 활용하여 농업 토착물을 선별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이것들을 지식, 기술, 문화 및 농업 분야에 따라 분류하였다. 다만, 이 연구의 발굴 범위는 시간, 재원, 인력의 한계로 작물, 원예, 산림, 축산, 및 곤충으로 구성된 생산농업과 농업 문화로 한정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업 토착 지식, 기술, 문화의 발굴 모형은 발굴 절차 및 방법에 따라 농업 분야 탐색, 발굴 원자료 수집, 농업 토착 판단, 그리고 농업 토착 지식·기술·문화 분류의 과정으로 구성하는 것이 적절하였으며, 실제로 이러한 모형에 따라 발굴한 결과 이 모형은 농업 토착물의 발굴에 용이하였다. 둘째, 발굴 모형에 기초하여 한국 농업의 토착 지식, 기술, 문화를 발굴한 결과 총 114건이 발굴되었고, 농업 분야 중 작물, 원예, 축산 내용이 많았으며, 토착 지식이 기술이나 문화보다 많았다. 셋째, 한국 농업 토착 지식, 기술, 문화의 교육은 이를 계승하고 친환경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측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초·중·고등학교 및 대학의 농업 토착 지식, 기술, 문화에 관한 교육이 연계되도록 이루어져야 하며, 그 수준에 따라 교양교육과 전문교육으로 구별하여 차별화되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배영동, "향토자원의 활용을 위한 시스템 구축과 정책방향" 31-49, 2006

      2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3 김미희, "친환경농업을 위한 전통지식기술모음"

      4 나승일, "초·중·고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을 위한 농업관련교과의 연계방안 연구" 32 (32): 27-51, 2000

      5 김진순, "중․고등학교 기술교과 교육내용의 구조화" 14 (14): 1-24, 1989

      6 나승일, "정보화 사회의 초·중·고등학생들을 위한 교양농업교육의 내용에 관한 연구" 31 (31): 21-41, 1999

      7 농촌진흥청, "전통지식모음집; 생산⋅이용기술"

      8 유명님, "전통지식 자원의 활용실태에 관한 연구" 143-152, 2003

      9 김행란, "전통지식 자원의 활용실태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14 (14): 93-106, 2003

      10 정수진, "이론적 접근에 의한 기술의 개념요소 구명" 한국직업교육학회 23 (23): 127-141, 2004

      1 배영동, "향토자원의 활용을 위한 시스템 구축과 정책방향" 31-49, 2006

      2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3 김미희, "친환경농업을 위한 전통지식기술모음"

      4 나승일, "초·중·고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을 위한 농업관련교과의 연계방안 연구" 32 (32): 27-51, 2000

      5 김진순, "중․고등학교 기술교과 교육내용의 구조화" 14 (14): 1-24, 1989

      6 나승일, "정보화 사회의 초·중·고등학생들을 위한 교양농업교육의 내용에 관한 연구" 31 (31): 21-41, 1999

      7 농촌진흥청, "전통지식모음집; 생산⋅이용기술"

      8 유명님, "전통지식 자원의 활용실태에 관한 연구" 143-152, 2003

      9 김행란, "전통지식 자원의 활용실태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14 (14): 93-106, 2003

      10 정수진, "이론적 접근에 의한 기술의 개념요소 구명" 한국직업교육학회 23 (23): 127-141, 2004

      11 신동빈, "식품분야 전통지식 조사보고서" 특허청 2003

      12 김영순,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지역문화 교육방안 연구" 인문콘텐츠학회 7 (7): 7-22, 2006

      13 정창수, "문화의 정의와 문화 현상의 사회학적인 분석을 위한 제 과제들" 25 (25): 253-287, 1995

      14 박덕병, "농촌의 내생적 발전을 위한 전통지식 개발전략" 한국농촌사회학회 13 (13): 161-205, 2003

      15 김수석, "농업․농촌관련 토착자원의 권리보호체계 수립 방안"

      16 노태천, "기술이란 무엇인가" 11 (11): 83-91, 1986

      17 김상배, "기술과 지식, 그리고 기식: 정보혁명의 국제정치학적 탐구를 위한 개념적 기초" 한국국제정치학회 45 (45): 57-82, 2005

      18 Grenier,L, "Working with indigenous knowledge: a guide for researchers"

      19 Semali,L.M.,, "What is Indigenous Knowledge?" Palmer Press 1999

      20 Cairns,M, "Voices from the forest:integrating indigenous knowledge into sustainable farming" Resources for the Future 2005

      21 Williams,D.J, "Utilizing Indigenous Knowledge Systems in Agricultural Education to Promote Sustainable Agriculture" 32 (32): 52-56, 1991

      22 Haverkort, B, "Towards co-evolution of knowledge and sciences: No shortcut in integrating local and global knowledge" 2004

      23 Kimesera, K, "The role of indigenous knowledge in crop production, sustainable agriculture, and natural resources management in Zimbabwe"

      24 Flavier,J.M, "The regional program for the promotion of indigenous knowledge in Asia" Intermediate Technology Publications 1995

      25 Laureano,P, "The System of Traditional Knowledge in the Mediterranean and Its Classification with Reference to Different Social Groupings"

      26 DeVore,P.W, "Technology:An introduction.Worcester" Davis Publications 1980

      27 Agassi,J, "Technology-Philosophical and Social Aspects" Reidel 1985

      28 Wright,R.T, "Technology" The Goodheart-Willcox Company 2000

      29 International Institute of Rural Reconstruction, "Recording and using indigenous knowledge:A manual" IIRR 1996

      30 Wuthnow,R, "New Directions in the Study of Culture." 5 (5): 49-67, 1988

      31 Quiroz,C, "Local Knowledge Systems and Vocational Educ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In What is indigenous knowledge: Voice from the academy" Taylor & Francis 1999

      32 Hacker,M, "Living with technology" Delmar Publishers 1993

      33 Langill,S, "Introduction to Indigenous Knowledge. In The Over story Book: Cultivating Connections with Trees" Permanent Agriculture Resources 9-12, 1999

      34 WIPO, "Intergovernmental committee on intellectual property and genetic resources, traditional knowledge and folklore"

      35 Owuor,J, "Integrating African Indigenous Knowledge in Kenya's Formal Education System: The Potentia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 (2): 21-37, 2007

      36 Brokensha,D, "Indigenous knowledge(s)systems and development.Washington"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980

      37 Ahmed,M.M.M, "Indigenous farming systems: Knowledge and practices in the Sudan" Khartoum University Press 1994

      38 George,J.M, "Indigenous Knowledge as a Component of the School Curriculum. In What is indigenous knowledge: Voice from the academy" Taylor & Francis. 79-94, 1999

      39 Rőling,N, "IKS and Knowledge management: Utilizing indigenous knowledge in institutional knowledge systems. In Indigenous knowledge systems: Implications for agriculture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Studies in Technology and Social Change" Technology and Social Change Program, Iowa State University 101-115, 1989

      40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Houghton Mifflin Company"

      41 한국지식재산연구원, "GLOBAL IP TREND 2008"

      42 Jones,M.E., "Enshrining Indigenous Knowledge in the National Science Curriculum: Issues Arising from the Maori Case"

      43 Easton,P.B, "Education and Indigenous Knowledge. In Local pathways to global development" 9-12, 2004

      44 Bicker,A, "Development and local knowledge: new approaches to issues in natural resources management, conservation and agriculture" Routledge 2003

      45 Harper Collins Publishers, "Collins Essential English dictionary" Harper Collins Publishers 2006

      46 Boven,K., "Best Practices Using Indigenous Knowledge" Nuffic 2002

      47 Savage,E, "A conceptual framework for technology education." International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 1990

      48 정수진, "21세기 기술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탐색을 위한 기술의 개념구성요소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 3 (3): 3-17,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8-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영문명 : 미등록 ->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지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Agricultural Education -> Journal of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KCI등재
      2005-03-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지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Agricultural Education ->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1.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35 1.587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