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의 발전방안에 대한 고찰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참여정부의 주요 사업인 경제자유구역의 발전방안, 특히 부산 진해 경제자유구역의 발전방안에 대해 비판적 제안을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참여정부 핵심국정과제인 동북아 경제중심 전략을 구현하는데 효율적이고 올바른 경제자유구역의 발전방안에 대해 지금까지 제기된 여러 가능성에 대해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의 입지적 여건과 관련한 실현가능성, 경제적 파급효과를 중심으로 평가를 시도하였다.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의 입지적 여건을 고려한 가장 실현 가능한, 아울러 경제적 파급효과가 가장 큰 발전방안은‘동북아 해상물류 중심 항 개발’과 동남권 기계 산업과 연계한 ‘글로벌 기계부품소재 클러스터 구축’이라는 결론에 이른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참여정부의 주요 사업인 경제자유구역의 발전방안, 특히 부산 진해 경제자유구역의 발전방안에 대해 비판적 제안을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참여정부 핵심국정과제인 동북아 경...

      본 논문은 참여정부의 주요 사업인 경제자유구역의 발전방안, 특히 부산 진해 경제자유구역의 발전방안에 대해 비판적 제안을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참여정부 핵심국정과제인 동북아 경제중심 전략을 구현하는데 효율적이고 올바른 경제자유구역의 발전방안에 대해 지금까지 제기된 여러 가능성에 대해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의 입지적 여건과 관련한 실현가능성, 경제적 파급효과를 중심으로 평가를 시도하였다.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의 입지적 여건을 고려한 가장 실현 가능한, 아울러 경제적 파급효과가 가장 큰 발전방안은‘동북아 해상물류 중심 항 개발’과 동남권 기계 산업과 연계한 ‘글로벌 기계부품소재 클러스터 구축’이라는 결론에 이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hesis is to suggest critically the effective development project of free economic zone, the main policy target of the current administration, especially that of Busan-Jinhae Free Economic Zone. It tries to evaluate the possible ways of development of free economic zone suggested so far by the administration and various researchers on the basis of both its successful fulfillment of the project related to location advantage and its economic spill-over effect. The discussion of the thesis leads to a conclusion that the most suitable way of development of the Busan-Jinhae Free Economic Zone is the establishment of the cluster of global mechanical parts and material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logistics hub seaport of the North-East Asia,
      번역하기

      The thesis is to suggest critically the effective development project of free economic zone, the main policy target of the current administration, especially that of Busan-Jinhae Free Economic Zone. It tries to evaluate the possible ways of developmen...

      The thesis is to suggest critically the effective development project of free economic zone, the main policy target of the current administration, especially that of Busan-Jinhae Free Economic Zone. It tries to evaluate the possible ways of development of free economic zone suggested so far by the administration and various researchers on the basis of both its successful fulfillment of the project related to location advantage and its economic spill-over effect. The discussion of the thesis leads to a conclusion that the most suitable way of development of the Busan-Jinhae Free Economic Zone is the establishment of the cluster of global mechanical parts and material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logistics hub seaport of the North-East Asi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경제자유구역 추진 배경
      • Ⅲ. 자유구역 설립과정과 내용
      • Ⅳ.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의 개발계획과 추진현황
      • Ⅴ.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의 입지적 여건과 발전방안 정립
      • Ⅰ. 서론
      • Ⅱ. 경제자유구역 추진 배경
      • Ⅲ. 자유구역 설립과정과 내용
      • Ⅳ.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의 개발계획과 추진현황
      • Ⅴ.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의 입지적 여건과 발전방안 정립
      • Ⅵ. 결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