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탈냉전시대 한국의 대북정책과 남북관계의 변화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3501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탈냉전시대 한국의 대북정책과 남북관계의 변화를 양자의 상관성 맥락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남북관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다차원적이다. 그러나 대북정책은 남북관계의 개선을 중간 목표로 상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가장 직접적인 변수로 작용한다. 단기적으로 한국의 대북정책과 무관하게 남북관계의 변화 양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그러나 중장기적으로 한국의 대북정책은 여러 가지 국내외 영향 변수를 고려한 결과로서 산출되며, 그에 따른 정책 추진의 결과는 북한의 대남정책에 영향을 미쳐 남북관계의 변화를 가져온다. 한국의 대북정책과 남북관계 간의 정(正)의 상관관계를 안정화시키는 정책과제로는 남북간 직접적인 군사협상의 추진과 한반도 평화공존 체제의 구축, 남북경제의 상호 의존성 제고, 남한 사회 내에서의 대북정책 컨센서스 구축, 대북정책의 국제적 협력 환경조성 등이 제시되었다. 남북관계가 특정한 요인에 구애받지 않는 지속 가능한 관계로 발전시키는 대북정책은 남북한 평화공존의 기반이 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의 목적은 탈냉전시대 한국의 대북정책과 남북관계의 변화를 양자의 상관성 맥락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남북관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다차원적이다. 그러나 대북정책은 남북관계...

      본 논문의 목적은 탈냉전시대 한국의 대북정책과 남북관계의 변화를 양자의 상관성 맥락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남북관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다차원적이다. 그러나 대북정책은 남북관계의 개선을 중간 목표로 상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가장 직접적인 변수로 작용한다. 단기적으로 한국의 대북정책과 무관하게 남북관계의 변화 양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그러나 중장기적으로 한국의 대북정책은 여러 가지 국내외 영향 변수를 고려한 결과로서 산출되며, 그에 따른 정책 추진의 결과는 북한의 대남정책에 영향을 미쳐 남북관계의 변화를 가져온다. 한국의 대북정책과 남북관계 간의 정(正)의 상관관계를 안정화시키는 정책과제로는 남북간 직접적인 군사협상의 추진과 한반도 평화공존 체제의 구축, 남북경제의 상호 의존성 제고, 남한 사회 내에서의 대북정책 컨센서스 구축, 대북정책의 국제적 협력 환경조성 등이 제시되었다. 남북관계가 특정한 요인에 구애받지 않는 지속 가능한 관계로 발전시키는 대북정책은 남북한 평화공존의 기반이 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ntends to analyze South Korea s policy towards North Korea and changes in inter-Korean relations in the post-cold war era, in the context of correlations between those two factors. The factors which have an impact on inter-Korean relations are multi-dimensional. But, South Korea s North Korea policy is considered to be a most direct cause in the sense that it aims to improve inter-Korean relations. In the short term, there may emerge some changes in inter-Korean relations regardless of the South s policy towards the North. In the longer term, however, South Korea s North Korea policy is a product of the mixture of many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influences North Korea s policy towards South Korea which in turn leads to certain changes in inter-Korean relations. This paper proposes several policy suggestions in order to continue to develop and stabilize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 s North Korea policy and inter-Korean relations: first, South and North Korea should start direct military talks and establish a peaceful coexistence system; second, South Korea should enhance its efforts to raise inter-Korean economic dependence; third,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hould be more attentive to national consensus building with regard to its policy towards North Korea; fourth, South Korea needs to conduct a multi-faceted diplomacy to form an international environment favorable to the implementation of its policy towards North Korea.
      번역하기

      This article intends to analyze South Korea s policy towards North Korea and changes in inter-Korean relations in the post-cold war era, in the context of correlations between those two factors. The factors which have an impact on inter-Korean relatio...

      This article intends to analyze South Korea s policy towards North Korea and changes in inter-Korean relations in the post-cold war era, in the context of correlations between those two factors. The factors which have an impact on inter-Korean relations are multi-dimensional. But, South Korea s North Korea policy is considered to be a most direct cause in the sense that it aims to improve inter-Korean relations. In the short term, there may emerge some changes in inter-Korean relations regardless of the South s policy towards the North. In the longer term, however, South Korea s North Korea policy is a product of the mixture of many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influences North Korea s policy towards South Korea which in turn leads to certain changes in inter-Korean relations. This paper proposes several policy suggestions in order to continue to develop and stabilize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 s North Korea policy and inter-Korean relations: first, South and North Korea should start direct military talks and establish a peaceful coexistence system; second, South Korea should enhance its efforts to raise inter-Korean economic dependence; third,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hould be more attentive to national consensus building with regard to its policy towards North Korea; fourth, South Korea needs to conduct a multi-faceted diplomacy to form an international environment favorable to the implementation of its policy towards North Ko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한국의 대북정책과 남북관계의 상관성
      • Ⅲ. 민간정부 등장 이후 한국의 대북정책: 비판적 분석
      • Ⅳ. 남북관계의 변화
      • Ⅴ. 평가와 향후 과제
      • Ⅰ. 머리말
      • Ⅱ. 한국의 대북정책과 남북관계의 상관성
      • Ⅲ. 민간정부 등장 이후 한국의 대북정책: 비판적 분석
      • Ⅳ. 남북관계의 변화
      • Ⅴ. 평가와 향후 과제
      • Ⅵ. 결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