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지역불균형발전은 경제수준, 교육 · 취업 기회, 상업 · 문화 · 의료수준 등에서 지역격차를 초래하여 비수도권 주민들의 상대적 박탈감을 증대시키고, 수도권 주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815014
2018
Korean
학술저널
3-36(3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지역불균형발전은 경제수준, 교육 · 취업 기회, 상업 · 문화 · 의료수준 등에서 지역격차를 초래하여 비수도권 주민들의 상대적 박탈감을 증대시키고, 수도권 주민�...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지역불균형발전은 경제수준, 교육 · 취업 기회, 상업 · 문화 · 의료수준 등에서 지역격차를 초래하여 비수도권 주민들의 상대적 박탈감을 증대시키고, 수도권 주민들에 대한 막연한 반감을 유발시켜 국가 전체적으로 사회통합을 저해할 수 있다. 이에 그 동안 지속되어 온 지역불균형발전은 수도권-비수도권 간 주민들의 사회적 지위 인식과 행복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지역불균형발전이 지역주민들의 사회적 자본과 사회적 지위 인식, 행복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질문은 ‘사회적 자본이 지역주민의 사회적 지위 인식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도권-비수도권 간 지역차이의 조절효과가 존재하는가?’로서, 연구가설은 첫째, ‘사회적 자본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이,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보다 지역주민들의 사회적 지위 인식, 행복도, 삶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을 것이다.’, 둘째, ‘사회적 자본이 지역주민의 사회적 지위 인식, 행복도,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도권 거주 여부는 조절효과를 가질 것이다.’이다. 이를 위해 한국행정연구원의 2017년 사회통합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들이 지역주민들의 사회적 지위 인식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도출하고, 그 과정에서 수도권 거주여부의 조절효과가 존재하는지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 중 사회적 지위 인식과 생활 만족도에는 공동체 의식 및 규범, 참여, 네트워크, 신뢰가, 행복도에는 신뢰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회적 지위 인식, 행복도,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모두에서 수도권 거주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그 영향은 다르게 나타났는데, 사회적 자본이 사회적 지위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도권 거주는 사회적 지위 인식은 강화시켰지만, 행복도와 삶의 만족도는 오히려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지역발전 정책 수립 시 수도권 지역 주민들의 행복도와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과 비수도권 지역 주민들의 사회적 지위 향상을 위해 공동체 의식 및 규범, 참여, 네트워크, 신뢰 등 사회적 자본을 활성화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들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지역사회의 특성과 지방자치단체의 지출 수준과의 관련성에 관한 분석
할인마트의 거리, 규모, 상품유사도가 소상공인 이윤에 미치는 영향
도로 네트워크 중심성이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 분석
도시 상호작용에 따른 기능적 상관 및 기능계량경제모형 구축에 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