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기 청소년의 분노·슬픔과잉표출과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친구의 분노·슬픔 지원반응의 중재효과 = The Moderator Effect of Friend’s Supportive Reactions to Early Adolescents’ negative emot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Dysregulation of negative emotions and Problem Behaviors - The Differential Impact of Anger and Sadnes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256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friend’s supportive reactions to early adolescents’ anger and sadnes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dysregulation of anger and sadness and problem behaviors. The participants were 418 adolescents who were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 of middle schools in pusan. Data analysis methods included Cronbach’s α,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friend’s reactions to early adolescents’ anger and sadness. Second, most of friend’s reactions to early adolescents’ anger and sadness correlated with problem behaviors significantly except for saddess-magnify reactions. Third, the moderating effects of friend’s supportive reactions to early adolescents’ anger and sadnes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dysregulation of anger and sadness and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was significant respectivel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friend’s supportive reactions to early adolescents’ anger and sadnes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dysregulation of anger and sadness and problem behaviors. The participants w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friend’s supportive reactions to early adolescents’ anger and sadnes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dysregulation of anger and sadness and problem behaviors. The participants were 418 adolescents who were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 of middle schools in pusan. Data analysis methods included Cronbach’s α,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friend’s reactions to early adolescents’ anger and sadness. Second, most of friend’s reactions to early adolescents’ anger and sadness correlated with problem behaviors significantly except for saddess-magnify reactions. Third, the moderating effects of friend’s supportive reactions to early adolescents’ anger and sadnes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dysregulation of anger and sadness and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was significant respective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본 연구는 청소년기는 친구가 부정적 정서를 다루어주는 사회자라는 점과 차별적 정서사회화 관점을 고려하여 분노와 슬픔에 대한 친구반응으로 구분하여 첫째,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 친구반응을 파악하여 선행연구결과와 일치하는지 확인하고자한다. 둘째, 분노‧슬픔에 대한 친구반응과 청소년의 분노‧슬픔과잉표출 및 문제행동 간의 관계를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친구의 어떤 반응이 청소년 의 문제행동과 관련되는지 상세히 살펴보아 우정관계에서 친구의 정서적 역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청소년의 분노‧슬픔과잉표출과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친구의 분노‧슬픔지원반응이 각각 중재하는지 살펴보고자한다.
      연구방법 및 범위:본 연구는 단순집락표집에 의해 추출된 중학생 418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에 의해 실시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8년 9월과 10월 사이에 이루어졌으며, 담임교사가 종례 후에 분노와 슬픔에 대한 친구반응과 청소년 변인에 대한 질문지를 조사하였다. 총 440부를 배포해 435부를 회수하였으며 회수된 435부 중 오류가 있는 17부를 제외하고 418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도구는 청소년의 분노·슬픔에 대한 친구반응, 청소년의 분노과잉표출 및 슬픔과잉표출, 청소년의 문제행동을 청소년 보고용으로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Cronbach’s α,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1. 청소년의 분노‧슬픔에 대한 친구반응에서 유의한 성별차이가 있었다. 분노지원반응과 분노 과민반응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고, 분노외현적 괴롭힘 반응에서는 남학 생이 여학생보다 높았다. 슬픔지원반응과 슬픔과민반응에서는 여학생이 높았고슬픔관계적 괴롭힘 반응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았다.
      2. 청소년의 분노‧슬픔에 대한 친구반응 대부분이 청소년의 문제행동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 났다. 분노과민반응은 문제행동과 정적 관련이, 슬픔과민반응은 내재화 문제행동과 부적 관련 이 있었다.
      3. 청소년의 분노‧슬픔과잉표출과 내재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친구의 분노‧슬픔 지원 반응의 중재효과가 각각 나타났다.
      번역하기

      연구배경 및 목적:본 연구는 청소년기는 친구가 부정적 정서를 다루어주는 사회자라는 점과 차별적 정서사회화 관점을 고려하여 분노와 슬픔에 대한 친구반응으로 구분하여 첫째, 성별에 ...

      연구배경 및 목적:본 연구는 청소년기는 친구가 부정적 정서를 다루어주는 사회자라는 점과 차별적 정서사회화 관점을 고려하여 분노와 슬픔에 대한 친구반응으로 구분하여 첫째,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 친구반응을 파악하여 선행연구결과와 일치하는지 확인하고자한다. 둘째, 분노‧슬픔에 대한 친구반응과 청소년의 분노‧슬픔과잉표출 및 문제행동 간의 관계를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친구의 어떤 반응이 청소년 의 문제행동과 관련되는지 상세히 살펴보아 우정관계에서 친구의 정서적 역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청소년의 분노‧슬픔과잉표출과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친구의 분노‧슬픔지원반응이 각각 중재하는지 살펴보고자한다.
      연구방법 및 범위:본 연구는 단순집락표집에 의해 추출된 중학생 418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에 의해 실시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8년 9월과 10월 사이에 이루어졌으며, 담임교사가 종례 후에 분노와 슬픔에 대한 친구반응과 청소년 변인에 대한 질문지를 조사하였다. 총 440부를 배포해 435부를 회수하였으며 회수된 435부 중 오류가 있는 17부를 제외하고 418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도구는 청소년의 분노·슬픔에 대한 친구반응, 청소년의 분노과잉표출 및 슬픔과잉표출, 청소년의 문제행동을 청소년 보고용으로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Cronbach’s α,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1. 청소년의 분노‧슬픔에 대한 친구반응에서 유의한 성별차이가 있었다. 분노지원반응과 분노 과민반응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고, 분노외현적 괴롭힘 반응에서는 남학 생이 여학생보다 높았다. 슬픔지원반응과 슬픔과민반응에서는 여학생이 높았고슬픔관계적 괴롭힘 반응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았다.
      2. 청소년의 분노‧슬픔에 대한 친구반응 대부분이 청소년의 문제행동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 났다. 분노과민반응은 문제행동과 정적 관련이, 슬픔과민반응은 내재화 문제행동과 부적 관련 이 있었다.
      3. 청소년의 분노‧슬픔과잉표출과 내재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친구의 분노‧슬픔 지원 반응의 중재효과가 각각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동업, "학교 내 청소년문제행동의 유형과 교육적 지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6 (6): 157-185, 2017

      2 김희화, "초기 청소년의 자기애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외모불만족의 중재효과"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4 (14): 113-123, 2016

      3 김나현, "초기 청소년의 분노표현에 대한 어머니 반응과 청소년의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청소년의 분노관리방식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4 (24): 387-410, 2017

      4 김나현, "초기 청소년의 분노표현에 대한 어머니 반응, 청소년의 분노관리방식 및 내재화 문제행동 간의 구조모형" 한국아동학회 39 (39): 75-88, 2018

      5 김나현, "초기 청소년의 분노에 대한 어머니 반응, 초기 청소년의 분노관리방식 및 문제행동 간의 인과모형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7

      6 곽윤정, "청소년의 행복감과 심리적 안녕감 향상을 위한 정서관리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5 (15): 227-237, 2015

      7 임미옥, "청소년의 분노표현방식과 심리적 부적응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중재모형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9 (19): 247-270, 2012

      8 박진경, "어머니의 감독(monitoring) 및 감독방법과 청소년의 외현화·내면화 행동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9 이윤경, "아동의 분노정서가 우울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분노대처방식과 자아존중감의 중재효과" 카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10 박정은, "부모의 양육태도, 공격성 및 또래동조성과 집단 따돌림 가해경향과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 신동업, "학교 내 청소년문제행동의 유형과 교육적 지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6 (6): 157-185, 2017

      2 김희화, "초기 청소년의 자기애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외모불만족의 중재효과"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4 (14): 113-123, 2016

      3 김나현, "초기 청소년의 분노표현에 대한 어머니 반응과 청소년의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청소년의 분노관리방식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4 (24): 387-410, 2017

      4 김나현, "초기 청소년의 분노표현에 대한 어머니 반응, 청소년의 분노관리방식 및 내재화 문제행동 간의 구조모형" 한국아동학회 39 (39): 75-88, 2018

      5 김나현, "초기 청소년의 분노에 대한 어머니 반응, 초기 청소년의 분노관리방식 및 문제행동 간의 인과모형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7

      6 곽윤정, "청소년의 행복감과 심리적 안녕감 향상을 위한 정서관리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5 (15): 227-237, 2015

      7 임미옥, "청소년의 분노표현방식과 심리적 부적응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중재모형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9 (19): 247-270, 2012

      8 박진경, "어머니의 감독(monitoring) 및 감독방법과 청소년의 외현화·내면화 행동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9 이윤경, "아동의 분노정서가 우울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분노대처방식과 자아존중감의 중재효과" 카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10 박정은, "부모의 양육태도, 공격성 및 또래동조성과 집단 따돌림 가해경향과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1 권석만, "긍정심리학" 학지사 2008

      12 윤정인, "고등학생의 분노표현방식과 사회적지지가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3 김현아, "감정표현능력이 여자 청소년의 내재화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조절효과"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14 최상진, "‘한’의 사회심리학적 개념화 시도" 339-350, 1991

      15 Merikangas, K. R., "prevalence and treatment of mental disorders among US children in the 2001-2004 NHANES" 125 : 75-81, 2010

      16 Izard, C. E., "Translating emotion theory and research into preventive interventions" 128 : 796-824, 2002

      17 Morris, A. S., "The role of the family context in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16 : 361-, 2007

      18 Cross, S., "The relational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and relationships" 78 (78): 791-808, 2000

      19 Bailey, S., "The impact of risk and resiliency factors on the adjustment of children after the transition from primary to secondary school" 29 (29): 47-63, 2012

      20 Izard, C. E., "The face of emotion" Appleton-Century-Crofts 1971

      21 Izard, C. E., "The Psychology of emotions" Plenum Press 1991

      22 Saarni, C., "The Development of Emotion Competence" The Guilford Press 1999

      23 Rubin, K. H., "Socioemotional development in the cultural context" Guilford Press 208-236, 2011

      24 Zeman, J., "Social-contextual influences on expectancies for managing anger and sadness: the transition from middle childhood to adolescence" 1997

      25 Giletta, M., "Similarity in depressive symptom in adolescents' friendship dyads: Selection or socialization?" 47 : 1804-1814, 2011

      26 Malatesta–Magai, C., "Rochester Symposium on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Vol. 3.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expressions of dysfunction" Erlbaum 203-224, 1991

      27 Achenbach, "Psychopathology of childhood" 35 (35): 227-256, 1984

      28 Parr N. J., "Peer emotion socialization and somatic complaints in adolescents" 50 : 22-30, 2016

      29 Eisenberg, N., "Parent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 Relations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comforting behavior" 67 : 2227-2247, 1996

      30 Eisenberg, N., "Parental socialization of emotion" 9 (9): 241-273, 1998

      31 Tao. A., "Parental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prospective relation to Chinese children's psychological adjustment" 24 (24): 135-144, 2010

      32 Klimes-Dougan B., "Parental emotion socialization in adolescence: Differences in sex, age and problem status" 16 : 326-342, 2007

      33 MillerSlough, R. L., "Parent and friend emotion socialization in adolescence : Associations with psychological adjustment" 4 : 1-19, 2016

      34 Zeman, J., "Measurement issues in emotion research with children and adolescents" 14 : 377-401, 2007

      35 Shortt, J. W., "Maternal emotion coaching, adolescent anger regulation, and siblings' externalizing symptoms" 51 (51): 799-808, 2010

      36 Achenbach, T. M., "Manual for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and revised child behavior profile" University of Verment 1983

      37 Achenbach, T. M., "Manual for the ASEBA school-age forms & profiles" University, Research Center for Children, Youth, & Families 2001

      38 MillerSlough, R. L., "Longitudinal Patterns in Parent and Friend Emotion Socialization: Associations With Adolescent Emotion Regulation" 1-14, 2018

      39 Anderson, C. A., "Human agression" 53 : 27-51, 2002

      40 Rose A. J., "How girls and boys expect disclosure about problems will make them feel : Implications for friendships" 83 : 844-863, 2012

      41 Zeman, J., "Handbook of selfregulatory processes in development: New directions and international perspectives" Psychology Press 79-101, 2012

      42 Rubin, K. H., "Handbook of peer interactions, relationships, and groups" Guilford 2009

      43 Barrett, K. C., "Handbook of infant development" Wiley 555-578, 1987

      44 Tillery R, "Friendship and the socialization of sadness" 61 (61): 486-508, 2015

      45 Dunn, J., "Family talk about feeling states and children's later understanding of other's emotions" 27 (27): 448-455, 1991

      46 Legerski, J, P., "Emotion talk and friend responses among early adolescent same-sex friend dyads" 24 : 20-38, 2015

      47 Shortt, J. W., "Emotion socialization in the context of risk and psychopathology: Mother and father socialization of anger and sadness in adolescents with depressive disorder" 25 (25): 2016

      48 Papini, D. R., "Early adolescent age and gender differences in patterns of emotion selfdisclosure to parents and friends" 25 : 959-976, 1990

      49 O’Neal, C. R., "Do parents respond in different ways when children feel different emotions? The emotional context of parenting" 17 : 467-487, 2005

      50 Zeman, J.,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children’s sadness Management Scale" 25 : 540-547, 2001

      51 Myers, W. C., "Current perspectives on adolescent conduct disorder" 3 : 61-70, 1992

      52 Buss, K. A., "Comparison of sadness, anger and fear facial expression when toddlers look at their mothers" 75 : 1761-1773, 2004

      53 Shipman, K. L., "Children's strategies for displaying anger and sadness: What works with whom?" 49 : 100-122, 2003

      54 Von Salisch, M., "Children's emotional development : Challenges in their relationships to parents, peers, and friends" 25 : 310-319, 2001

      55 Sanders W, "Child regulation of negative emotions and depressive symptoms: The moderating role of parental emotion socialization" 24 (24): 402-415, 2015

      56 Zeman, J., "Anger and sadness regulation : Predictions to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symptoms in children" 31 : 393-398, 2002

      57 Tomkins, S. S., "Affect, imagery, consciousness:Vol. 2. Negative affects" Springer 1963

      58 Tomkins, S. S., "Affect, imagery, consciousness: Vol. 3. Anger and Fear" Springer 1991

      59 Jobe-Shield, L., "Adolescent reactions to maternal responsiveness and internalizing symptomatology : A daily diary investigation" 21 : 335-348, 2014

      60 Klimes-Dougan, B., "Adolescent emotion socialization : A longitudinal study of friends' responses to negative emotions" 23 : 395-412, 2014

      61 Somerville, L. H., "A time of change: Behavioral and neural correlates of adolescent sensitivity to appetitive and aversive environmental cues" 72 (72): 124-133, 2010

      62 Rose, A. J., "A review of sex differences in peer relationship processes : Potential trade-offs for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development of girls and boys" 132 : 98-131,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논문집 청소년시설환경 -> 청소년시설환경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0.8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9 0.88 1.094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