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드론산업을 위한 법정책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6829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표주자로 부각되고 있는 드론산업은 우리나라에선 국토교통 분야 7대 신산업의 하나로 선정될 만큼 어느 때보다도 관심이 높다. 본 연구는 이를 반영하여 드론산업 활성화를 위한 법정책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입법적으로는 2019년 「드론 활용의 촉진 및 기반조성에 관한 법률」(법률 제16420호; 약칭 「드론법」)이 제정되어 드론산업의 발전 기반조성과 드론산업 진흥을 목적으로 2020년 5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법 시행 초기이기 때문에 수정 보완해야 할 점이 많다. 드론산업 지원 및 규제 체계, 드론사고에 대한 책임소재 및 사후대책 등 안전관리시스템의 문제, 전문인력 육성 및 교육미흡, 드론에 의한 사생활 침해 및 지식재산권 보호 등 관련 법률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이를 전제로 본 논문은 법적으로는 드론산업 발전과 진흥을 위한 현재의 「드론법」에서부터 기존 「항공안전법」과 각 지자체의 드론산업 지원조례 등을 주된 연구대상으로 하여 법적인 개선방안을 도출하였으며, 정책적으로 드론산업 활성화 방안과 연계하여 다양한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드론산업 지원체계의 다각화, 공공안전 대비 드론활용시스템의 구축, 드론자격 및 전문교육 요건의 다양화, 드론기술 관련 지식재산권 보호계획 수립방안 등이 그것이다. 첫째, 드론산업 지원체계는 네거티브와 포지티브 규제의 융합정책을 구축하고, 드론 활용분야를 다각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 드론산업발전기본계획 및 실태조사 강화가 필요하다. 둘째, 공공분야에 우선적으로 드론활용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모든 드론의 등록 또는 신고제 확대를 병행할 필요가 있다. 주요 국가(유럽연합, 미국, 중국, 일본) 중심으로 드론산업 관련 법령을 검토한 결과, 대부분 일정 무게 미만의 드론은 자유롭게 허용하여 드론산업 활성화를 위한 적극적 정책을 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사고 발생 시 사후처리 문제에 대한 관리시스템은 미흡한 실정이다. 무게와 관계없이 모든 드론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에 공공안전 측면에서의 드론 운용방안 마련, 드론비행관리시스템의 재구축, 재난·재해 지역에서의 드론 활용체계 구축, 드론방어시스템 구축을 위한 경찰 드론 관련 법제화, 드론보험 근거규정의 확대, 드론기술 관련 빅데이터 분석의 법적 불안성 제거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드론자격 및 전문교육 요건을 다양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 드론 용도별·단계별 교육과 자격제도를 확립하고 전문교육기관과 지역 기업이 연계되도록 하여야 한다. 앞으로 확대될 도심항공교통(UAM) 대중화에 대비하여 원거리 드론 비행이 가능한 비가시권 조종에 대한 자격 도입을 서둘러야 하며, 제4종 무인동력비행장치 조종자 증명 대상 규모를 더욱 세분화해야 한다. 드론 활용과 드론산업의 국제화를 위해 표준화 및 드론 조종자격에 대한 국제인증제도 또한 필요하다. 넷째, 드론기술 관련 지식재산권 보호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드론기술 관련 빅데이터에 대해서는 주로 개인정보보호차원에서 다루어졌으나 최초 구축자에게 지식재산권을 인정·보호할 수 있는 제도가 동시에 마련되어야 한다. 나아가 도심항공교통 기반조성을 위한 법령 개선과 안전성 기준 개선, 드론비행로 명시, 드론비행 조종가능 범위의 확대, 무인비행장치에 대한 항공안전법 적용 특례 개선 등 규제 완화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결론적으로 드론산업 활성화를 위해서 드론 활용 촉진을 위한 적극적인 규제 완화 법제도와 정책이 필요함과 동시에 안전관리 강화 시스템 구축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번역하기

      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표주자로 부각되고 있는 드론산업은 우리나라에선 국토교통 분야 7대 신산업의 하나로 선정될 만큼 어느 때보다도 관심이 높다. 본 연구는 이를 반영하여 드론산업 활...

      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표주자로 부각되고 있는 드론산업은 우리나라에선 국토교통 분야 7대 신산업의 하나로 선정될 만큼 어느 때보다도 관심이 높다. 본 연구는 이를 반영하여 드론산업 활성화를 위한 법정책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입법적으로는 2019년 「드론 활용의 촉진 및 기반조성에 관한 법률」(법률 제16420호; 약칭 「드론법」)이 제정되어 드론산업의 발전 기반조성과 드론산업 진흥을 목적으로 2020년 5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법 시행 초기이기 때문에 수정 보완해야 할 점이 많다. 드론산업 지원 및 규제 체계, 드론사고에 대한 책임소재 및 사후대책 등 안전관리시스템의 문제, 전문인력 육성 및 교육미흡, 드론에 의한 사생활 침해 및 지식재산권 보호 등 관련 법률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이를 전제로 본 논문은 법적으로는 드론산업 발전과 진흥을 위한 현재의 「드론법」에서부터 기존 「항공안전법」과 각 지자체의 드론산업 지원조례 등을 주된 연구대상으로 하여 법적인 개선방안을 도출하였으며, 정책적으로 드론산업 활성화 방안과 연계하여 다양한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드론산업 지원체계의 다각화, 공공안전 대비 드론활용시스템의 구축, 드론자격 및 전문교육 요건의 다양화, 드론기술 관련 지식재산권 보호계획 수립방안 등이 그것이다. 첫째, 드론산업 지원체계는 네거티브와 포지티브 규제의 융합정책을 구축하고, 드론 활용분야를 다각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 드론산업발전기본계획 및 실태조사 강화가 필요하다. 둘째, 공공분야에 우선적으로 드론활용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모든 드론의 등록 또는 신고제 확대를 병행할 필요가 있다. 주요 국가(유럽연합, 미국, 중국, 일본) 중심으로 드론산업 관련 법령을 검토한 결과, 대부분 일정 무게 미만의 드론은 자유롭게 허용하여 드론산업 활성화를 위한 적극적 정책을 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사고 발생 시 사후처리 문제에 대한 관리시스템은 미흡한 실정이다. 무게와 관계없이 모든 드론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에 공공안전 측면에서의 드론 운용방안 마련, 드론비행관리시스템의 재구축, 재난·재해 지역에서의 드론 활용체계 구축, 드론방어시스템 구축을 위한 경찰 드론 관련 법제화, 드론보험 근거규정의 확대, 드론기술 관련 빅데이터 분석의 법적 불안성 제거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드론자격 및 전문교육 요건을 다양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 드론 용도별·단계별 교육과 자격제도를 확립하고 전문교육기관과 지역 기업이 연계되도록 하여야 한다. 앞으로 확대될 도심항공교통(UAM) 대중화에 대비하여 원거리 드론 비행이 가능한 비가시권 조종에 대한 자격 도입을 서둘러야 하며, 제4종 무인동력비행장치 조종자 증명 대상 규모를 더욱 세분화해야 한다. 드론 활용과 드론산업의 국제화를 위해 표준화 및 드론 조종자격에 대한 국제인증제도 또한 필요하다. 넷째, 드론기술 관련 지식재산권 보호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드론기술 관련 빅데이터에 대해서는 주로 개인정보보호차원에서 다루어졌으나 최초 구축자에게 지식재산권을 인정·보호할 수 있는 제도가 동시에 마련되어야 한다. 나아가 도심항공교통 기반조성을 위한 법령 개선과 안전성 기준 개선, 드론비행로 명시, 드론비행 조종가능 범위의 확대, 무인비행장치에 대한 항공안전법 적용 특례 개선 등 규제 완화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결론적으로 드론산업 활성화를 위해서 드론 활용 촉진을 위한 적극적인 규제 완화 법제도와 정책이 필요함과 동시에 안전관리 강화 시스템 구축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1
      • 2. 연구 목적 5
      • 3. 연구 방법과 범위 6
      • Ⅱ. 드론산업의 의의와 현황 8
      • Ⅰ. 서 론 1
      • 1.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1
      • 2. 연구 목적 5
      • 3. 연구 방법과 범위 6
      • Ⅱ. 드론산업의 의의와 현황 8
      • 1. 드론산업의 의의와 역할 8
      • 가. 드론산업의 의의 8
      • 나. 드론산업의 역할 16
      • 2. 드론산업의 특성과 국내 육성정책 18
      • 가. 드론산업의 특성 18
      • 나. 드론산업 육성정책과 제도적 확립 19
      • 3. 국내·외 드론산업 현황 24
      • 가. 글로벌 현황 24
      • 나. 한국 28
      • 다. 유럽연합(EU) 30
      • 라. 미국 32
      • 마. 중국 35
      • 바. 일본 39
      • 4. 전망과 시사점 43
      • Ⅲ. 드론산업 관련 국내외 법제 50
      • 1. 한국 50
      • 가. 관련 법제 50
      • 나. 드론 활용 관련 주요 법적 분쟁 사례 및 판례 63
      • 2. 주요 국가 70
      • 가 관련 법제 70
      • 나. 드론 활용 주요 법적 분쟁 사례 및 판례 검토 88
      • 3. 시사점 92
      • Ⅳ. 드론산업에 관한 법정책적 문제점과 개선방안 99
      • 1. 문제점 99
      • 가. 드론산업 지원체계 및 규제 문제 99
      • 나. 드론사고의 책임 소재와 안전관리시스템 문제 102
      • 다. 드론 전문인력 양성체계의 소극성 111
      • 라. 드론기술 관련 빅데이터에 대한 재산권적 보호 문제 117
      • 2. 개선방안 119
      • 가. 드론산업 지원체계의 다각화 119
      • 나. 공공안전 대비 드론활용시스템 구축 123
      • 다. 드론자격 및 전문교육 요건의 다양화 139
      • 라. 드론기술 관련 지식재산권 보호계획 수립 144
      • 3. 소결 148
      • Ⅴ. 드론산업을 활성화를 위한 입법적 제언 152
      • 1. 서설 152
      • 2. 드론 관련법의 정비ㆍ개선 153
      • 3. 항공법 상 드론 관련 사항 개정 162
      • 4. 드론산업 활성화를 위한 지자체 조례의 적극적 입법 169
      • 5. 드론산업에 대한 규제법규 완화 172
      • Ⅵ. 결론 181
      • 참고문헌 191
      • 부록 221
      • Abstract 232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장문기, "Drone in 드론", 호영, 2017

      2 한수웅, "헌법학(초판)", 법문사, 2011

      3 Shubham Sharm, "Big Data Landscape", Vol. 3, Issue 6, 2013

      4 윤대상, "중국 드론산업 현황", 한중과학기술협력센터 산업분석, 년 8월호, 2016, 2016

      5 이한영, 차성민, "드론 정책 비교 연구", 한국비교정부학보 제20권 제4호, 한국비교정부학회, 2016

      6 United States Court of Appeals,, "District of Columbia Circuit", 995 F.3d 993 2021 WL 1703626, 2021

      7 전수연, 황지현, 황설옥, "국내외 드론산업 현황", KT경제경영연구소 디지에코 보고서, 2017

      8 강창봉, "드론산업 현황과 전망", 항공안전기술원 발표자료, 2020

      9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Unmanned Aircraft Systems(UAS)", https://www. faa. gov/uas, 2022

      10 이정용, 편석준, 최기영, "공저, 왜 지금 드론인가", 미래의창, 2015

      1 장문기, "Drone in 드론", 호영, 2017

      2 한수웅, "헌법학(초판)", 법문사, 2011

      3 Shubham Sharm, "Big Data Landscape", Vol. 3, Issue 6, 2013

      4 윤대상, "중국 드론산업 현황", 한중과학기술협력센터 산업분석, 년 8월호, 2016, 2016

      5 이한영, 차성민, "드론 정책 비교 연구", 한국비교정부학보 제20권 제4호, 한국비교정부학회, 2016

      6 United States Court of Appeals,, "District of Columbia Circuit", 995 F.3d 993 2021 WL 1703626, 2021

      7 전수연, 황지현, 황설옥, "국내외 드론산업 현황", KT경제경영연구소 디지에코 보고서, 2017

      8 강창봉, "드론산업 현황과 전망", 항공안전기술원 발표자료, 2020

      9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Unmanned Aircraft Systems(UAS)", https://www. faa. gov/uas, 2022

      10 이정용, 편석준, 최기영, "공저, 왜 지금 드론인가", 미래의창, 2015

      11 European Union, "Types of institutions and bodies", https://european-union. europa. eu/institutions-law-budget/i nstitutions-and-bodies_en, 2022

      12 이동규, "드론 위협의 확장과 대응", 박영사, 2020

      13 김선형, "사물인터넷과 5G 이동통신", 한국정보기술학회지 제15권 1호, 한국정보기술학회, 2017

      14 권희춘, 이병석, "공저, 드론, 생명을 살리다", 글로벌출판사, 2018

      15 배영임, 신혜리, "드론산업 육성의 전제조건", 이슈&진단 제237호, 경기연구원, 2016

      16 우라옥, "AI - 지적재산권의 관점에서", 법학평론 제11권, 서울대 학교 법학평론 편집위원회, 2021

      17 NASA, "Tiltrotor Aeroacoustic Model Summary", https://rotorcraft. arc. nasa. gov/research. html, 2022

      18 김한국, "드론 산업의 특허 동향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1,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2017

      19 Anders Albrechtslund, Peter Øhrstrøm, Per F. V. Hasle, Jørgen Albretsen, "Surveillance, Persuasion, and Panopticon", Conference: Persuasive Technology, 2007

      20 이병석, "대드론 기술 현황 및 대응방안", 년 대드론체계 발전 세 미나, 육군교육사령부 2022.4.5, 2022

      21 전세계, "드론 시장 규모 60억 달러 전망", 지역정보화 제 106권, 2017

      22 이영규, "드론의 보험 산업 변혁과 적응", (사)한국재난정보학회 정 기학술대회 논문집, 한국재난정보학회, 2019, 2019

      23 강지현, "4차 산업혁명시대, 법학의 역할", 한국부패학회보 제27권 제1호, 한국부패학회, 2022

      24 손승우, "인공지능 창작물의 저작권 보호", 정보법학 제20권 제3호, 2016

      25 박준혁, 이민형, "드론 규제입법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연구 제19권 제1호, 한국경찰연구학회, 2020

      26 정진섭, 하경민, 최성찬, "5G 서비스 활성화방안에 대한 고찰", 한국 통신학회지(정보와 통신) 제36권 6호, 한국통신학회, 2019

      27 국무조정실, "“2020년 규제정비 종합계획(안)”,", 년 규제정비 종합계획(안), 2020. 2.11, 2020

      28 박정수, "드론산업의 전략적 발전방향 연구", 한국방위산업학회지 제28권 제2권, 한국방위산업학회, 2021

      29 백승민, "드론을 활용한 시큐리티 발전방안",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 대회자료집 -08, 2019, 2019

      30 민병현, "드론산업 규제와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방송학회 학술대 회 논문집 -11, 한국방송학회, 2017, 2017

      31 Global Market Insights, "Commercial Drone Market to value $125 Bn by 2032", https://www. gminsights.- com/pressrelease/unmanned-aerial-vehicles-uav-commercial- drone-market, 2022

      32 양희돈, "민간용 드론 산업 현황 및 기술 동향", 한국멀티미디어학 회지 제20권 제1 2호,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6

      33 이병석, "The threat of drone attacks on vulnerable targets", 유엔 대테러실 주관 전문가 회의, 2022

      34 항공우주연구원, "“2018년 무인이동체 산업실태조사”,", 년 무인이동체 산업실태조사, 2019, 2019

      35 송재두, "중국 민수요 드론산업의 현황과 발전", 동덕여자대학교 한 중미래연구소 제110차 중국학연구회 정기학술대회, 동덕여자 대학교 한중미래연구소, 2019

      36 김영재, 정용근, 이일수, 박상민, "건설 산업에서 드론기술의 적용 현 황", 한국강구조학회한국강구조학회지, 2017

      37 European Union Aviation Safety Agency, "The European Plan for Aviation Safety(EPAS 2021-2025", Vol. 1, 23/12/2020, 2020

      38 권승수, 안영엽, 박종삼, "드론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과제", 문화산업연구 제21권 제2호, 2021

      39 홍영삼, "미션크리티컬 서비스 표준 및 기술동향", 한국통신학회지 (정보와 통신) 제36권 5호, 한국통신학회, 2019

      40 김미송, 이소희, "민관협력 기반 재난대응 지원체계 구축", 대한공간정 보학회, 대한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2019

      41 장태진, "드론 산업 성장에 대한 규제 정책의 영향", 한국항공우주학 회 학술발표회 -11, 한국항공우주학회, 2015, 2015

      42 Bojan Kitanovic, "Drone Industry in the Us: An Overview of a Game-Changer", Website https://thedronesworld. net/drone-industry-in-the-us(2022. 12.04), 2022

      43 강현철, 김시준, "경기도 드론 관련 조례 제정 동향 및 함의", 연구 논총 제23권 제1호, 경기연구원, 2021

      44 김성섭, 정우석, 서상택, "농업용 드론의 보험운용 실태와 개선방안", 농업경영 정책연구 제48권 제4호, 한국농식품정책학회, 2021

      45 박종삼, "드론 물류산업의 분쟁해결과 정책적 과제", 중재연구 제 26권 제4호, 한국중재학회, 2016

      46 남두희, 최진헌, "드론 보험제도 비교분석과 요구보험 도출", 한국 ITS학회논문지 제19권 제6호, 한국ITS학회, 2020

      47 강군석, 김희욱, 김대호, "드론 원격 식별 규정 및 표준화 동향 분석", 전자통신동향분석 제36권 제6호(통권 193호), 한국전자통신 연구원, 2021

      48 김상국, "중국 7대 전략적 신흥 산업의 산업별 정책", KIEP 북경사무 소 브리핑 Vol. 13 No. 2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

      49 송재두, "4차 산업혁명시대와 중국 드론산업의 발전", 한중사회과학 연구 제53권, 한중사회과학학회, 2019

      50 국무조정실, "대통령 주재 제5차 규제개혁장관회의 개최", 대한민국 정 책브리핑, 2016

      51 한상용, "드론 리스크 관리에 대한 현황과 개선방안", KIRI 리포트 제516호, 보험연구원, 2021

      52 전용태, 정제용, "안티드론 기술의 현황과 적용에 대한 연구", 시큐리 티 연구 제51권 제1호, 한국경호경비학회, 2017

      53 소재현, "유럽연합 차원의 드론 운용규칙 제정 현황", 월간교통 제 223호, 2016

      54 황태성, "한국 드론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21

      55 이시복, "드론산업의 발전동향과 교통부문 활용방안", 국토 제428 호, 국토연구원, 2017

      56 김석관, 최해옥, 최병삼, "일본의 제4차 산업혁명 대응 정책과 시사점", 동향과 이슈 제30호, 2017

      57 배기형, 진기명, 장남남, 오가혜, "중국 드론 택배의 현황과 경쟁력 강 화방안", 한국물류학회지 제27권 제6호, 한국물류학회, 2017

      58 김지훈, "중국법상 무인기(드론) 규제 현황과 시사점", 경희법학 제52권 제3호, 경희법학연구소, 2017

      59 권영석, "미래부, 드론 이용한 서비스 혁신 방안 모색", EBN 산업경 제, 2015

      60 전아연, "중국의 사이버 안전ㆍ안보법제에 관한 연구", 년 한국 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하반기 정기학술대회논문집, 한국정치 커뮤니케이션학회, 2018, 2018

      61 장훈, "드론법(Drone Laws): 성장과 규제 사이의 균형점", 과학기술 정책, 제239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7

      62 손순호, 손원호, "드론에 의한 프라이버시 침해 규제방안 연구", 한 국지적정보학회지 제24권 제1호, 한국지적정보학회, 2022

      63 김선이, "무인항공기의 사생활 침해에 관한 법적 고찰", 동아법학 제65호, 2014

      64 警視庁, "小型無人機等飛行禁止法における規制の概要", https:- //www. npa. go. jp/bureau/security/kogatamujinki/index. html#- gaiyou, 2022

      65 송동엽, 이상준, 심명식, "드론산업 인프라 투자 우선순위에 관한 연 구", 스마트미디어저널 제9권 제3호, 2020

      66 김법헌, 김재현, "공공안전에서 드론의 효율적 운용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 21 제13권 제2호, (사)아시아문화학술원, 2022

      67 장태현, "드론을 활용한 효율적 재난안전관리 방안 연구", 목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68 김주표, "무인항공기 드론 사고의 법적 책임과 보험제도", 기업법연 구 제32권 제4호, 한국기업법학회, 2018

      69 윤덕병, "우리나라 드론산업과 글로벌 동향에 관한 탐색", 기업경영 리뷰 제9권 제3호, 기업경영연구소, 2018

      70 한세억, "안전도시의 재난관리체계와 프로그램 비교연구", 한국지방정 부학회,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권 2호, 2013. 한수웅, 헌법학(초판), 법문사, 2011, 2013

      71 정삼철, "[정책제안] 드론산업 전망과 정부 지자체의 역할", 월간 공공정책 제128호, 한국자치학회, 2016

      72 기자영, 박세환, 노홍석, "드론 산업 활성화를 위한 핵심기술 표준화 방 안",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06, 대한전자공학회, 2021, 2021

      73 구삼옥, 이종헌, "드론산업 발전을 위한 저변 육성 지원 정책 제안",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11, 한국항공우주학회, 2015, 2015

      74 황성규, "모빌리티 혁신, 일상 행복과 경제 활력의 마중물", 헤럴드 경제, 2021

      75 한국교통안전공단 항공교육센터,, "초경량비행장치(드론) [조종교육교관 과정] 교재", 한국교통안전공단, 2020

      76 교육부, "4차 산업혁명 혁신선도대학 20개교 선정결과 발표", 2020

      77 김선이, 신성환, "UAM 개발현황과 발전방향에 관한 항공정책적 제안", 한국항공우주정책 법학회지 제35권 제4호, 한국항공우주 정책 법학회, 2020

      78 최기성, "개정 부정경쟁방지법상 데이터 보호에 관한 소고", 법학연 구 제63권 제1호,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79 비피기술거래 비피제이기술거래,, "국내외 드론산업 법제도 및 시장기술 동향보고서", 비티타임즈, 2022

      80 박주희, "디지털무역 규범상 사이버안전 규범의 발전 방향", 국제경 제법연구, 제19권 제2호, 한국국제경제법학회, 2021

      81 김태동, 한동훈, 김황진, 김형식, "소방드론 관제⋅모니터링 시스템 운 용 실태 조사",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화 재소방학회, 2021

      82 김윤경, "제4차산업혁명 시대의 국내환경 점검과 정책 방향", KERI Brief 16-33, 한국경제연구원, 2017

      83 European Union, "Types of institutions and bodies, Instutions, Instutions and bodies", https://european-- union. europa. eu/institutions-law-budget/institutions-and- -bodies_en, 2022

      84 강윤경, "[FOCUS] 드론 산업 급부상…법제정비, 규제개선 시급", 마 이더스 -6호, 연합뉴스 동북아센터, 2015, 2015

      85 조민상, "지역안전 개선을 위한 드론 산업 거점 활성화 방안", 한국 민간경비학회보 제19권 제1호, 한국민간경비학회, 2020

      86 신금미, "12 ‧ 5 국가 전략적 신흥산업 발전규획의 주요 내용", KIEP 북경사무소 브리핑 Vol. 16 No. 2, 대외경제정책연구 원, 2013

      87 김병일, "빅데이터 분석과 데이터마이닝을 위한 저작권 제한", 지식재 산정책 제29권,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6

      88 강희조, "스마트 재난관리 영상감시 시스템과 IT 기술의 융합", 한국 멀티미디어학회 논문지, 제14권 제1호,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6

      89 이창한, 정종운, 이태명, "드론 확산에 따른 국회 안티드론방어체계 구 축방안", 시큐리티연구 제65호, 한국경호경비학회, 2020

      90 성관실, 오태곤, "국가 사이버안전 관리 법제의 개정방향에 관한 소 고",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제19권 제3호, 한국컴퓨터 정보학회, 2014

      91 김대완, 최일식, "드론산업 성장에 따른 드론 자격제도 개선방안 연 구", 디지털융합논문지 제7권 제2호, 한국디지털융합학회, 2021

      92 권종욱, 허지현, 김학조, "드론산업 조례 분석을 통한 지역특화산업 발 전 방안", 아태비즈니스연구 제12권 제4호, 강원대학교 경 영경제연구소, 2021

      93 박수형, 한철희, 윤명오, "미국 재난통신 운영체계 및 표준운영절차 분 석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제 31권 5호, 2017

      94 김종호, "빅 데이터의 재산법상 보호 가능성에 관한 법적 고찰", (사)한국법이론실무학회지법이론실무연구 제9권 제4호, 한국 법이론실무학회, 2021

      95 이지호, "빅데이터의 데이터마이닝과 저작권법상 일시적 복제", 지식 재산연구 제8권 제4호,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3

      96 이종렬, "소방정책개발 소방교육 체계구축을 위한 소방학 정립", 연구 보고서, 2009

      97 윤자영, "드론의 현황과 규제완화 정책, 상업용드론을 중심으로", KIET 산업경제 10월 특집, 2016

      98 박홍성, "국가중요시설의 드론 테러 대응방안 : 국회를 중심으로", 시큐리티 연구 제71호, 한국경호경비학회, 2022

      99 김일곤, "재난 재해 지역에서의 드론 활용체계 구성에 관한 연구", 융합과 통섭 제4권 제2호, 미래융합통섭학회, 2021

      100 이상우, 이원영, "테크홀릭 공저, 드론은 산업의 미래를 어떻게 바꾸는가", 한스미디어, 2016

      101 Statista, "Drone market revenue worldwide from 2019 to 2026(in billion U. S. dollars)", website https://www. statista. com/statistics/- 1200348/drone-market-revenue-worldwide(2022.12.03, 2022

      102 류원호, "도심항공교통(UAM) 특별법, 그리고 기존법령 보완 필요해", 경제뉴스, 2022

      103 김진환, 이민형, "드론 산업 육성에 따른 치안정책 변화요인에 관한 연 구", 한국치안행정논집 제16권 제3호, 한국치안행정학회, 2019

      104 이윤희, "실외 자율주행 로봇, 보행자 인도 달려 배달 가능해진다", 아웃소싱타임스, 2019

      105 오한길, "국내 소프트 타킷 대상 드론테러의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한국재난정보학회지 15(1), 2019

      106 윤경화,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안티드론 산업 정책평가 지표 개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1

      107 김근휘, "국내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의 독립성 강화 방안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제16권 제6호,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20

      108 민경석,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건설현장 안전사고 방지에 대한 연구", 안전문화연구 제11권 제1호, 안전문화포럼, 2021

      109 구세주, "드론 관리체계 개선 현황과 향후 과제, 이슈와 논점 제 1822호", 국회입법조사처, 2021

      110 강창봉, "드론산업 육성방향과 연계한 건설현장 본격활용을 준비하자", 대한토목학회지 제68권 제1호, 대한토목학회, 2020

      111 한경, "IT 과학, 드론시장 10% 성장, 미국-중국-유럽 순...한국은 고작 1", 6% 점유율, 2021.05.11, 2020

      112 이성순, "평시와 전시를 연계한 효율적인 국가위기관리체계 구축방안,",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113 대한전기학회 편집부,, "민관 협력해 드론산업 육성 주력 외, 전기의 세계 제66권 제9호", 대한전기학회, 2017

      114 최용찬, 박성수, "강화학습 기반 적대적 위협 환경 하에서의 정찰드론 경로 계획",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제6권 제4호, 국제 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2

      115 유재명, "스마트 재난관리를 위한 민간봉사단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 구", 목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116 석호영, "우리나라와 일본에서의 드론 이용 규제에 관한 비교법적 검 토", 토지공법연구 제80집, 한국토지공법학회, 2017

      117 신홍균, "토지 상공에서의 드론의 비행자유에 대한 제한과 법률적 쟁 점", 한국항공우주정책 법학회지 제35권 제2호, 한국항공 우주정책 법학회, 2020

      118 이성진, "경찰의 무인항공기 활용에 관한 법적 고찰: 현행법을 중심으 로", 한국민간경비학회보 제15권 제4호, 한국민간경비학 회, 2016

      119 임종균, "드론 무선 충전을 위한 고효율 송, 수신 코일 개발에 관한 연 구",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제17권 제2호, 한국전자통 신학회, 2022

      120 김은희, 조상덕, "드론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산업연관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항공경영학회지 제15권 제6호, 한국항공 경영학회, 2016

      121 한재현, 홍혜정, "무인항공기 안전운용을 위한 항공안전법 개정방향에 대한 연구", 한국항공우주정책 법학회지 제35권 제3호, 한국항공우주정책 법학회, 2020

      122 최미진, "무인항공기시스템의 실험분류 특별감항증명 제도에 관한 고 찰", 한국항공운항학회지 제28권 제4호, 한국항공운항학 회, 2020

      123 교육부,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전문대학 육성사업(LINC3.0) 선정 대학 발표", 2022

      124 권한용, "재난관리에 대한 국제적 논의와 한국의 재난대응에 대한 시사 점", 동아법학 제71호,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125 이희훈,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상 경찰의 드론에 의한 채증 규정 연 구", 입법학연구 제19집 제1호, 한국입법학회, 2022

      126 박준기, 오철, 서봉교, "첨단산업의 부상과 중국 산업정책의 진화: 중국 드론산업의 사례", 현대중국연구 제19권 제1호, 현대중국 학회, 2017

      127 김부생, 정제룡, "4차산업혁명 기반의 제3차 재난안전관리 기술개발 종 합계획 소개", 방재저널 제20권 3호, 한국방재협회, 2018

      128 손창근, 임강수, "박철 김상철, 국가 중요기반시설 보호용 안티드론 시 스템의 구축", 과학수사학회지 14(3), 2020

      129 김중수, "드론의 활용과 안전 확보를 위한 항공법상 법적 규제에 관한 고 찰", 법학논총 제39권 제3호,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130 김진관, "지역방재력 향상을 위한 민관재난협력체계 구축방안에 관한 연 구",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한국행정학회, 2018

      131 이동우, 조광문, 이성훈,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자율주행 기반의 주요국 드론 특성 비교/분석",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제6권 제2 호, 한국사물인터넷학회, 2020

      132 차상육, "인공지능(AI)과 지적재산권의 새로운 쟁점 –저작권법을 중심으 로-", 법조 제723호, 법조협회, 2017

      133 양경민, 임경호, "드론 산업의 법률적 규제 합리화 방안 : 무인비행장치 법규 중심으로", 한국드론연구 제1권 제1호, 한국드론민간 조사연구학회, 2018

      134 Dimitrios Moustakas, Georgia Lykou, Dimitris Gritzalis, "Defending Airports from UAS: A Survey on Cyber-Attacks and Counter-Drone Sensing Technologies", 20:12, 2020

      135 김윤희, "미국의 재난안전분야 훈련과 시사점 : National Exercise Program 을 중심으로", 경남발전 제142호, 경남발전연구원, 2018

      136 박준석,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우리 지적재산권법 관련 쟁점들의 통합 적 분석", 정보법학 제21권 제3호, 한국정보법학회, 2017

      137 추동균, "5G 무선이동통신 보안위협 분석을 통한 보안아키텍처 설계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2

      138 이기범, "UN해양법협약은 수중드론(underwater drone) 운용 문제를 규율 할 수 있는가?", 국제법학회논총 제62권 제2호, 대한국제 법학회, 2017

      139 덴탈포커스, "유럽 드론 분석 시장: 글로벌 산업 개요, 종합 분석, 규모, 점유율, 성장", 동향 및 예측, –2028, 2022.04.21, 2022

      140 김수현, 황용운, 이임영, "드론 환경에서 안전한 통신을 위한 KP-ABE 기 반의 데이터 접근 제어 기법",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제27권 제4호,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

      141 권태화, 전승목, 나승혁, "항공안전법 개선을 위한 EASA 무인항공기 규 정의 법적 체계에 대한 이해", 한국항공우주학회지 제49권 제5호, 한국항공우주학회, 2021

      142 경찰대학, "국가 중요시설 항공보안을 위한 안티드론 시스템 도입 국제 세미나 개최", 경찰대학, 2022

      143 김주다엘, "드론 교육체계 및 자격제도 개선방안 연구: 초경량비행장치 를 중심으로", 수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144 유영명, "부산지역 신성장동력 산업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 : 드론산업을 대상으로", 지역산업연구 제40권 제2호, 경남대학교 산업 경영연구소, 2017

      145 이희훈,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상 중복 집회 신고의 금지통고 규정에 대한 연구", 일감법학 제34호, 건국대 법학연구소, 2016

      146 오 철,, "중국 드론산업 규제완화 정책의 특징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정책연구 16-26", 한국경제연구원, 2016

      147 유주선, "드론의 발전과 법적 개선방안 -드론보험 도입을 포함하여-, 일감법학 제51권",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148 정 완, "드론의 비행안전 및 사생활보호 등에 관한 법적 고찰경희법 학 제57권 제2호", 경희법학연구소, 2022

      149 주청림, "무인비행장치(드론) 사고사례를 통한 주요 비행안전요인 도출 에 관한 연구", 한국항공대학교 항공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2021

      150 사동천, "손해배상의 범위-영국법 CISG 유럽계약법 원칙과 한국법의 비교를 중심으로-", 홍익법학 제18권 제1호,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151 임단, 최연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따른 국가중요시설의 드론테러 및 사이버테러 대응 방안", 한국테러학회보 제14권 제2호, 한 국테러학회, 2021

      152 권혜선, "국내 민간‧상업용 드론 생태계에 대한 연구: 행위자 연결망 분 석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53 김도경,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신기술관련 저작권 침해책임과 공정이용 규정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 제30권 제4호,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154 권헌영, 정호상, 심승배, "국내외 드론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공공분야 에서의 드론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15권 제4호, 한국IT서비스학회, 2016

      155 김사웅, "드론 산업 활성화에 따른 항공기와 드론 간 공중 충돌 회피 시 스템에 관한 고찰",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제16권 제5 호, 한국전자통신학회, 2021

      156 강욱, 이보현, "무인멀티콥터(드론) 자격시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중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시큐리티 연구 제68호, 한국 경호경비학회, 2021

      157 김지은, 손은정, 백서인, "중국 과학기술 신산업 혁신 역량 분석 : ① 중국의 드론 굴기와 한국의 대응 전략", STEPI Insight, 제235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9

      158 이병석, "경찰 드론 도입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통합기술수용이 론(UTAUT) 모형을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2020

      159 김용근, 황호원, "드론을 이용한 불법행위의 법적 개선방안 : - 항공안 전법 개정 방향을 중심으로 -", 한국항공경영학회지 제17 권 제3호, 한국항공경영학회, 2019

      160 김선이, "무인항공기의 사생활 침해에 대한 법적 대응: 미국 정책, 입법 안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항공우주정책 법학회지 제29권 제2호, 한국항공우주정책 법학회, 2014

      161 박상건 , 이경행, "미국의 MD를 고려한 능력기반 다층방어체계 구축방안 연구, Journal of the KNST Vol.3 No.1", 한국해군과학기 술학회, 2020

      162 강욱, 이창우, "치안활동 분야별 드론의 활용 가능성 분석에 대한 연구: 생활안전 업무를 중심으로", 한국경찰연구 제18권 제3호, 한국경찰연구학회, 2019

      163 엄단비, "항공안전법상 장난감 드론 규제 : 사람이 많이 모인 장소에서 비행 금지의 비현실성", 법학연구 제28권 제1호, 경상대학 교 법학연구소, 2020

      164 한 훈, "군사 드론의 기초산업 현황 분석,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Vol.6 No.4", 국제 문화기술진흥원, 2020

      165 신용덕, "4차 산업혁명 시대 드론산업 정책의 제도화와 대안전략: 인천 드론클 러스터를 중심으로", IDI 도시연구 제17호, 2020

      166 임규철, "드론활용의 촉진 및 기반조성에 관한 법률 및 항공안전법상의 드론 안전사항에 대한 고찰", 비교법연구 제19권 제3호, 동국대학교 비교법문화연구원, 2019

      167 한갑수, "지역주민의 드론 역량 강화요인 인식이 산업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 수요만족도를 매개로",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10권 제11호, 한국융합학회, 2019

      168 European Union Aviation Safety Agency, "Notice of Proposed Amendment 2021-09 in accordance with Articles 6(3), 7 and 8 (Standard procedure: public consultation) of", No 18-2015, 2021

      169 이대우, "[고부가가치 파급효과 기대되는 드론] 부산 드론산업 발전을 위해 드론개발시험원 설립 필요", 부산발전포럼 제153 호, 부산연구원, 2015

      170 정분도 , 홍미선, "딥러닝 알고리즘 기반기술의 스마트 정보 활성화 방안 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제20권 2호", 국제e-비즈니 스학회, 2019

      171 한유리, "[해외전력산업동향] 초연결사회(Hyper-connected Society)에 서 유틸리티 공유경제 비즈니스 모델 분석", 전기저널 제 488호, 대한전기협회, 2017

      172 이창규, "드론의 안전한 비행을 위한 법적 연구 -항공안전법 제131 조의2의 안전관리 방안의 제시를 중심으로-", 명지법학 제 17권 제2호, 2019

      173 선종수, "제4차 산업혁명과 법학의 과제 -혁신기술의 위험과 안전에 대 한 형법적 관점에서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부패학회보 제27권 제1호, 한국부패학회, 2022

      174 정동규, "송도선, 드론산업 동향 분석, 한국정보기술학회 년도 하계공동학술대회 및 대학생논문경진대회 2019-06", 한국정보 기술학회, 2019, 2019

      175 Flora J. Garcia, “, "Bodil Lindqvist A Swedish Churchgoer's Violation of the European Union's Data Protection Directive Should Be a Warning to U. S. Legislators", Vol.15, No.4, 2005

      176 강 욱,, "공공임무용 드론의 효과적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실종자 수색 용 드론을 중심으로, 시큐리티 연구 제62호", 한국경호경 비학회, 2020

      177 김창석, 전병국, 소진광, 김철주, "공간정보 구축 및 응용 : 효율적 지 구단위계획 수립을 위한 증강현실 기반 도시계획지원시스템 적 용 연구", 한국공간정보학회지 제20권 2호, 한국공간정보 학회, 2012

      178 박형주, "국방드론 선(先) 개발을 토대로 한 범용화 확대 방안 - 드론산 업 융합얼라이언스 국방분과 사례를 중심으로", 군사발전연 구 제13권 제2호, 조선대학교 군사학연구소, 2019

      179 채수근,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 검 토보고 - 김경만의원 대표발의(의안번호 제호)", 산업 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2021, 2107

      180 한기홍, "스마트 재난관리시스템을 활용한 사회안전망 구축이 재난관리 역량에 미치는 영향 - 소방안전관리를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81 박나은, 이일구, 윤선우, 박소현, "전소은 오예솔 이지은, 드론을 활 용한 스마트 물류 산업보안 기술 및 정책, 한국산업보안연 구 제11권 제1호(통권 제20호)", 한국산업보안학회, 2021

      182 이석현, "토지상공에서의 드론택시(UAM)의 비행자유를 위한 정책대안 연 구 - 토지 소유권이 토지 상공에 미치는 범위를 중심으로 -", 한국항공우주정책 법학회지 제36권 제4호, 한국항공우주 정책 법학회, 2021

      183 정연부, "사법적 통제를 위한 법령보충적 행정규칙의 성격에 대한 논의 체계 검토 - 법규성과 처분성에 대한 검토 체계를 중심으로 -", 공법연구 제48권 제1호, 한국공법학회, 2019

      184 Andreas Pyka, Minhwa Lee, Jinhyo Joseph Yun, Dongkyu Won, "How to Respon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r the Second Information Technology Revolution? Dynamic New Combinations between Technology, Market, and Society through Open Innovation", 4(3), 2018

      185 국방과 기술 편집부,, "안보 산업 두 마리 토끼를 잡는 드론 산업 육성방 안 논의 : 국회 신성장산업포럼, 업체 육성과 국산화 및 안티드 론 관련법 통과 필요성 강조, 국방과 기술 제491호", 한국 방위산업진흥회,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