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단일 기관에서 시행한 소아 조혈모세포이식 성적 = Outcome of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 Patients at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098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배경: 조혈모세포이식의 치료 성적은 이환된 질병, 조혈모세포의 공급원, 그리고 이식을 시행한 의료기관에 따라 치료 결과가 다양하다. 저자들은 단일기관에서 소아의 혈액, 종양 질환 치료를 위해 시행한 조혈모세포이식의 결과를 분석하고자 시행하였다.방법: 1995년 9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영남대학교병원에서 19세 이하의 소아 및 청소년 중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 받은 60명을 대상으로 이식 유형, 전처치 방법, 조혈모세포이식 시의 세포 수, 생착 시기, GVHD의 발생빈도, 치료에 따른 합병증, 그리고 전체생존율(overall survival, OS)과 무사건생존율(event free survival, EFS)을 분석하였다.결과: 총 60명 환아의 조혈모세포이식은 동종골수이식(Allo-BMT, 19명), 제대혈이식(CBT, 11명), 그리고 자가 말초혈조혈모세포이식(Auto-PBSCT, 30명)의 3가지 유형으로 시행되었다. Allo-BMT를 시행한 19명 중 17명이 혈연, 2명이 비혈연이었으나 CBT에서는 11명 중 1명만이 혈연, 나머지 10명은 비혈연이었다. 분석한 60명 모두에서 생착이 이루어졌고 생착일의 중앙값은 호중구 13일(범위, 8∼48일), 혈소판 27일(범위, 6∼465일)이었다. 치료관련사망은 Allo-BMT를 시행 받은 19명 중 4명(21.1%), CBT 11명 중 3명(27.3%), Auto-PBSCT 30명 중 3명(10%)에서 발생하였다. 총 60명 환아의 3년 OS는 73.3%, EFS는 63.3%였다. 그 중 Allo-BMT를 시행한 군의 3년 OS와 EFS는 78.9%, 73.7%였고 CBT의 3년 OS와 EFS는 63.6%, 54.5%였으며 Auto-PBSCT의 3년 OS와 EFS는 53.3%, 46.7%였다.
      번역하기

      배경: 조혈모세포이식의 치료 성적은 이환된 질병, 조혈모세포의 공급원, 그리고 이식을 시행한 의료기관에 따라 치료 결과가 다양하다. 저자들은 단일기관에서 소아의 혈액, 종양 질환 치...

      배경: 조혈모세포이식의 치료 성적은 이환된 질병, 조혈모세포의 공급원, 그리고 이식을 시행한 의료기관에 따라 치료 결과가 다양하다. 저자들은 단일기관에서 소아의 혈액, 종양 질환 치료를 위해 시행한 조혈모세포이식의 결과를 분석하고자 시행하였다.방법: 1995년 9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영남대학교병원에서 19세 이하의 소아 및 청소년 중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 받은 60명을 대상으로 이식 유형, 전처치 방법, 조혈모세포이식 시의 세포 수, 생착 시기, GVHD의 발생빈도, 치료에 따른 합병증, 그리고 전체생존율(overall survival, OS)과 무사건생존율(event free survival, EFS)을 분석하였다.결과: 총 60명 환아의 조혈모세포이식은 동종골수이식(Allo-BMT, 19명), 제대혈이식(CBT, 11명), 그리고 자가 말초혈조혈모세포이식(Auto-PBSCT, 30명)의 3가지 유형으로 시행되었다. Allo-BMT를 시행한 19명 중 17명이 혈연, 2명이 비혈연이었으나 CBT에서는 11명 중 1명만이 혈연, 나머지 10명은 비혈연이었다. 분석한 60명 모두에서 생착이 이루어졌고 생착일의 중앙값은 호중구 13일(범위, 8∼48일), 혈소판 27일(범위, 6∼465일)이었다. 치료관련사망은 Allo-BMT를 시행 받은 19명 중 4명(21.1%), CBT 11명 중 3명(27.3%), Auto-PBSCT 30명 중 3명(10%)에서 발생하였다. 총 60명 환아의 3년 OS는 73.3%, EFS는 63.3%였다. 그 중 Allo-BMT를 시행한 군의 3년 OS와 EFS는 78.9%, 73.7%였고 CBT의 3년 OS와 EFS는 63.6%, 54.5%였으며 Auto-PBSCT의 3년 OS와 EFS는 53.3%, 46.7%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Thomas E, "first of two parts" et al. Bone marrow transplantation 832-43,

      2 Shulman HM, "et al. Chronic graft-versus-host syndrome in man. A long-term clinicopathologic study of 20 Seattle patients. Am J Med 1980" 204-17,

      3 Ko YW, "et al. Bone marrow transplantation in adult severe aplastic anemia -a case report-. Korean J Hematol 1982" 191-5.

      4 Kim HK, "Two hundred cases of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children: single center study" 7 : 63-71, 2002

      5 Kletzel M, "Treatment of high-risk neuroblastoma with triple-tandem high-dose therapy and stem-cell rescue: results of the Chicago Pilot II Study" 20 : 2284-2292, 2002

      6 Schonberger S, "Transplantation of haematopoietic stem cells derived from cord blood, bone marrow or peripheral blood: a single centre matched-pair analysis in a heterogeneous risk population" 216 : 356-363, 2004

      7 Jo B, "Successful engraftment of HLA-mismatched unrelated transplantation using banked cord blood in Korea" 3 : 125-128, 1998

      8 Rizzoli V, "Stem cell purging: an intriguing dilemma" 23 : 296-302, 1995

      9 Gluckman E, "Results of unrelated umbilical cord blood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 8 : 146-154, 2001

      10 Kurtzberg J, "Placental blood as a source of hematopoietic stem cells for transplantation into unrelated recipients" 335 : 157-166, 1996

      1 Thomas E, "first of two parts" et al. Bone marrow transplantation 832-43,

      2 Shulman HM, "et al. Chronic graft-versus-host syndrome in man. A long-term clinicopathologic study of 20 Seattle patients. Am J Med 1980" 204-17,

      3 Ko YW, "et al. Bone marrow transplantation in adult severe aplastic anemia -a case report-. Korean J Hematol 1982" 191-5.

      4 Kim HK, "Two hundred cases of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children: single center study" 7 : 63-71, 2002

      5 Kletzel M, "Treatment of high-risk neuroblastoma with triple-tandem high-dose therapy and stem-cell rescue: results of the Chicago Pilot II Study" 20 : 2284-2292, 2002

      6 Schonberger S, "Transplantation of haematopoietic stem cells derived from cord blood, bone marrow or peripheral blood: a single centre matched-pair analysis in a heterogeneous risk population" 216 : 356-363, 2004

      7 Jo B, "Successful engraftment of HLA-mismatched unrelated transplantation using banked cord blood in Korea" 3 : 125-128, 1998

      8 Rizzoli V, "Stem cell purging: an intriguing dilemma" 23 : 296-302, 1995

      9 Gluckman E, "Results of unrelated umbilical cord blood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 8 : 146-154, 2001

      10 Kurtzberg J, "Placental blood as a source of hematopoietic stem cells for transplantation into unrelated recipients" 335 : 157-166, 1996

      11 Cho B, "Pediatric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Korea: April 2000: 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Hematology-Oncology" 8 : 1-8, 2001

      12 Gluckman E, "Outcome of cord blood transplantation from related and unrelated donors. Eurocord Transplant Group and the European Blood Marrow Transplantation Group" 337 : 373-381, 1997

      13 Rosti G, "High-dose chemotherapy for solid tumors: results of the EBMT" 41 : 129-140, 2002

      14 van der Meer A, "HLA-C mismatches induce strong cytotoxic T-cell reactivity in the presence of an additional DRB/DQB mismatch and affect NK cell-mediated alloreactivity" 72 : 923-929, 2001

      15 Bradley MB, "Cord blood immunology and stem cell transplantation" 66 : 431-446, 2005

      16 Rocha V, "Comparison of outcomes of unrelated bone marrow and umbilical cord blood transplants in children with acute leukemia" 97 : 2962-2971, 2001

      17 Bach FH, "Bortin MM. Bone-marrow transplantation in a patient with Wiskott-Aldrich syndrome. Lancet 1968" 1364-6,

      18 Shin EY, "Autologous peripheral blood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for children with acute myelogenous leukemia in Korea" 8 : 9-16, 2001

      19 Horowitz MM, "An update from the international bone marrow transplant registry and the autologous blood and marrow transplant registry on current activity in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4 : 395-400, 1997

      20 Bensinger WI, "Allogenic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patients with advanced hematologic malignancies: a retrospective comparison with bone marrow transplantation" 88 : 2794-2800, 1996

      21 Lee S, "Allogeneic versus autologous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for adults with high-risk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in first remission: a single experience" 5 : 141-152, 2000

      22 Sung KW,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children with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 single center experience" 9 : 19-28, 2004

      23 "2001. ASBMT, IBMTR, ABMTR Tandem BMT meetins" 7 : 61-118,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3-11-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혈액학회지 -> Blood Research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Hematology -> Blood Research
      KCI등재
      2012-02-01 평가 SCOPUS 등재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4-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Hematology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8 0.08 0.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3 0.12 0.339 0.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