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배경 및 목적) 도시 인구가 농촌 인구를 초과함에 따라, 도시의 공기, 기후, 녹지, 생태계, 생물 종 등이 다양한 정도로 파괴되었다. 이에 따라 각 국가에서는 오염으로 인해 방치된 지역...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677683
202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67-180(1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 도시 인구가 농촌 인구를 초과함에 따라, 도시의 공기, 기후, 녹지, 생태계, 생물 종 등이 다양한 정도로 파괴되었다. 이에 따라 각 국가에서는 오염으로 인해 방치된 지역...
(연구배경 및 목적) 도시 인구가 농촌 인구를 초과함에 따라, 도시의 공기, 기후, 녹지, 생태계, 생물 종 등이 다양한 정도로 파괴되었다. 이에 따라 각 국가에서는 오염으로 인해 방치된 지역인 브라운필드를 효율적으로 재생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바이오필릭 디자인은 인간과 자연 간의 깊은 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개념으로, 브라운필드 재생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바이오필릭 디자인이 브라운필드 재생에 미치는 영향과 그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사례로는 북경 798 예술거리를 선정하여, 바이오필릭 디자인이 브라운필드 재생 프로젝트의 생태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해 다양한 국가에서 브라운필드의 정의를 정리하였다. 둘째, 선행연구를 통해 브라운필드 재생과 관련된 개념을 정리하고 연구하였다. 셋째, 바이오필릭 디자인 관련 선행연구를 정리하고 브라운필드의 특징과 관련 개념을 정리하였다. 넷째, SEM 모델을 바탕으로 브라운필드 재생 프로젝트에서의 바이오필릭 디자인의영향관계 연구 모형을 설정하여 가설과 설계 과정에서의 변수를 제기하였다. 다섯째, 리커트 척도(Likert scale)의 5점 척도를사용하여 분석 대상인 북경 798 예술거리 관련 변수를 설정하였다. 또한 설문조사(WJX.cn)을 통해 연구 데이터를 수집하고SPSS 27을 통해 설문지의 신뢰도와 효과를 입증하였다. 여섯째, AMOS 28을 통해 연구 모형과 가설의 타당성을 증명하였다. 최종적으로 얻은 결과를 통해 북경 798 예술 거리 재생 프로그램의 생태 효익에 대한 연구와 평가를 진행하였다. (결과) 가설 검증결과를 살펴보면, 모든 가설은 유의성 검증을 통과했고 바이오필릭 디자인은 생태 복원, 오염 처리, 환경 개선, 기후 조절, 자원재활용, 감각적 가치, 대중의 참여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유지 관리 비용과 건설 복잡성은 생태 효익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이를 통해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다차원적 효용과 한계를 종합적으로 규명하였다. (결론) 연구 결과에 따르면, 바이오필릭 디자인은 자연 요소 도입, 생태 모방 디자인, 상호작용 시설을 통해 생태 복원, 오염 처리, 환경 개선에 유의한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감각적 가치와 커뮤니티 결속력 증진에도 기여하였다. 반면, 높은 유지 관리 비용과 건설 복잡성은 생태 효익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모듈화 시공 기술 도입으로 공정 효율성을 개선하고, 지역 사회 참여형 유지관리 체계 구축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브라운필드 재생은 단순한 토지 재활용을 넘어 생태, 경제, 사회적 가치 통합이 핵심이다. 바이오필릭 디자인은 생물 다양성 증진, 기후 조절 강화, 자원 순환성 확대 등 생태적 목표와 더불어 주민 정서적 안정성 및문화적 정체성 보존을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학제 협력(생태학, 도시 계획, 심리학)을 강화하고, 지역 맞춤형 평가 지표 개발을 통해 지속 가능한 도시 모델 정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duced green spaces, and biodiversity loss. Many countries are exploring brownfield regeneration strategies to address these issues. Biophilic design, which fosters a deep human-nature connection, offers a promising approach. This study analyzes the ...
reduced green spaces, and biodiversity loss. Many countries are exploring brownfield regeneration strategies to address these issues. Biophilic design, which fosters a deep human-nature connection, offers a promising approach.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and relationships of biophilic design in brownfield regeneration, using Beijing’s 798 Art District as a case study to assess its ecological benefits and support sustainable urban redevelopment. (Method) A theoretical review summarized brownfield definitions across countries and refined concepts and frameworks for regeneration. Key characteristics and theories of brownfield design were identified. A research model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developed to assess biophilic design's impact on brownfield regeneration, proposing hypotheses and key variables. The study used a five-point Likert scale, focusing on Beijing’s 798 Art District. Data were collected via an online survey (WJX.cn) and analyzed using SPSS 27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AMOS 28 tested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Finally, the ecological benefits of the 798 Art District project were evaluated for sustainability and effectiveness. (Results) From the hypothesis verification results, all hypotheses passed the significance test. Biophilic design demonstrate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ecological restoration, pollution control, environmental improvement, climate regulation, resource recycling, perceived value, and public participation. In contrast, maintenance costs and construction complexity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ecological benefits. Thus, the multidimensional utility and limitations of biophilic design are fully explained. (Conclusions)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biophilic design, through the incorporation of natural elements, biomimetic design, and interactive facilities,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ecological restoration, pollution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while also enhancing sensory value and community cohesion. On the other hand, high maintenance costs and construction complexity were identified as key barriers to improving ecological benefits. In response, this study highlights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modular construction techniques to enhance efficiency and establish community-based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s to promote long-term sustainability. Brownfield regeneration extends beyond mere land reuse—its core objective is the integration of ecological, economic, and social values. Biophilic design must be holistically evaluated based on its contributions to biodiversity enhancement, climate regulation, and resource circulation, as well as its role in fostering emotional stability and cultural identity among residents.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strengthening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across fields such as ecology, urban planning, and psychology, while also developing region-specific evaluation indicators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sustainable urban models.
사회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한 디자인 역사의 인물 분석
건축 철학적 접근을 통한 AI 기반 건축 디자인의 개념적 해석에 관한 연구
태양광 패널을 적용한 건축물 파사드 디자인 분석 연구 - 파사드 디자인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
실내 주차 공간 시각 정보 요소가 주차 공간 사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용자 경험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