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SCIE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발생한 Verapamil 독성 4예 = Four Cases of Verapamil Deleterious Effects in Chronic Renal Fail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905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ur hypertensive patients with chronic renal insufficiency who were treated with sustained release verapamil hydrochloride subsequently developed acute toxic effects. All four patients developed marked bradycardia, hypotension, hyperkalemia and metabolic aciodosis and were treated with atropine, fluid therapy, potasium lowing measure, dialysis, and temporary pacemaker, and were restored to the renal function and sinus rhythm after 12-24 hr. Patients with renal impairement who are treated with sustained release verapamil may accumulate verapamil or its metabolites and develop toxic side effects. We conclude that sustained release verapamil should be used with caution in chronic renal failure and that patients should be closely monitored for adverse cardiovascular, metaboic, and hepatic side effects. (Korean J Nephrol 2005;24(3):501-509)
      번역하기

      Four hypertensive patients with chronic renal insufficiency who were treated with sustained release verapamil hydrochloride subsequently developed acute toxic effects. All four patients developed marked bradycardia, hypotension, hyperkalemia and metab...

      Four hypertensive patients with chronic renal insufficiency who were treated with sustained release verapamil hydrochloride subsequently developed acute toxic effects. All four patients developed marked bradycardia, hypotension, hyperkalemia and metabolic aciodosis and were treated with atropine, fluid therapy, potasium lowing measure, dialysis, and temporary pacemaker, and were restored to the renal function and sinus rhythm after 12-24 hr. Patients with renal impairement who are treated with sustained release verapamil may accumulate verapamil or its metabolites and develop toxic side effects. We conclude that sustained release verapamil should be used with caution in chronic renal failure and that patients should be closely monitored for adverse cardiovascular, metaboic, and hepatic side effects. (Korean J Nephrol 2005;24(3):501-509)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Verapamil은 주로 심근과 혈관의 평활근에 작용하여 세포막에 있는 칼슘 통로 (calcium channel)를 차단하여 심근의 부하를 줄이고 말초동맥과 관상동맥을 확장시키는 작용을 가지고 있어서 협심증, 상심실성 빈맥, 고혈압 등 심혈관계 질환과 편두통 질환의 치료에 이용되고 있다1). 또한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단백뇨 감소 및 신기능 보호효과가 있어 널리 쓰이고 있다2).
      Verapamil의 독성은 완전 방실 전도 차단을 비롯한 심부정맥과 말초 혈관 저항의 감소 및 심근 수축력의 저하로 인한 저혈압이 대표적이고, 간독성과 고혈당, 고칼륨혈증과 경련, 오심, 구토 및 폐부종이 알려져 있다4). 지금까지 Verapmil의 독성에 대한 보고는 거의 없으며, 대부분은 과량 복용에 의한 것이었다3). 외국에는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치료 용량의 verapamil 사용 후 발생한 독성을 보고한 예가 있으나2,5), 국내에서는 자살 목적으로 과량 복용한 verapamil 중독을 보고한 증례 이외에1) 치료 용량의 verapamil을 사용하고 발생한 부작용을 발표한 증례는 없었다.
      저자들은 고혈압과 단백뇨를 보이는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서방정 verapamil을 치료용량으로 사용 후 혈압 강하, 대사성산증, 고칼륨혈증과 부정맥이 발생하였으며 투약중지 후 증세가 호전된 4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번역하기

      Verapamil은 주로 심근과 혈관의 평활근에 작용하여 세포막에 있는 칼슘 통로 (calcium channel)를 차단하여 심근의 부하를 줄이고 말초동맥과 관상동맥을 확장시키는 작용을 가지고 있어서 협심증...

      Verapamil은 주로 심근과 혈관의 평활근에 작용하여 세포막에 있는 칼슘 통로 (calcium channel)를 차단하여 심근의 부하를 줄이고 말초동맥과 관상동맥을 확장시키는 작용을 가지고 있어서 협심증, 상심실성 빈맥, 고혈압 등 심혈관계 질환과 편두통 질환의 치료에 이용되고 있다1). 또한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단백뇨 감소 및 신기능 보호효과가 있어 널리 쓰이고 있다2).
      Verapamil의 독성은 완전 방실 전도 차단을 비롯한 심부정맥과 말초 혈관 저항의 감소 및 심근 수축력의 저하로 인한 저혈압이 대표적이고, 간독성과 고혈당, 고칼륨혈증과 경련, 오심, 구토 및 폐부종이 알려져 있다4). 지금까지 Verapmil의 독성에 대한 보고는 거의 없으며, 대부분은 과량 복용에 의한 것이었다3). 외국에는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치료 용량의 verapamil 사용 후 발생한 독성을 보고한 예가 있으나2,5), 국내에서는 자살 목적으로 과량 복용한 verapamil 중독을 보고한 증례 이외에1) 치료 용량의 verapamil을 사용하고 발생한 부작용을 발표한 증례는 없었다.
      저자들은 고혈압과 단백뇨를 보이는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서방정 verapamil을 치료용량으로 사용 후 혈압 강하, 대사성산증, 고칼륨혈증과 부정맥이 발생하였으며 투약중지 후 증세가 호전된 4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방형 verapamil의 과량 복용으로 인한 약물 중독 1예" 9 : 169-176, 1998

      2 "서맥으로 치료받은 만성 신질환 환자들에 새한 임상적 고찰" 23 : 256-262, 2004

      3 "Verapamil toxicity:Treatment wit hemoperfusion" 114 : 340-341, 1991

      4 "Verapamil overdose: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26 : 1373-1378, 1992

      5 "Verapamil intoxication:A literature review of overdoses and discussion of therapeutic options" 95 : 431-438, 1993

      6 "Verapamil deleterious effects in chronic renal failure" 72 : 461-464, 1996

      7 "The prevalence of diabetes mellitus and other risk factors of atherosclerosis in bradycardia requiring pacemaker treatment" 26 : 84-87, 1992

      8 "Slow release verapamil and hyperglycemic metabolic acidosis" 110 : 171-172, 1989

      9 "Renoprotective effects of antihypertensives" 12 : 19-32, 1999

      10 "Prolonged half life of verapamil in a case of overdose:implications for therapy" 26 : 680-683, 1995

      1 "서방형 verapamil의 과량 복용으로 인한 약물 중독 1예" 9 : 169-176, 1998

      2 "서맥으로 치료받은 만성 신질환 환자들에 새한 임상적 고찰" 23 : 256-262, 2004

      3 "Verapamil toxicity:Treatment wit hemoperfusion" 114 : 340-341, 1991

      4 "Verapamil overdose: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26 : 1373-1378, 1992

      5 "Verapamil intoxication:A literature review of overdoses and discussion of therapeutic options" 95 : 431-438, 1993

      6 "Verapamil deleterious effects in chronic renal failure" 72 : 461-464, 1996

      7 "The prevalence of diabetes mellitus and other risk factors of atherosclerosis in bradycardia requiring pacemaker treatment" 26 : 84-87, 1992

      8 "Slow release verapamil and hyperglycemic metabolic acidosis" 110 : 171-172, 1989

      9 "Renoprotective effects of antihypertensives" 12 : 19-32, 1999

      10 "Prolonged half life of verapamil in a case of overdose:implications for therapy" 26 : 680-683, 1995

      11 "Overdose of sustained release verapamil" 72 : 361-365, 1994

      12 "Hepatotoxicity due to treatment with papaverine" 281 : 1333-1335, 1969

      13 "Differences in glomerular membrane permeability responses to a nodihydropyridine in patients with diabetic nephropathy" 8 : 562-, 1997

      14 "Complete atrioventricular blockade secondary to conventional release verapamil in a patient on hemodialysis" 83 : 89-90, 1999

      15 "Class IV drugs : calcium channel blockers, Ellenhorn's medical toxicology 2nd ed" Williams & Wilkins 532-541, 1997

      16 "Atrioventricular and intraventricular conduction in hyperkalemia" 35 : 199-203, 1975

      17 "Acute toxic effects of su stained release verapamil in chroic renal failure" 151 : 2081-2084,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1-11-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외국어명 : 미등록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2-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신장학회지 -> Th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KCI등재
      2007-02-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신장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1 0.21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4 0.1 0.42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