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The Effectiveness of the Flipped Learning using the Smart Devi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137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advances in technology, many researchers have made an effort to find out educational methods with customized instruction.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investigate i) if flipped learning is beneficial for the students taking intermediate-leve...

      With advances in technology, many researchers have made an effort to find out educational methods with customized instruction.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investigate i) if flipped learning is beneficial for the students taking intermediate-level English grammar and writing class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class, ii) if the flipped learning class is advantageous for all the score level students in terms of student achievement and iii) if the students feel motivated with the flipped learning class. T-test was utilized to determine any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student achievement. The result in terms of the academic achievement revealed that the flipped classroom approach for the low score group was found to be the least effective among others. In the case of flipped learning teaching method, the instructor should develop contents according to the level of learners.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contents tailored to the level of learners will enhance learners' learning achieve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희배, "학제간 통합교과 개발 및 블렌디드형 협동학습 모형 적용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8 (28): 907-924, 2012

      2 박양주, "플립러닝의 교육적 의미에 대한 이론적 탐색: 대화주의 관점에서" 한국융합학회 8 (8): 173-179, 2017

      3 이동엽, "플립드 러닝에 대한 인식 및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 (14): 1-9, 2016

      4 이동엽,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 교수학습 설계모형 탐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83-92, 2013

      5 허서정, "플립드 러닝 기반 컴퓨터 활용 수업의 학습 효과 분석" 한국융합학회 8 (8): 155-162, 2017

      6 피수영, "증강현실과 예술의 융복합 수업모형 개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 (14): 85-93, 2016

      7 서남숙, "융복합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력, 학습동기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11-19, 2015

      8 피수영, "융복합 교육 시대에 스마트기기의 교육적 활용방안"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29-37, 2015

      9 이재일, "외국어학습능률 개선방안을 위한 학습자료 선별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융합학회 7 (7): 87-92, 2017

      10 최신형, "스마트 캠퍼스 정보제공 서비스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융합학회 6 (6): 79-83, 2016

      1 김희배, "학제간 통합교과 개발 및 블렌디드형 협동학습 모형 적용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8 (28): 907-924, 2012

      2 박양주, "플립러닝의 교육적 의미에 대한 이론적 탐색: 대화주의 관점에서" 한국융합학회 8 (8): 173-179, 2017

      3 이동엽, "플립드 러닝에 대한 인식 및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 (14): 1-9, 2016

      4 이동엽,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 교수학습 설계모형 탐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83-92, 2013

      5 허서정, "플립드 러닝 기반 컴퓨터 활용 수업의 학습 효과 분석" 한국융합학회 8 (8): 155-162, 2017

      6 피수영, "증강현실과 예술의 융복합 수업모형 개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 (14): 85-93, 2016

      7 서남숙, "융복합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력, 학습동기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11-19, 2015

      8 피수영, "융복합 교육 시대에 스마트기기의 교육적 활용방안"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29-37, 2015

      9 이재일, "외국어학습능률 개선방안을 위한 학습자료 선별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융합학회 7 (7): 87-92, 2017

      10 최신형, "스마트 캠퍼스 정보제공 서비스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융합학회 6 (6): 79-83, 2016

      11 이용환,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환경 지킴이 교육 서비스 구현"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1-8, 2015

      12 박성익, "블렌디드 러닝에서 효과적 온/오프라인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대학 강좌를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15 (15): 17-45, 2007

      13 강인애, "‘스마트 러닝’의 개념화와 교수학습전략 탐색: 대학에서의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교육방법학회 24 (24): 283-303, 2012

      14 H. Hughes, "Introduction to Flipping the College Classroom" 2434-2438, 2012

      15 이종연, "Flipped learning의 의의 및 교육환경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313-323, 2014

      16 J. Bergmann, "Flip Your Classroom:Reach Every Student in Every Class Every Day" 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22-06-01 평가 등재학술지 취소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2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디지털정책연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3-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한국디지털정책학회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9 1.59 1.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5 1.34 1.61 0.6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