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김영태 시에 나타난 "얼룩"의 표상성 연구 =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s of “Elluk (the Blot)” in the Poems by Kim Young Ta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김영태의 시세계에서 “얼룩”이라는 시어는 무화 작용을 통해 시적자아의 사라져가는 현존재성을 보여주는 주요 표상으로 보인다. 영원히살 수 없다는 점에서 “끝”을 갖고 있는 시적자...

      김영태의 시세계에서 “얼룩”이라는 시어는 무화 작용을 통해 시적자아의 사라져가는 현존재성을 보여주는 주요 표상으로 보인다. 영원히살 수 없다는 점에서 “끝”을 갖고 있는 시적자아는 탄생과 더불어 ‘무’를 안고 있는 상황에 놓여 있다. ‘무’를 안고 있다는 점이 현존재의 가장 중요한 조건이므로 일시적으로 존재하는 “얼룩”은 본래적인 유한성을 지니고 있는 현존재를 극명하게 표상하고 있는 시어라고 할 수 있다. 이점에서 결국 김영태 미학의 핵심은 자기 무화를 향해 생생하게 흘러가는 시적 주체가 자신의 작품에 일시적으로 존재한 흔적을 다양한 표상으로 남기면서 끊임없이 미의식을 생성해 나간다는 점이다. 본고는 “얼룩”의 표상성을 주목하고 다음과 같이 고찰해 보았다. 첫째, 시적 자아는 생의 궁극적 질량인 “얼룩”을 통해 자신의 존재를 확인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소멸된다는 점에서 인간의 흔적이나 얼룩의 흔적이나 등가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시적 자아는 인식한다. 결국 얼룩은 잠시 존재하는 시적 자아의 본래적인 유한성을 표상하며 곧사라질 운명에 놓여 있음으로써 일회성의 아름다움, 소멸의 아름다움을 유감없이 보여주고 있다. 둘째, 불안은 현존재로 하여금 자기 존재의 근원성, 본래성에 직면하게 해준다. 불안을 통해, 맞닥뜨리게 되는 현존재의 근원성은 바로 무(無)이다. 본고는 무가 언어를 통해 열어 보이는 무한한 미의 세계를 주목했다. 불안을 통해 묻게 되는 시간에 대한 물음은 현존재가 자신의 근원성을 성찰하게 되는 기회가 된다. 현존재는 존재하면서 사라지는 배리적 특성을 지녔다. 세계 밖으로 금방 미끄러지게 될 “나는 있음”이바로 얼룩이며 우리가 ‘어떻게 무를 경험하고 있는가’ 하는 근본 물음은 김영태의 시에서 자주 등장하는 시어들에서 해답을 구할 수 있다. 세계에 윤곽을 부여하고 존재에 대한 인식을 환기해서 미적인 세계를 생성하는 ‘얼룩’의 음영은 미를 생산하는 중요 기제로써 김영태 시세계를 개진시키는 동력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김영태의 시세계에서 “얼룩”이 표상하는 소멸과 불안과 일회성에 대한 지각은 시적화자로 하여금 무화를 통해 자신이 거주하는 세계를 탈수직적 관점으로 보는 경향을 지니게 한다. 숙명적으로 일회성을 안고 살아가는 시적 자아는 불안한 얼룩의 운명을 자신의 운명에 투사하며 그 과정을 언어로 남긴다. 이때의 언어는 해체, 탈 권력, 탈 중심, 탈 권위를 표상하기 마련이다. 이들은 동일하게 자유를 지향한다. 인간의 조건으로서의 ‘무’에 대한 절실한 이해가 권력을 해체하고 중심을 해체하고 권위를 해체하게 되는 수순을 밟게 되는 것이다. 본고는 “얼룩”의 세계에 고정관념에 대한 혐오와 억압, 폭력, 체제에 대한 부정의식이 내재되어 있으며 무화의 방향은 바로 이 탈주의 형이상학적 욕망과 관련된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aper examines that the word “Elluk (the blot)” shows the presence of being, abandoning nothingness. The essence of Kim Young Tae`s aesthetics is that the present being flowing vividly to self-nothingness anyhow is abandoning nothingness and c...

      The paper examines that the word “Elluk (the blot)” shows the presence of being, abandoning nothingness. The essence of Kim Young Tae`s aesthetics is that the present being flowing vividly to self-nothingness anyhow is abandoning nothingness and continuing to create the aesthetic consciousness as a poetic agent. The word “Elluk (the blot)” represents the following through Kim Young Tae`s poems. First, Kim Young Tae identifies his existence through “Elluk (the blot)” which is the ultimate matter. He recognizes it similar to the traces of humans or the snow in the aspect that they are perishing. As they become nothing, humans, the snow and the blot represent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one-time property in their whole existence. Second, anxiety makes the present being face one`s originality and originality. The foundation of present being is nothingness, which is identified through anxiety.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infinite world of beauty where nothingness opens through language. The fact that “I exist” is the blot because I would slide into the outside of the world soon. We can find out the answer to the question “How do we experience nothingness?”, which is an original question, in the frequent words of Kim Young Tae`s poems. Third, it is examined that the realization that the blot represents extinction, anxiety, and one-time property causes the ones who exist aim to anti-hierarchy. There are some order of steps where the serious understanding of nothingness as a condition of humans destructs the power, the center, and the authority. It is observed that the hatred of a fixed idea and the negative consciousness of oppression and violence are inherent in the world of “Elluk (the blot)” and the direction of nothingness is related with the metaphysical desire of escap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마르틴 하이데거, "형이상학이란 무엇인가" 서광사 1994

      2 김윤식, "한국 근대시 백년의 어둠과 밝음, In 한국 현대시 100주년 기념논문집" 2005

      3 한스 페터 헴펠, "하이데거와 선" 민음사 1995

      4 김영효, "하이데거 전기 사상에 대한 唯識學(유식학)적 독법, In 하이데거 철학과 동양사상" 철학과현실사 2001

      5 김춘수, "포즈의 매력" 1974

      6 김석준, "텍스트 운동의 세 양태" (겨울) : 2007

      7 임석진, "철학사전" 이삭 1983

      8 서동욱, "차이와 타자" 문학과지성사 2000

      9 김현, "존재와 언어: 현대 프랑스 문학을 찾아서" 문학과지성사 1989

      10 마루야마 게이자부로, "존재와 언어" 민음사 1987

      1 마르틴 하이데거, "형이상학이란 무엇인가" 서광사 1994

      2 김윤식, "한국 근대시 백년의 어둠과 밝음, In 한국 현대시 100주년 기념논문집" 2005

      3 한스 페터 헴펠, "하이데거와 선" 민음사 1995

      4 김영효, "하이데거 전기 사상에 대한 唯識學(유식학)적 독법, In 하이데거 철학과 동양사상" 철학과현실사 2001

      5 김춘수, "포즈의 매력" 1974

      6 김석준, "텍스트 운동의 세 양태" (겨울) : 2007

      7 임석진, "철학사전" 이삭 1983

      8 서동욱, "차이와 타자" 문학과지성사 2000

      9 김현, "존재와 언어: 현대 프랑스 문학을 찾아서" 문학과지성사 1989

      10 마루야마 게이자부로, "존재와 언어" 민음사 1987

      11 이기상, "존재와 시간" 살림 2006

      12 마르틴 하이데거, "존재와 시간" 이기상 1997

      13 권명옥, "적막의 미학"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5 : 2004

      14 권경아, "잔잔한 풍경의 힘" (여름) : 2003

      15 염재철, "작품존재에서 보는 예술의 본질 ― 하이데거의 예술철학 논구 (III)" 한국미학회 (70) : 143-180, 2012

      16 박기동, "잊을 수 없는 그 때 그 시집 3인 시집 ‘평균율’" (봄) : 2002

      17 강영옥, "우리말 철학사전." 지식산업사 2002

      18 박이문, "예술과 철학과 미학" 한국미학회 18 : 1993

      19 김미정, "언어로 춤추는 풍경인" (여름) : 2003

      20 김영태, "아름다운 고집" 청맥사 1988

      21 서준섭, "시적 자의식의 세 가지 모습" 1989

      22 김종길, "시인과 현실과의 距離(거리): 마종기 김영태 황동규, In 평균율" 문학과지성사 1972

      23 마르틴 하이데거, "시간의 개념" 누멘사 2009

      24 김선학, "세계의 객관화와 존재의 객관화" 1989

      25 김 현, "새로운 시 형태의 가능성" 1968

      26 성수현, "삶과 죽음의 미학"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8 : 2001

      27 김동훈, "불안과 권태, 그리고 숭고: 하이데거 사유의 내밀한 빈터에서" 한국미학회 (55) : 39-79, 2008

      28 김인환, "물신의 도시 속 신비의 가능성 표출"

      29 김영태, "물거품을 마시면서 아껴가면서" 천년의시작 2005

      30 이재훈, "무욕(無慾)과 정적(靜寂)의 세계" (여름) : 2005

      31 문정희, "몸살기" 1975

      32 김영태, "눈의 나라 사탕비누들" 눈빛 1993

      33 김영태, "누군가 다녀갔듯이" 문학과지성사 2005

      34 김영태, "남몰래 흐르는 눈물" 문학과지성사 2000

      35 안수환, "김영태론: 물질과 정신" 1982

      36 윤재근, "김영태론" 1978

      37 김영태, "김영태 시선" 지식을만드는지식 2013

      38 김갑숙, "김영태 시 연구 : 이미지 분석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06

      39 김영태, "김영태 (개에 대한) 노트" 12 : 1967

      40 김영태, "그늘 반근" 문학과지성사 2005

      41 박이도, "認識의 直觀. 其他" 1979

      42 김영태, "草芥手帖" 현대문학사 1975

      43 김영태, "北호텔(시선집)" 민음사 197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7-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예비평학회 -> 한국문예비평연구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3 0.82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