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진영복, "협력학습 수업 모형과 대학 글쓰기 교육" 시학과언어학회 (16) : 93-118, 2009
2 Levy, Pierre, "집단지성: 사이버 공간의 인류학을 위하여" 문학과지성사 2002
3 교육부, "보도자료: 우리나라 학생의 협력적 문제해결력은 최상위 수준: OECD, PISA 2015 협력적 문제해결력 평가 결과 발표"
4 이강주, "디지털전환 시대 미래 학교교육 시나리오 탐색" 교육연구원 37 (37): 1-25, 2021
5 배보은, "대학글쓰기 수업 방안 연구 - 과정 중심 글쓰기 협력학습을 바탕으로 -" 돈암어문학회 37 : 203-236, 2020
6 이효숙,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의 협동학습 실습 지도안 연구" 한국 리터러시 학회 10 (10): 427-462, 2019
7 정희모, "글쓰기 교육과 협력학습" 삼인 2006
8 김지선, "공유와 협업의 글쓰기 플랫폼, 위키" 한국학연구소 (60) : 371-419, 2021
9 Nystrand, M., "Where did composition studies come from?" 10 (10): 267-333, 1993
10 Bruffee, K. A., "Social Construction, Language, and the Authority of Knowledge: A Bibliographical Essay" 48 (48): 773-790, 1986
1 진영복, "협력학습 수업 모형과 대학 글쓰기 교육" 시학과언어학회 (16) : 93-118, 2009
2 Levy, Pierre, "집단지성: 사이버 공간의 인류학을 위하여" 문학과지성사 2002
3 교육부, "보도자료: 우리나라 학생의 협력적 문제해결력은 최상위 수준: OECD, PISA 2015 협력적 문제해결력 평가 결과 발표"
4 이강주, "디지털전환 시대 미래 학교교육 시나리오 탐색" 교육연구원 37 (37): 1-25, 2021
5 배보은, "대학글쓰기 수업 방안 연구 - 과정 중심 글쓰기 협력학습을 바탕으로 -" 돈암어문학회 37 : 203-236, 2020
6 이효숙,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의 협동학습 실습 지도안 연구" 한국 리터러시 학회 10 (10): 427-462, 2019
7 정희모, "글쓰기 교육과 협력학습" 삼인 2006
8 김지선, "공유와 협업의 글쓰기 플랫폼, 위키" 한국학연구소 (60) : 371-419, 2021
9 Nystrand, M., "Where did composition studies come from?" 10 (10): 267-333, 1993
10 Bruffee, K. A., "Social Construction, Language, and the Authority of Knowledge: A Bibliographical Essay" 48 (48): 773-790, 1986
11 Vygotsky, L. S., "Mind in society" Harvard University Press 1978
12 Prensky, M., "Digital Natives, Digital Immigrants" 9 (9): 1-6, 2001
13 Weschsler, D., "Concept of collective intelligence" 26 (26): 904-907, 1971
14 박휴용, "COVID-19로 촉발된 ‘비대면 교육’의 교육적 의미와 미래적 전망" 교육비평 (46) : 30-64,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