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리학의 이단 비판론에 나타난 죽음의 문제 ─ 정도전(鄭道傳)과 전우(田愚)의 이단(異端) 비판론을 중심으로 ─ = Neo-Confucianists’ thanatology with analysis of their critical paper against the heres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544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조선 성리학자의 죽음관을 접근하기 위해 죽음에 대한 형이상학적 해명들이 전제되어 있었던 종교와 성리학자의 논쟁을 검토하였다. 유학자들의 죽음에 대한 학계의 연구는 대개...

      본 논문은 조선 성리학자의 죽음관을 접근하기 위해 죽음에 대한 형이상학적 해명들이 전제되어 있었던 종교와 성리학자의 논쟁을 검토하였다.
      유학자들의 죽음에 대한 학계의 연구는 대개 ‘原始反終’의 태도를 가진 성리학자들의 경향으로 인해 그 연구 범위가 한정되거나 ‘생사관’이라는 주제로 진행되었다. 특히 죽음에 대한 이해를 제사나 귀신과 같은 현실에서의 삶 혹은 생의 문제로 환원하여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생사관 연구를 통해 유교의 죽음관을 재구성하는 방법론은 유학자들의 죽음에 대한 이해와 연구자의 연구 결과로서 재구성된 죽음관 사이에 간극이 있을 수 있다. 죽음학(Thanatology)으로 정립된 서양 혹은 현대적 문제의식으로 유학자들의 죽음관을 유추한다는 것은 방법론적으로 난제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난제를 극복하기 위한 연구방법론으로서 종교 이론과 충돌했던 조선 성리학자들의 논리적 대응 지점에서 죽음의 문제의식을 살펴볼 필요가 있었다. 조선 성리학자들과 충돌했던 종교로는 불교와 천주교가 있는데, 이들 종교가 죽음의 문제들을 직접적으로 다루고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따라서 죽음의 문제에 대한 이들 종교 이론에 대해 성리학자들이 어떻게 대응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성리학자의 죽음관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ny of article on Neo-Confucianists’ thanatology placed the reconstruction of their philosophy at its analytic center. These methods proved to be particularly applicable to relatively subject of study with awareness of thanatos. I doubt if they had...

      Many of article on Neo-Confucianists’ thanatology placed the reconstruction of their philosophy at its analytic center. These methods proved to be particularly applicable to relatively subject of study with awareness of thanatos. I doubt if they had the awareness of thanatos. My approach in this article is based on an interpretative analysis on their works that may be included the awareness of thanatos.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provide the thanatology of Neo-Confucianists in Joseon dynasty. In exploring the Neo-Confucianists’ thanatology, it is limited to consideration of their critical paper against Buddhism and Protestantism in Joseon dynasty.
      I first considered Jeong Do-Jeon’s Bulsijabbyoun[佛氏雜辨], that is the critical paper on Buddhism in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n Jeon Woo’s critical paper against Protestantism of Late Joseon Period, critical paper on Civilization, Chinese and Christian[自西徂東辨] which Ernst Faber(1839~1899) wrote. Neo-Confucianists thought on thanatos have been incorporated in their critical papers. Especially, Jeon Woo’s critical paper on Civilization, Chinese and Christian has not been examined to date.
      This article, therefore, may be intended to broaden our horizons of understanding their thanatolog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