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 유니버설디자인 정책현황 연구 = A Study on the Policy Status of Universal Design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583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population of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grows rapidly in Korea, universal design is being studied and policies are being introduced into various sectors of society. Policies are made by means of execution of policies...

      (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population of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grows rapidly in Korea, universal design is being studied and policies are being introduced into various sectors of society. Policies are made by means of execution of policies. Thus, we study the present status of universal design policies in Korea because of the legislation and policy projects, which are the main means of the implementation of polic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Chapter is to recognize the need for an investigation into the necessity of an integrated universal design policy at the national and regional levels, to recognize the need for investigations of relevant laws, ordinances, guidelines, etc., and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the social scope and cultural spread of universal design. (Method)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Universal Design Act, ordinances and guidelines enacted or developed by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the main means of implementing universal design policies in Korea, and analyze their contents. In addition, the current situation of local governments' ordinances and guidelines, which contain the contents of universal design, is studied in order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policy projects. In conclusion, the collection and contents of relevant laws and guidelines are review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of universal design policies in Korea to present the direction of universal design policies in Korea. (Results) According to the relevant legal status,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have developed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around the improvement of safety and convenience of facilities for the welfare of the disabled. However, the upper law on universal design has yet to be enacted, and Universal Design takes up only a fraction of the city and public design plans of local governments. The Local Autonomy Ordinance can be seen as a common purpose, allowing Universal Design to live conveniently and safely in a universal, nondiscriminatory environment for all who use the city. The guidelines show the purpose of applying them to the improvement of safety and convenience of individual facilities. (Conclusions)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which has been expanded to embrace human diversity in addition to the disabled, the elderly and children,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accordingly. It should extend into the realm of software social systems, communication and services rather than the previously focused view of the hardware environment, product. In the physical realm, a universal design policy that is integrated with the state rather than a separate policy by local governments is needed to establish a system where each interface of the urban environment, such as architecture, roads and parks, can be integra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배융호, "한국과 일본의 장애인 접근권 정책 비교 연구 : 편의시설과 이동권을 중심으로" 성공회대대학원 2017

      2 김신혜, "플레이스 브랜딩(Place Branding)을 위한 웨이파인딩 (Wayfinding) 적용 연구"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34) : 55-64, 2012

      3 최승철, "저출산·고령화를 대비한 지방자치단체의 유니버설디자인 정책 방향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3 (13): 511-522, 2012

      4 강성철, "장애인을 고려한 관광휴양시설의 건축계획요소 평가모형 개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7

      5 송영화, "장애인 문화예술 활동 제고를 위한 문화예술정책 방안 연구" 경희대학교대학원 2017

      6 이호숭, "일본 자치체(自治?)의 유니버설디자인 정책 사례연구" 한국디자인학회 19 (19): 27-38, 2006

      7 고영준, "일본 기업체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사례연구-유니버설디자인 평가기준 및 사용자중심 디자인방법을 중심으로-" 한국상품학회 25 (25): 1-10, 2007

      8 박용기,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의 서울숲 평가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5

      9 이희진, "색각이상자를 고려한 서울시 공공시설물 배색 디자인 : 서울색의 기능적 적용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10 권빛나, "문화예술시설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현황 연구-국립아시아문화전당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대학원 2017

      1 배융호, "한국과 일본의 장애인 접근권 정책 비교 연구 : 편의시설과 이동권을 중심으로" 성공회대대학원 2017

      2 김신혜, "플레이스 브랜딩(Place Branding)을 위한 웨이파인딩 (Wayfinding) 적용 연구"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34) : 55-64, 2012

      3 최승철, "저출산·고령화를 대비한 지방자치단체의 유니버설디자인 정책 방향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3 (13): 511-522, 2012

      4 강성철, "장애인을 고려한 관광휴양시설의 건축계획요소 평가모형 개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7

      5 송영화, "장애인 문화예술 활동 제고를 위한 문화예술정책 방안 연구" 경희대학교대학원 2017

      6 이호숭, "일본 자치체(自治?)의 유니버설디자인 정책 사례연구" 한국디자인학회 19 (19): 27-38, 2006

      7 고영준, "일본 기업체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사례연구-유니버설디자인 평가기준 및 사용자중심 디자인방법을 중심으로-" 한국상품학회 25 (25): 1-10, 2007

      8 박용기,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의 서울숲 평가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5

      9 이희진, "색각이상자를 고려한 서울시 공공시설물 배색 디자인 : 서울색의 기능적 적용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10 권빛나, "문화예술시설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현황 연구-국립아시아문화전당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대학원 2017

      11 황동호, "국내 유휴공간의 문화적 재생을 위한 공간디자인정책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2018

      12 하승아, "공공문화시설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 예술의전당과 국립중앙박물관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4

      13 심인숙, "공공문화시설 대상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기준에 관한 계층적 분석 연구 : 고령자와 장애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14 Lee, Munghie, "경기도 광역 및 기초 자치단체의 유니버설디자인 조례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17

      15 Ko, Youngjun, "User-centered universal design methods and practices" Idambooks 2011

      16 Kim Namjin, "Universal Design Survey Report on Good Place-Building Demonstration Project" Network of Accessrights Environments for All 2017

      17 Lee, Il Kyu, "Design Policy : National Development Strategies for the 21st Century" World Institute of Design and Management 2009

      18 Roh, Whajoon, "An Introduction to Policy Sciences" ParkYoungSa 2012

      19 Kim, Juyoung, "A Study on the Present Situation of Universal Design for the 2017 Good Place-Building Pilot Project" Korea Craft & Design Foundation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6-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 Intitute of the spatial design -> Journal of Korea Intitute of Spatial Design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2 0.692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