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인보성체수도회의 설립자인 윤을수 신부의 정신과 사상을 바탕으로, 현재 장애인복지 사도직인 요한의집이 시대적 변화에 대한 인식과 대응 방식을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212810
청원 : 가톨릭꽃동네대학교 사회복지카리타스대학원, 2025
학위논문(석사) -- 가톨릭꽃동네대학교 사회복지카리타스대학원 , 카리타스학전공 , 2025. 2
2025
한국어
충청북도
87 ; 26 cm
지도교수: 김미숙
I804:43019-20000087868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인보성체수도회의 설립자인 윤을수 신부의 정신과 사상을 바탕으로, 현재 장애인복지 사도직인 요한의집이 시대적 변화에 대한 인식과 대응 방식을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
본 연구는 인보성체수도회의 설립자인 윤을수 신부의 정신과 사상을 바탕으로, 현재 장애인복지 사도직인 요한의집이 시대적 변화에 대한 인식과 대응 방식을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요한의집 종사자들이 설립자의 정신과 사상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시대의 징표를 어떻게 이해하는지, 요한의집의 실천적 고유성이 무엇인지, 그리고 수도회가 현대 시대의 요구에 응답하기 위해 나아가야 할 실천적 방향을 무엇으로 인식하고 있는지 탐구했다.
본 연구는 2024년 7월부터 8월까지 요한의집 종사자 20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인보성체수도회의 설립자 윤을수 신부의 정신을 ‘이웃사랑을 위해서 내적으로는 마음 바르게 외적으로는 부지런히 섬김의 자세로 살아가는 사랑과 존중의 그리스도 공동체’로 인식하였다.
둘째, 현대 사회의 시대적 징표로는 ‘디지털 시대의 사회적 갈등 심화’, ‘생태환경과 사회적 책임’, ‘사회적 불평등과 개인주의’, ‘장애인 인권과 사회적 인식개선’, 그리고 ‘실천적 사랑이 필요한 시기’ 등이 도출되었다.
셋째, 요한의집과 일반 장애인복지시설 간의 실천적 공통점은 ‘일반적인 장애인복지시설 조직으로, 장애인 돌봄을 통한 사회 공동체 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요한의집의 실천적 고유성은 ‘최중증 장애인에게 인보정신에 따라 사랑과 존중으로 개별화 지원을 통해 사회적 돌봄을 수행’한다는 점이었다.
넷째, 시대의 요구에 응답하기 위해 변화해야 할 실천 방향은 ‘시대의 요구에 유연하게 응답하며 본질적인 삶의 가치를 알려주는 인보성체수도회 정신을 실천으로 구현함’과 ‘사회적 돌봄 책임과 조직운영의 전문화’가 제안되었다.
연구결과를 종합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요한의집은 인보성체수도회의 설립자 정신에 따라 인간존중과 이웃사랑을 실천하며, 사회적 불평등과 사회적 갈등이 심화된 현대 사회에서 실천적 사랑이 필요한 시기임을 인식하고 있다. 이에, 요한의집은 최중증 장애인에게 개별화된 돌봄을 제공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사회적 돌봄을 수행하며 사랑과 존중의 가치를 구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수도회는 앞으로도 시대적 요구에 유연하게 응답하며, 인보 정신이 지향하는 본질적 삶의 가치를 실천하고, 사회적 돌봄 책임을 충실히 수행해야 한다.
본 연구는 분석결과를 통해 도출된 ‘인보 정신’, ‘시대의 징표’, ‘요한의집에 요구되는 사회적 돌봄 책임과 연대’를 중심으로 카리타스학 관점에서 함의를 논의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근속기간이나 종교적 배경에 관계없이 설립자의 정신을 잘 이해하고 있으며, 현대 사회의 문제와 향후 실천 방향에 대해 유사한 인식을 보였다. 첫 번째 실천적 제언은 근속기간과 관계없이, 모든 직원이 인보 정신을 깊이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법인교육과 직원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 실천적 제언은 인보 정신과 시대적 요구를 함께 논의하는 참여자 중심의 교육을 통해, 종교적 배경에 관계없이 현장에서 인보 정신을 실제로 구현할 수 있는 방안을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