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뇌파기반으로 설계한 향의 성별간 뇌파반응특성 = Electroencephalogram(EEG) responses between genders of fragrances designed based on EE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3026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숭실대학교 중소기업대학원, 201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숭실대학교 중소기업대학원 , 뷰티산업학과 , 2018.02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x, 71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숭실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류희욱
        참고문헌: p. 68-71

      • UCI식별코드

        I804:11044-200000003468

      • 소장기관
        • 숭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향에 대한 사람의 반응을 뇌파로 해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특정 목적을 가진 향을 조제가능성을 연구하였다. 다양한 향에 대한 뇌파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뇌를 활성화, 각성, 진정시키는 목적의 3가지 향을 조제하고, 성별간 향에 대한 정량뇌파와 감성 반응을 평가하였다. 뇌활성화 향은 실험집단의 θ파와 α파를 비활성화시키고 β파, γ파, SMR, SEF 50 및 SEF 90를 활성화시켰다. 각성 향은 여성에게는 θ파, β파, γ파, SEF 50 및 SEF 90의 비활성화와 α파와 SMR를 활성화하여 이완작용을 하였고, 남성은 θ파와 α파의 비활성화하고 β파, γ파, SMR, SEF 50 및 SEF 90를 활성화시키는 작용을 하였다. 이완 향은 여성에게는 θ파, β파, γ파, SEF 50 및 SEF 90 비활성화, α파와 SMR는 활성화하여 이완작용을 하였다. 남성에게는 θ파와 α파를 비활성화, β파, γ파, SMR, SEF 50 및 SEF 90를 활성화시키는 작용을 하였다.
      위의 결과에서 여성의 경우 뇌파지표에 따른 목적성을 가진 향료들의 조합이 조향설계와 일치되는 뇌 활성화 결과를 나타냄으로써 뇌파지표 결과에 따른 조합향료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성별 간 뇌파지표 활성화 정도에 차이가 나타남으로써 뇌파기반 조향을 위해서는 향 적용 대상에 대한 뇌파연구에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향에 대한 사람의 반응을 뇌파로 해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특정 목적을 가진 향을 조제가능성을 연구하였다. 다양한 향에 대한 뇌파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뇌를 활성화, 각성, 진정...

      본 연구는 향에 대한 사람의 반응을 뇌파로 해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특정 목적을 가진 향을 조제가능성을 연구하였다. 다양한 향에 대한 뇌파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뇌를 활성화, 각성, 진정시키는 목적의 3가지 향을 조제하고, 성별간 향에 대한 정량뇌파와 감성 반응을 평가하였다. 뇌활성화 향은 실험집단의 θ파와 α파를 비활성화시키고 β파, γ파, SMR, SEF 50 및 SEF 90를 활성화시켰다. 각성 향은 여성에게는 θ파, β파, γ파, SEF 50 및 SEF 90의 비활성화와 α파와 SMR를 활성화하여 이완작용을 하였고, 남성은 θ파와 α파의 비활성화하고 β파, γ파, SMR, SEF 50 및 SEF 90를 활성화시키는 작용을 하였다. 이완 향은 여성에게는 θ파, β파, γ파, SEF 50 및 SEF 90 비활성화, α파와 SMR는 활성화하여 이완작용을 하였다. 남성에게는 θ파와 α파를 비활성화, β파, γ파, SMR, SEF 50 및 SEF 90를 활성화시키는 작용을 하였다.
      위의 결과에서 여성의 경우 뇌파지표에 따른 목적성을 가진 향료들의 조합이 조향설계와 일치되는 뇌 활성화 결과를 나타냄으로써 뇌파지표 결과에 따른 조합향료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성별 간 뇌파지표 활성화 정도에 차이가 나타남으로써 뇌파기반 조향을 위해서는 향 적용 대상에 대한 뇌파연구에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EEG according to the human response on different kinds of fragrances, and to research on prescription possibility of a certain fragrance with a specific purpose based on the analysis data. Taking the EEG research result on various fragrances as a basis, 3 distinctive kinds of fragrances are prescribed with each purpose of activating, stimulating and tranquilizing the brain. Afterwards, quantitative EEG and sensitivity response have been evaluated on fragrances per each gender.
      Brain-activating fragrance deactivated θ wave and α wave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activated β wave, γ wave, SMR, SEF 50 and SEF 90. Brain-stimulating fragrance resulted in relaxing reaction for females, by deactivating θ wave, β wave, γ wave, SEF 50 and SEF 90, while activating α wave and SMR. For males, it deactivated θ wave and α wave, and activated β wave, γ wave, SMR, SEF 50 and SEF 90. Brain-tranquilizing fragrance resulted in relaxing reaction for females, by deactivating θ wave, β wave, γ wave, SEF 50 and SEF 90, while activating α wave and SMR. For males, it deactivated θ wave and α wave, and activated β wave, γ wave, SMR, SEF 50 and SEF 90.
      Upon the analysis drawn above, cases of females have shown that the spice combination, with the purposes based on EEG indices, led to the brain activation results which correspond to fragrance prescription designing. Since there has been differences in EEG index activation degrees per gender, the necessity for EEG research on fragrance-applied subjects has been addressed, for the adequate EEG-based fragrance prescription.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analyze EEG according to the human response on different kinds of fragrances, and to research on prescription possibility of a certain fragrance with a specific purpose based on the analysis data. Taking the EEG research result on v...

      This study aims to analyze EEG according to the human response on different kinds of fragrances, and to research on prescription possibility of a certain fragrance with a specific purpose based on the analysis data. Taking the EEG research result on various fragrances as a basis, 3 distinctive kinds of fragrances are prescribed with each purpose of activating, stimulating and tranquilizing the brain. Afterwards, quantitative EEG and sensitivity response have been evaluated on fragrances per each gender.
      Brain-activating fragrance deactivated θ wave and α wave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activated β wave, γ wave, SMR, SEF 50 and SEF 90. Brain-stimulating fragrance resulted in relaxing reaction for females, by deactivating θ wave, β wave, γ wave, SEF 50 and SEF 90, while activating α wave and SMR. For males, it deactivated θ wave and α wave, and activated β wave, γ wave, SMR, SEF 50 and SEF 90. Brain-tranquilizing fragrance resulted in relaxing reaction for females, by deactivating θ wave, β wave, γ wave, SEF 50 and SEF 90, while activating α wave and SMR. For males, it deactivated θ wave and α wave, and activated β wave, γ wave, SMR, SEF 50 and SEF 90.
      Upon the analysis drawn above, cases of females have shown that the spice combination, with the purposes based on EEG indices, led to the brain activation results which correspond to fragrance prescription designing. Since there has been differences in EEG index activation degrees per gender, the necessity for EEG research on fragrance-applied subjects has been addressed, for the adequate EEG-based fragrance prescrip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ⅵ
      • 영문초록 ⅷ
      • 제 1 장 서론 1
      • 국문초록 ⅵ
      • 영문초록 ⅷ
      • 제 1 장 서론 1
      • 제 2 장 이론적 배경 3
      • 2.1 향료 3
      • 2.1.1 천연 향료 3
      • 2.1.2 합성 향료 4
      • 2.1.3 조합 향료 5
      • 2.2 향수 5
      • 2.2.1 향수 정의 5
      • 2.2.2. 노트와 어코드(note and accord) 6
      • 2.2.3. 부향률 7
      • 2.2.4 조향 9
      • 제 3 장 연구방법 10
      • 3.1 실험재료 10
      • 3.1.1 피험자 선정 10
      • 3.1.2 조합향료 10
      • 3.2 실험 및 분석방법 12
      • 3.2.1 뇌파 측정방법 12
      • 3.2.2 뇌파자료 분석방법 14
      • 제 4 장 결과 및 고찰 17
      • 4.1 바탕뇌파 17
      • 4.2 전체와 부위별 뇌파지표 비교 18
      • 4.3 뇌파지표 변화 37
      • 4.3.1 활성향료 37
      • 4.3.1.1 주요 상대뇌파에 미치는 영향 37
      • 4.3.1.2 세부 상대뇌파에 미치는 영향 40
      • 4.3.1.3 SEF 50과 SEF 90에 미치는 영향 44
      • 4.3.2 각성향료 46
      • 4.3.2.1 주요 상대뇌파에 미치는 영향 46
      • 4.3.2.2 세부 상대뇌파에 미치는 영향 49
      • 4.3.2.3 SEF 50과 SEF 90에 미치는 영향 53
      • 4.3.3 이완향료 55
      • 4.3.3.1 주요 상대뇌파에 미치는 영향 55
      • 4.3.3.2 세부 상대뇌파에 미치는 영향 58
      • 4.3.3.3 SEF 50과 SEF 90에 미치는 영향 62
      • 4.3.4 고찰 64
      • 제 5 장 결론 66
      • 참고문헌 6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