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 성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위치한 5개의 대학교에서 대학생 431...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712156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학위논문(석사)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 아동복지학과 아동심리치료전공 , 2018.2
2018
한국어
362.7 판사항(22)
서울
The mediating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and depressive symptoms
vii, 61 p. ; 26 cm
지도교수: 진미경
권말부록: 설문지
참고문헌: p. 39-4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 성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위치한 5개의 대학교에서 대학생 431...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 성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위치한 5개의 대학교에서 대학생 43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 척도(PBI), 내현적 자기애 척도(CNS), 우울증상 척도(CES-D) 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관계 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검증절차를 사용하였다. 또한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1982)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의 하위요인(돌봄, 과보호)이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성별을 통제하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학생이 부모의 돌봄적 양육태도를 낮게 지각할수록 우울증상이 높게 나타난 반면, 우울증상에 미치는 과보호적 양육태도의 영향력이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의 하위요인(돌봄, 과보호)이 내현적 자기애 성향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성별을 통제하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돌봄적 양육태도가 낮을수록, 과보호적 양육태도가 높을수록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성별을 통제하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높을수록 우울증상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성별을 통제하고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의 하위요인(돌 봄, 과보호)과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 성향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돌봄적 양육태도와 과보호적 양육태도 모두 우울증상과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 성향은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우울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양육태도와 내현적 자기애 성향의 영향을 통합적으로 탐색하고,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우울증상의 관계를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매개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and Depressive Symptom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431 university students(224 men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and Depressive Symptom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431 university students(224 men and 207 women) in Seoul, Gyeonggi Province. For the measuring tool, Parent Bonding Instrument scale, Covert Narcissism Scal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was used as a measure of self-report questionnaires. To examine mediating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and Depressive Symptoms, Baron and Kenny’ s(1986) model was used. Lastly, Sobel test was used to verify the statistical validity of mediation effec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as the level of Parental low care was increased, the total score of Depressive Symptoms was increased. Also, as the level of Parental Protection was increased, the total score of Depressive Symptoms was increased. Second, as the level of Parental low care was increased, the total score of Covert Narcissism was increased. Also, as the level of Parental Protection was increased, the total score of Covert Narcissism was increased. Third, as the total score of Covert Narcissism was increased, the total score of Depressive Symptoms was increased. Fourth, verification of the mediation effect based on the steps developed by Baron and Kenny’ s(1986) model and Sobel test. They showed that covert narcissism mediated completely the link between parental low care and depressive symptoms. Second, covert narcissism mediated completely the link between parental protection and depressive symptom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