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젠더 음악학의 역사와 전망 : 수전 맥클러리의 『여성적 종지』를 중심으로 = The history and perspective of gender and musicology : based on Susan McClary's feminine ending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385249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한양대학교 대학원 , 음악학과 , 2017. 2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i, 87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정경영
        권두 국문요지, 권말 Abstract 수록
        참고문헌: p. 84-86

      • 소장기관
        •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젠더 음악학은 음악과 음악작품, 제도, 역사 등에 내재되어있는 젠더에 관련한 일상화된 담론이나 보편적, 혹은 근본적으로 여겨지는 것들이 특정 이데올로기에 따라 그렇게 인식되도록 수행되어온 구성물이라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한다. 이는 페미니즘 음악비평에서 출발하였으며 여성의 문제에서 확장되어 가부장제도에서 소외되는 타자들에 이르기까지 음악 내에서의 폭넓은 젠더의 문제를 다룬다. 이러한 연구 방식에 현재까지 가장 유의미한 성과로 남아있는 논의는 수전 맥클러리의 저서『여성적 종지』(Feminine Endings)라고 할 수 있다. 맥클러리는 저서『여성적 종지』를 통해 음악언어, 제도, 작품 등에서 나타나는 젠더와 섹스, 섹슈얼리티의 문제를 포괄적으로 다루었으며 새로운 음악학적 해석을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음악과 음악역사에 반영된 젠더 이데올로기가 제도적으로 젠더화 되어온 수행성의 특성 때문이었음을 전제로 하며, 최근 일반 젠더 연구의 입장 중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의 수행성, 패러디, 반복복종, 우울증 등의 개념을 기초로 음악에서의 언어 수행성과 전통적 음악서사에 각인된 젠더 이데올로기, 그리고 음악이 여성성을 통제하는 방식으로 나누어 맥클러리가『여성적 종지』에서 제시한 담론을 재구성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지금까지의 젠더 음악학 연구의 지평을 살피고, 그것을 바탕으로 맥클러리의 페미니즘 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번역하기

      젠더 음악학은 음악과 음악작품, 제도, 역사 등에 내재되어있는 젠더에 관련한 일상화된 담론이나 보편적, 혹은 근본적으로 여겨지는 것들이 특정 이데올로기에 따라 그렇게 인식되도록 수...

      젠더 음악학은 음악과 음악작품, 제도, 역사 등에 내재되어있는 젠더에 관련한 일상화된 담론이나 보편적, 혹은 근본적으로 여겨지는 것들이 특정 이데올로기에 따라 그렇게 인식되도록 수행되어온 구성물이라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한다. 이는 페미니즘 음악비평에서 출발하였으며 여성의 문제에서 확장되어 가부장제도에서 소외되는 타자들에 이르기까지 음악 내에서의 폭넓은 젠더의 문제를 다룬다. 이러한 연구 방식에 현재까지 가장 유의미한 성과로 남아있는 논의는 수전 맥클러리의 저서『여성적 종지』(Feminine Endings)라고 할 수 있다. 맥클러리는 저서『여성적 종지』를 통해 음악언어, 제도, 작품 등에서 나타나는 젠더와 섹스, 섹슈얼리티의 문제를 포괄적으로 다루었으며 새로운 음악학적 해석을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음악과 음악역사에 반영된 젠더 이데올로기가 제도적으로 젠더화 되어온 수행성의 특성 때문이었음을 전제로 하며, 최근 일반 젠더 연구의 입장 중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의 수행성, 패러디, 반복복종, 우울증 등의 개념을 기초로 음악에서의 언어 수행성과 전통적 음악서사에 각인된 젠더 이데올로기, 그리고 음악이 여성성을 통제하는 방식으로 나누어 맥클러리가『여성적 종지』에서 제시한 담론을 재구성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지금까지의 젠더 음악학 연구의 지평을 살피고, 그것을 바탕으로 맥클러리의 페미니즘 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지 ii
      • I. 서론 1
      • II. 본론 5
      • 1. 페미니즘과 젠더 연구의 역사 5
      • 2. 음악학에서의 페미니즘과 젠더 논의 13
      • 국문요지 ii
      • I. 서론 1
      • II. 본론 5
      • 1. 페미니즘과 젠더 연구의 역사 5
      • 2. 음악학에서의 페미니즘과 젠더 논의 13
      • ⑴ 음악사 전통에서 여성의 목소리 찾기 16
      • ⑵ 페미니즘 음악 비평: 재구성과 확장 20
      • ① 페미니즘 음악학의 재구성: 젠더 연구(Gender Studies) 20
      • ② 페미니즘 음악학의 확장: 퀴어 이론(Queer Theory) 25
      • 3. 수전 맥클러리의 『여성적 종지』(Feminine Ending) 29
      • ⑴ 음악과 ‘말 하는 주체’: 언어로서의 음악 36
      • ① 권위 있는 ‘말 하는 주체’: 《오르페오》(L'Orfeo) 39
      • ② 공유되지 않는 이국적 언어: 《카르멘》(Carmen) 46
      • ③ 규범적 언어(logos)와 전복적 목소리(phone): 《살로메》(Salome) 49
      • ⑵ 음악적 서사의 젠더 이데올로기 56
      • ⑶ 음악적 천재성: ‘여성적’ 상상력과 ‘남성적’ 이성 72
      • III. 결론 80
      • IV. 참고문헌 84
      • Abstract 8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