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바로크 시대 남성복의 미적 특성에 관한 연구 - 17세기 후반을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406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 of mens costume in the Baroque period. Costume has expressed the ideal beauty of each period, in centuries, by wearing and decorating. Costume represents the dominant aesthetic v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 of mens costume in the Baroque period. Costume has expressed the ideal beauty of each period, in centuries, by wearing and decorating. Costume represents the dominant aesthetic value in an ag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 of mens costume in the age of Baroque was analyzed in three categories: the sublime beauty, artistic beauty, and romantic beauty. For the sublime beauty, the men in the age of Baroque enlarged their body by wearing a big wig and lace cravat in order to express their authority and dignity. For the artistic beauty, men’s costume had a colorful decoration with lavish loops on rhingrave. It also included justaucorps with fancy embroidery on cuffs and decorative lines of button hole. For the romantic beauty, tops shorten to bolero size, voluminous vest through rhingrave, and enormous decoration with loops, ribbon and the hat with feathers are romantic characteristics of men’s costume in the Baroque era. In conclusion, this research suggests how loop decoration, lace cravat, fancy embroidery and short horizontal decorative lines of buttonhole can be applied to modern men’s wea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요한, "예술철학" 미술문화 2003

      2 김민자, "예술로서의 의상디자인-인상주의와 의상-" 27 (27): 1-19, 1989

      3 홍미정, "영국 초상화에 표현된 바로크·로코코 복식과 네오 바로크·로코코 패션의 미적특성 비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4 차하순, "서양사총론" 탐구당 1986

      5 신상옥, "서양복식사" 수학사 2016

      6 정흥숙, "서양복식문화사" 교문사 2014

      7 윤장섭, "서양건축사" 문운당 1970

      8 장성은, "뵐플린의 양식사적 관점에서 르네상스와 바로크 복식의 양식비교" 한국복식학회 57 (57): 15-29, 2007

      9 鄭玄淑, "복식판화의 변천과 서구패션 발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85

      10 최수현, "복식의 미적 범주-르네상스, 바로크 복식에 적용하여" 23 : 197-209, 1994

      1 조요한, "예술철학" 미술문화 2003

      2 김민자, "예술로서의 의상디자인-인상주의와 의상-" 27 (27): 1-19, 1989

      3 홍미정, "영국 초상화에 표현된 바로크·로코코 복식과 네오 바로크·로코코 패션의 미적특성 비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4 차하순, "서양사총론" 탐구당 1986

      5 신상옥, "서양복식사" 수학사 2016

      6 정흥숙, "서양복식문화사" 교문사 2014

      7 윤장섭, "서양건축사" 문운당 1970

      8 장성은, "뵐플린의 양식사적 관점에서 르네상스와 바로크 복식의 양식비교" 한국복식학회 57 (57): 15-29, 2007

      9 鄭玄淑, "복식판화의 변천과 서구패션 발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85

      10 최수현, "복식의 미적 범주-르네상스, 바로크 복식에 적용하여" 23 : 197-209, 1994

      11 신주영, "복식에 표현된 시대적 이상미" 한국복식학회 58 (58): 131-148, 2008

      12 김민자, "복식미학 강의1" 교문사 2004

      13 김민자, "복식미학 : 패션을 보는 시각과 패션에 대한 생각" 교문사 2013

      14 이효진, "바로크(Baroque) 양식 시대 서양 남성복에 나타난 남성의 몸 이미지" 복식문화학회 19 (19): 723-739, 2011

      15 장유경, "바로크 시대 복식의 미적 특징을 응용한 아동복 디자인에 관한 연구 : 3세∼5세의 여아 토들러복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14

      16 신정아, "바로크" 살림지식총서 2004

      17 양해림, "미와 아트, 대중문화와 소통하다" 집문당 2014

      18 정현숙, "르네상스 시대 남성복에 나타난 미적 특성 분석" 한국생활과학회 24 (24): 531-539, 2015

      19 김은하, "고전주의 복식의 미적 특성과 미의식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5

      20 정현숙, "고딕 시대 남성복에 나타난 미적 특성 분석" 한국생활과학회 27 (27): 291-303, 2018

      21 Wikipedia, "The portrait of Duke of Medinaceli"

      22 Le mus de Tess, "The painting of Louis XIV and Philippe IV"

      23 Wölfflin H., "Principles of Art History" Sigongsa 1945

      24 Payne, B., "History of Costume" Harper & Row-Publishers 1965

      25 Umberto, E., "History of Beauty" Yeolinchaekdeul 2004

      26 Cosgrave, B., "Costume & fashion" Hamlyn 2000

      27 Laver, J., "Costume & Fashion" Thames and Hudson 1985

      28 Boucher, F., "20,000 years of fashion" Harry N. Abrams, Inc 1987

      29 김영자, "17세기 건축공예에 나타난 바로크양식과복식에 표현된 조형성에 관한 고찰" 20 (20): 37-45, 198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8-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KCI등재
      2008-08-2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1.01 1.155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