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현풍지역 삼국시대 석곽묘 연구 = A Study on the Stone-lined Tomb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Hyeonpung Reg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545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현풍 지역 석곽묘의 구조 분석을 통한 전개 과정을 추적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현풍 지역에서 조사가 이루어진 삼국시대 고분군 중 5개소에서 ‘잔존 양상’을 주요 기...

      본 연구의 목적은 현풍 지역 석곽묘의 구조 분석을 통한 전개 과정을 추적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현풍 지역에서 조사가 이루어진 삼국시대 고분군 중 5개소에서 ‘잔존 양상’을 주요 기준으로 하여 수혈식 석곽묘 192개, 횡구식 석곽묘 28개 총 220개의 석곽묘를 선별하였다.
      석곽묘의 구조 분석은 가장 먼저 ‘수혈식’과 ‘횡구식’으로 구분한 후, 석곽묘의 ‘규모’, ‘평면 형태’, ‘벽석의 축조 방식’, ‘바닥 시설의 유형’, ‘유물 부장 유형’을 기준으로 각 속성의 점유율 변화를 분석하여 시간성을 가지는 속성과 변화의 방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석곽묘의 유형은 수혈식 석곽묘 8개, 횡구식 석곽묘 5개 총 13개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석곽묘의 전개 과정은 ‘구조 변화’를 기준으로 ‘성립기’, ‘발전기’, ‘완성기’, ‘곽·실 전환기(쇠퇴기)’ 총 4단계를 설정할 수 있었다.
      현재 현풍 지역의 수혈식 석곽묘는 5세기 2/4분기 무렵에는 출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횡구식 석곽묘는 6세기 1/4분기 무렵 출현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횡구식 석곽묘는 수혈식 석곽묘의 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등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낙동강 중류 동안 지역의 석곽묘에서 ‘횡구부’의 출현 배경은 ‘효율성’의 시각에서 ‘성하리 1호분’의 축조 과정을 복원한 결과, 석곽묘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축조 과정이 어려워짐에 의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현풍 지역 횡구식 석곽묘의 출현 배경은 등장 시기와 구조적인 특징을 고려했을 때 인접한 창녕 지역 횡구식 석곽묘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즉, 낙동강 중류 동안 지역(특히 창녕)에서 대형 석곽묘를 효율적으로 축조하기 위한 방안으로 만들어진 횡구식 석곽묘는 ‘인접 집단 상호작용’에 의해 현풍 지역 상위 계층의 대형 고분을 효율적으로 축조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입된다.
      이후 횡구식 석곽은 석곽을 축조하는 한 가지 방법으로 자리 잡으며 중형 석곽묘에까지 확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의 자료 증가에 따라 본 연구의 내용이 변동될 수 있음을 언급해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aims to trace the developments of stone-lined tombs in the Hyeonpung region via structural analysis. The study’s subjects were selected from five ancient tomb cluster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that have been investigated in the Hyeon...

      This thesis aims to trace the developments of stone-lined tombs in the Hyeonpung region via structural analysis.
      The study’s subjects were selected from five ancient tomb cluster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that have been investigated in the Hyeonpung region. Based on their ‘remaining conditions’, 220 stone-lined tombs have been selected, including 192 stone-lined tombs with a pit burial style and 28 stone-lined tombs with a horizontal entrance style.
      For structural analysis, stone-lined tombs were firstly divided into the ‘pit burial style’ and ‘horizontal entrance style’. Next, they were analyzed by their ‘size,’ ‘type of plane’, ‘building method for stone wall’, ‘type of floor facility’ and ‘burying type of grave goods’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ratio of each property so as to confirm the temporal properties as well as the directionality of change.
      As a result, 13 types of stone-lined tombs have been identified : eight stone-lined tombs with a pit burial style and five stone-lined tombs with a horizontal entrance style.
      Based on ‘the structural change’, the developments of stone-lined tombs were defined by four stage : ‘the initial stage’, ‘the development stage’, ‘the completion stage’ and ‘the decline stage’.
      Until now, it has been confirmed that stone-lined tombs with a pit burial style emerged in the Hyeonpung region around the second quarter of the fifth century. As for stone-lined tombs with a horizontal entrance style, it is estimated that they appeared in the first quarter of the sixth century.
      In particular, it was identified that stone-lined tombs with a horizontal entrance style were structurally based on stone-lined tombs with a pit burial style.
      The construction process of "Seongha-ri Tomb No.1" was restored from the perspective of "efficiency" so as to examine the background to which the "horizontal entrance style" had emerged in the region to the east of the midstream Nakdong-gang River.
      As a result, it could be estimated that the emergence of ‘horizontal entrance style’ might be caused by the difficulty of the construction process as stone-lined tombs became increasingly larger in size.
      Considering the time of appearance and structural features, it is highly likely that stone-lined tombs with a horizontal entrance style in the Hyeonpung region were affected by stone-lined tombs with a horizontal entrance style in the nearby Changnyeong region.
      In other words, the stone-lined tomb with a horizontal entrance style was devised as an efficient method for constructing a large-size stone-lined tomb in the eastern part by the midstream of Nakdong-gang River(especially Changnyeong). And it was introduced as a result of ‘the interactions of adjacent groups’ to efficiently construct a large-size ancient tomb for the upper class in the Hyeonpung region.
      Since then, it seems that the stone-lined tombs with a horizontal entrance style were established as one of the construction methods for stone-lined tombs, and it is spread to a mid-size stone-lined tomb.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might be changed according to any increase of data in the fu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1
      • 1. 연구의 현황과 연구 목적 1
      • 1) 연구 현황 1
      • 2) 선행연구의 성과와 한계 12
      • 3) 연구 목적 15
      • Ⅰ. 머리말 1
      • 1. 연구의 현황과 연구 목적 1
      • 1) 연구 현황 1
      • 2) 선행연구의 성과와 한계 12
      • 3) 연구 목적 15
      • 2. 공·시적 범위와 연구 방법 16
      • 1) 공·시적 범위 16
      • 2)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 18
      • Ⅱ. 고분의 분포 현황과 분석 대상 21
      • 1. 분포 현황 21
      • 2. 분석 대상 23
      • 1) 고봉리 고분군 23
      • 2) 내리 고분군 24
      • 3) 상리 고분군 25
      • 4) 쌍계리 고분군 26
      • 5) 성하리 고분군 26
      • 6) 응암리 고분군 27
      • 7) 창리 고분 1, 2 28
      • 8) 화산리 고분군 29
      • Ⅲ. 석곽묘의 유형과 축조 방법 검토 31
      • 1. 구조 분석 31
      • 1) 구조 31
      • 2) 규모 33
      • 3) 평면 형태 35
      • 4) 벽석의 축조 방식 40
      • 5) 바닥 시설의 유형 45
      • 6) 유물의 부장 유형 54
      • 2. 유형 설정 61
      • 1) 수혈식 석곽묘 62
      • 2) 횡구식 석곽묘 64
      • 3. 축조 방법 분석 70
      • 1) 현풍 지역 횡구식 석곽묘의 축조 과정 검토 70
      • 2) 주변 지역 횡구식 석곽묘의 축조 과정 검토 75
      • Ⅳ. 석곽묘의 전개 과정과 구조 변화 81
      • 1. 편년 83
      • 1) 토기의 편년안 검토 83
      • 2) 절대연대의 설정 90
      • 2. 전개 과정과 구조 변화 93
      • 3. 횡구식 구조의 출현과 확산 배경 105
      • Ⅴ. 맺음말 110
      • 참고문헌 133
      • 영문초록 141
      • 국문초록 14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