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산조가야금 초견을 위한 리듬형 활용 방안 = A Study on Rhythm Patterns for Sanjo Gayageum Sight Read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649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tracted the major rhythm patterns used in the jungmori, jungjungmori, and jajinmori from the four commonly performed gayageum schools, namely, the Kim Byeong-ho school, the Kim Jook-pa school, the Seong Geum-yeon school, and the Choi Ok-sam school, and thus offered a learning plan for sight reading with a foundation in traditional music.
      The study tried to extract and examine rhythm patterns on the basis of one beat. Furthermore, upon analyzing each sanjo, slur rhythm patterns were extracted by beat because rhythm patterns expressed with slurs are considered as an important element expressing the sigimsae of traditional music. The present study devised methods by type for practicing patterns and structures per jangdan as well as for practicing breathing through jangdan and ensembles. Although the study offers actual sheet music examples for applying these methods, the sheet music offered is simply an example, and the methods can be applied to several different études by substituting various notes. The goal of such activities is not to stop at the level of reading music but rather to perform by highlighting the characteristics of jangdan in pieces of music that use traditional jangdan.
      번역하기

      The present study extracted the major rhythm patterns used in the jungmori, jungjungmori, and jajinmori from the four commonly performed gayageum schools, namely, the Kim Byeong-ho school, the Kim Jook-pa school, the Seong Geum-yeon school, and the Ch...

      The present study extracted the major rhythm patterns used in the jungmori, jungjungmori, and jajinmori from the four commonly performed gayageum schools, namely, the Kim Byeong-ho school, the Kim Jook-pa school, the Seong Geum-yeon school, and the Choi Ok-sam school, and thus offered a learning plan for sight reading with a foundation in traditional music.
      The study tried to extract and examine rhythm patterns on the basis of one beat. Furthermore, upon analyzing each sanjo, slur rhythm patterns were extracted by beat because rhythm patterns expressed with slurs are considered as an important element expressing the sigimsae of traditional music. The present study devised methods by type for practicing patterns and structures per jangdan as well as for practicing breathing through jangdan and ensembles. Although the study offers actual sheet music examples for applying these methods, the sheet music offered is simply an example, and the methods can be applied to several different études by substituting various notes. The goal of such activities is not to stop at the level of reading music but rather to perform by highlighting the characteristics of jangdan in pieces of music that use traditional jangda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현재 많이 연주되고 있는 김병호류·김죽파류·성금연류·최옥삼류 네 개 가야금 유파 중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에서 쓰이는 주요 리듬형 패턴을 추출하여 산조가 야금 초견에 전통음악의 근간을 가진 리듬형 활용 방안을 제시 하였다. 각 산조의 리듬형은 소박의 결합을 기준으로 추출하여 분류하였으며, 유형분류에 있어 이음줄을 사용하는 리듬형 이 전통음악의 시김새를 표현하는 중요 요소로 여겨져 이 또한 소박의 결합 단위로 추출하였 다. 추출한리듬형은장단별패턴연습,혼합리듬형연습,구조연습,장단과합주를통한 한 호흡 연습으로 나누어 연습 방법을 고안하였다. 이는 초견에 필요한 요소 중 패턴인지와 유창성 발전에 초점을 맞춘 것이며 제시한 악보 외에도 다양한 음을 대입하여 여러 가지 연습 곡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하여 전통적인 장단을 활용한 악곡에서 단순히 악보 를 읽는 것에 그치지 않고 장단의 특징을 살려 연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현재 많이 연주되고 있는 김병호류·김죽파류·성금연류·최옥삼류 네 개 가야금 유파 중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에서 쓰이는 주요 리듬형 패턴을 추출하여 산조가 야금 �...

      본 연구에서는 현재 많이 연주되고 있는 김병호류·김죽파류·성금연류·최옥삼류 네 개 가야금 유파 중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에서 쓰이는 주요 리듬형 패턴을 추출하여 산조가 야금 초견에 전통음악의 근간을 가진 리듬형 활용 방안을 제시 하였다. 각 산조의 리듬형은 소박의 결합을 기준으로 추출하여 분류하였으며, 유형분류에 있어 이음줄을 사용하는 리듬형 이 전통음악의 시김새를 표현하는 중요 요소로 여겨져 이 또한 소박의 결합 단위로 추출하였 다. 추출한리듬형은장단별패턴연습,혼합리듬형연습,구조연습,장단과합주를통한 한 호흡 연습으로 나누어 연습 방법을 고안하였다. 이는 초견에 필요한 요소 중 패턴인지와 유창성 발전에 초점을 맞춘 것이며 제시한 악보 외에도 다양한 음을 대입하여 여러 가지 연습 곡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하여 전통적인 장단을 활용한 악곡에서 단순히 악보 를 읽는 것에 그치지 않고 장단의 특징을 살려 연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민숙자, "피아노 초견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효율적인 지도방법에 관한 연구" 10 : 103-114, 1994

      2 박부경, "피아노 초견 연구에 제시된 학습요소 동향 분석"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2 (22): 103-129, 2021

      3 김영미, "피아노 초견 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26 : 335-346, 2004

      4 강성숙, "초견 능력 향상을 위한 방법 연구 : 피아노 교육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5 권혜진, "초견 능력 향상을 위한 12현 가야금 초견 악보집" 현대문화 2021

      6 이보형, "전통기보론에서 박의 집합성과 분할론의 합리성과 효용성" 동양음악연구소 17 : 19-40, 1995

      7 손정화, "전공자를 위한 12현 가야금 초견" 수문당 2020

      8 이석원, "음악 심리학" 심설당 1994

      9 배수영, "악보 읽기와 눈의 움직임에 관한 문헌연구" 5 : 77-97, 2009

      10 권혜진, "서울 소재 음악대학 국악과 가야금 입시곡 분석 연구" 한국음악교육공학회 (43) : 189-210, 2020

      1 민숙자, "피아노 초견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효율적인 지도방법에 관한 연구" 10 : 103-114, 1994

      2 박부경, "피아노 초견 연구에 제시된 학습요소 동향 분석"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2 (22): 103-129, 2021

      3 김영미, "피아노 초견 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26 : 335-346, 2004

      4 강성숙, "초견 능력 향상을 위한 방법 연구 : 피아노 교육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5 권혜진, "초견 능력 향상을 위한 12현 가야금 초견 악보집" 현대문화 2021

      6 이보형, "전통기보론에서 박의 집합성과 분할론의 합리성과 효용성" 동양음악연구소 17 : 19-40, 1995

      7 손정화, "전공자를 위한 12현 가야금 초견" 수문당 2020

      8 이석원, "음악 심리학" 심설당 1994

      9 배수영, "악보 읽기와 눈의 움직임에 관한 문헌연구" 5 : 77-97, 2009

      10 권혜진, "서울 소재 음악대학 국악과 가야금 입시곡 분석 연구" 한국음악교육공학회 (43) : 189-210, 2020

      11 Thaut, M, "리듬, 음악 그리고 뇌" 학지사 2009

      12 강선영, "난타북과 정간보를 이용한 리듬 창작 및 합주의 통합 지도 방안: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미래음악교육학회 7 (7): 77-105, 2022

      13 최유리, "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의 가야금 실기 교육과정 변천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4 이재숙, "가야금산조 여섯바탕전집" 은하출판사 2008

      15 조영아, "가야금 초견능력 향상을 위한 지도방법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04

      16 정나영, "가야금 연주자를 위한 12현 가야금 초견 연습곡집" 오운 2020

      17 백대웅, "5음 음계의 시창과 청음" 도서출판 어울림 1999

      18 김민지, "25현 가야금초견의 이해" 레인보우 북스 2021

      19 허련, "25현 가야금 초견 능력 향상을 위한 방법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