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의 시간사용 자료와 소비지출자료를 사용하여 가정생산 규모를 파악하여 가정생산 위성계정을 개발하고 그 결과를 호주의 것과 비교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의 시간사용 자료와 소비지출자료를 사용하여 가정생산 규모를 파악하여 가정생산 위성계정을 개발하고 그 결과를 호주의 것과 비교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의 시간사용 자료와 소비지출자료를 사용하여 가정생산 규모를 파악하여 가정생산 위성계정을 개발하고 그 결과를 호주의 것과 비교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생산의 주요 투입요소인 노동의 경우 한국 남성의 주당 가사노동 시간이 5시간 50분으로 호주 남성 19시간 28분, 미국 남성 14시간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 한국 남성은 가사노동에 거의 참여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한국 여성은 가정생산에 많은 노동을 투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성별에 따른 비교 결과 다른 국가에 비해 가사노동의 여성집중화 현상이 매우 두드러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가정생산 중 여성이 기여한 비율이 한국이 76%로 미국과 호주의 65%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1999년 18세 이상 성인이 가계에서 생산한 총 가정생산 규모는 한국의 경우 194조, GDP의 41%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생산 규모는 식사 및 음식준비(75조)가 가장 많았고, 다음이 자녀양육 46조 등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경우 총 가정생산은 $46,766 billion으로 GDP의 50%에 이르는 규모이며, 호주의 경우 322,638 million(호주$)로서 GDP의 68%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끝으로, 가정생산에 투입된 요소들의 비중을 비교 ·검토한 결과 노동이 가정생산의 가장 대표적인 요소이며, 재료, 에너지, 서비스 등 중간재 투입이 다음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의 경우 미국과 호주(약 20% 이내)에 비해 가정생산에 투입되는 중간재의 비중(40%)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developed satellite account for household production to measure the whole size of production in Korea and U.S., and compared those to Australia. Results of this research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orean males did not spent ...
This research developed satellite account for household production to measure the whole size of production in Korea and U.S., and compared those to Australia. Results of this research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orean males did not spent their much time for household production, they just spent their time, 5 hours 50 minutes per week as input for household production, whereas Australian males spent 19 hours 28 minutes, and males in U.S. spent 14 hours,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Korean females spent their much time for household production, resulting that Korean females' heavier participation in household work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in U.S. and Australia. Korean females' contribution to household production by sex was 76%, but, 65% for other two countries.
Second, the economic value of Korean's labor invested for household production is 194,000 billion Won, as 41% of GDP. The amount of household production was the highest in the production of food(75,000 billion Won), child-care(46,000 billion Won) was the next. Total economic value of household production in U.S. was $46,766 billion, as 50% of GDP, $322,638 million(Australia Dollar) and 68% of GDP in Australia, respectively.
Finally, in comparing the proportion of inputs, labor was major input in household production, intermediate goods including material, energy, service were the next. In particular, the proportion of intermediate goods in household production was highest in Korea(40%) compared to U.S. and Australia(about 20%).
목차 (Table of Contents)
20~30대 소비자의 강박적 구매 성향과 관련 변인과의 관계 연구
소비자 정보탐색 및 구매 단계에서 멀티채널(Multichannel) 선택 행동에 관한 연구
십대 초반 청소년의 아바타 소비행위를 통해 본 소비의 상징적 의미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