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몽골 유통산업 현황과 한-몽 유통·물류협력 정책과제 = Current Status of the Mongolian Distribution Industry and Policy Issues for Korea-Mongolia Distribution and Logistics Coope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320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ngolia is a resource powerhouse with a small population but vast land area, and is an emerging consumer market with a high distribution industry, and Korean retailers have been actively entering the market recently. Currently, Mongolia is growing rapidly in convenience stores, franchises, and e-commerce markets, while Korea's CU, GS25, and E-Mart have entered Mongolia's convenience store and large-supermarket respectively, and have grown into market leader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Mongolia's current distribution industry status and problems shows that there is a lack of experts in distribution and logistics, lack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programs, no government department has been set to carry out comprehensive industrial policies, and no related technology development and operation know-how has been accumulated. Therefore, the top policy directions for improving Mongolia's distribution and logistics industry, enhancing competitiveness, and enhancing cooperation between the Korea-Mongolia distribution and logistics industry can be set up. For distribution and logistics personnel training, it can be considered to train distribution and logistics professionals, to establish distribution and logistics educational institution. For the improvement of laws and systems, it can be considered to establish distribution and logistics laws, establish distribution departments, establish distribution and logistics policy central towers, and For Enabling Technology Transfer, technology transfer promotion projects and technology transfer centers can be considered.
      번역하기

      Mongolia is a resource powerhouse with a small population but vast land area, and is an emerging consumer market with a high distribution industry, and Korean retailers have been actively entering the market recently. Currently, Mongolia is growing ra...

      Mongolia is a resource powerhouse with a small population but vast land area, and is an emerging consumer market with a high distribution industry, and Korean retailers have been actively entering the market recently. Currently, Mongolia is growing rapidly in convenience stores, franchises, and e-commerce markets, while Korea's CU, GS25, and E-Mart have entered Mongolia's convenience store and large-supermarket respectively, and have grown into market leader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Mongolia's current distribution industry status and problems shows that there is a lack of experts in distribution and logistics, lack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programs, no government department has been set to carry out comprehensive industrial policies, and no related technology development and operation know-how has been accumulated. Therefore, the top policy directions for improving Mongolia's distribution and logistics industry, enhancing competitiveness, and enhancing cooperation between the Korea-Mongolia distribution and logistics industry can be set up. For distribution and logistics personnel training, it can be considered to train distribution and logistics professionals, to establish distribution and logistics educational institution. For the improvement of laws and systems, it can be considered to establish distribution and logistics laws, establish distribution departments, establish distribution and logistics policy central towers, and For Enabling Technology Transfer, technology transfer promotion projects and technology transfer centers can be consider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몽골은 아직 인구는 작지만 방대한 국토면적을 가진 자원강국으로 최근 유통업이 고성장하고 있는 신흥 소비시장으로 우리나라 유통업체들의 진출이 활발하다. 현재 몽골은 편의점, 프랜차이즈, 전자상거래 등의 업태가 고성장하고 있으며, 한국의 CU, GS25, 이마트는 몽골의 편의점과 대형슈퍼마켓 시장에 각각 진출해 시장 선두업체로 성장하였다. 현재 몽골의 유통산업 현황과 문제점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보면, 유통·물류 분야의 전문인력이 부족하고, 교육기관 및 프로그램이 부재하며, 종합적인 산업정책을 수행할 정부부서가 정해져 있지 않으며, 관련 기술개발 및 운영 노하우도 축적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향후 몽골의 유통·물류산업 관련 문제점을 개선하고 경쟁력을 제고하며 한국-몽골 간 유통·물류산업의 협력을 제고하기 위한 최우선적인 정책방향성으로는 유통·물류 인력 교육, 법령·제도 정비, 기술이전 활성화를 설정할 수 있다. 유통·물류 인력 교육 관련해서는 유통·물류 전문인력 양성과 유통·물류 교육기관 구축을 추진하며, 법령·제도 정비와 관련해서는 유통·물류 법규 제정, 유통 전담부서 설정, 유통·물류 정책 컨트롤 타워 구축이 있으며, 기술이전 활성화 관련해서는 한국정부 기술이전 촉진사업 확대, 기술이전센터 구축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번역하기

      몽골은 아직 인구는 작지만 방대한 국토면적을 가진 자원강국으로 최근 유통업이 고성장하고 있는 신흥 소비시장으로 우리나라 유통업체들의 진출이 활발하다. 현재 몽골은 편의점, 프랜차...

      몽골은 아직 인구는 작지만 방대한 국토면적을 가진 자원강국으로 최근 유통업이 고성장하고 있는 신흥 소비시장으로 우리나라 유통업체들의 진출이 활발하다. 현재 몽골은 편의점, 프랜차이즈, 전자상거래 등의 업태가 고성장하고 있으며, 한국의 CU, GS25, 이마트는 몽골의 편의점과 대형슈퍼마켓 시장에 각각 진출해 시장 선두업체로 성장하였다. 현재 몽골의 유통산업 현황과 문제점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보면, 유통·물류 분야의 전문인력이 부족하고, 교육기관 및 프로그램이 부재하며, 종합적인 산업정책을 수행할 정부부서가 정해져 있지 않으며, 관련 기술개발 및 운영 노하우도 축적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향후 몽골의 유통·물류산업 관련 문제점을 개선하고 경쟁력을 제고하며 한국-몽골 간 유통·물류산업의 협력을 제고하기 위한 최우선적인 정책방향성으로는 유통·물류 인력 교육, 법령·제도 정비, 기술이전 활성화를 설정할 수 있다. 유통·물류 인력 교육 관련해서는 유통·물류 전문인력 양성과 유통·물류 교육기관 구축을 추진하며, 법령·제도 정비와 관련해서는 유통·물류 법규 제정, 유통 전담부서 설정, 유통·물류 정책 컨트롤 타워 구축이 있으며, 기술이전 활성화 관련해서는 한국정부 기술이전 촉진사업 확대, 기술이전센터 구축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연합뉴스, "해외 점포서도 배달 인기…CU"몽골서 1년만에 150만건 돌파"

      2 "핫한 몽골 프랜차이즈 시장"

      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한-몽골 EPA 경제적 타당성 평가" 2023

      4 산업통상자원부, "한-몽골 EPA 개요 및 추진계획" 2023

      5 정연승, "한-몽 유통물류협력 방향수립을 위한 정책 연구" 한국유통학회 2022

      6 이코노믹데일리, "편의점 맞수 'GS25 VS CU' 몽골서 '격전"

      7 아이뉴스24, "편의점 GS25 몽골 진출… 2025년까지 500점 출점"

      8 "코로나19 상황에서 급성장하는 몽골의 e-커머스 시장"

      9 히시게, "이마트의 몽골시장 진출전략과 현지 소비자의 반응" 한국유통학회 17-27, 2020

      10 신세계그룹 뉴스룸, "이마트는 왜 몽골로 갔나?"

      1 연합뉴스, "해외 점포서도 배달 인기…CU"몽골서 1년만에 150만건 돌파"

      2 "핫한 몽골 프랜차이즈 시장"

      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한-몽골 EPA 경제적 타당성 평가" 2023

      4 산업통상자원부, "한-몽골 EPA 개요 및 추진계획" 2023

      5 정연승, "한-몽 유통물류협력 방향수립을 위한 정책 연구" 한국유통학회 2022

      6 이코노믹데일리, "편의점 맞수 'GS25 VS CU' 몽골서 '격전"

      7 아이뉴스24, "편의점 GS25 몽골 진출… 2025년까지 500점 출점"

      8 "코로나19 상황에서 급성장하는 몽골의 e-커머스 시장"

      9 히시게, "이마트의 몽골시장 진출전략과 현지 소비자의 반응" 한국유통학회 17-27, 2020

      10 신세계그룹 뉴스룸, "이마트는 왜 몽골로 갔나?"

      11 이데일리, "이마트, 대형마트 불모지 ‘몽골’서 승승장구 왜?"

      12 김홍진, "신북방시대 한국ㆍ몽골 미래협력의 비전 : 분야별 협력과제와 실현방안"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

      13 한겨례, "반신반의했던 CU의 몽골 진출 성공한 까닭은"

      14 뉴스웨이브, "몽골중앙은행, 전자 상거래 규정 확정"

      15 이평래, "몽골의 중소기업의 정책"

      16 "몽골, 시장 및 소비자 특성"

      17 히시게, "몽골 소비자의 이마트에서의 재구매이도 결정 요인: 쇼핑스타일과 점포이미지의 영향" 광운대학교 2019

      18 "몽골 소매유통 시장, 한국 편의점이 주름잡는다"

      19 빠뜨자갈 ; 길종구, "몽골 물류산업의 현황과 선진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물류학회 27 (27): 49-73, 2017

      20 송상화, "몽골 물류 및 운송체계 효율화를 위한 전략 수립" 기획재정부 2021

      21 머니투데이, "롯데의 '베트남 사랑'…호치민에 '유통 학교' 오픈"

      22 뉴데일리경제, "대형마트부터 편의점까지 '몽골'에 공들이는 까닭은"

      23 "급성장 중인 몽골 온라인상거래 시장현황과 전망"

      24 매일경제, "GS25, 몽골에 편의점 3개 매장"

      25 BGF리테일, "CU, 해외 진출 과정 및 현황 소개(몽골)"

      26 한국경제TV, "CU, 몽골 진출 4년만에 200호점 달성…"국내 유통기업 최초"

      27 "2021년 몽골 물류산업 주요 이슈 및 향후 전망"

      28 "2021년 몽골 물류산업 정보"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