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트라이프 패턴을 사용한 패션 디자인 이미지 분석 및 활용방안 = Image Analysis and Utilization of Fashion Design Using Stripe Patter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200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스트라이프 패턴을 사용한 패션 디자인의 이미지와 디자인 요소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스트라이프 패턴 사용에 따른 특정 이미지의 디자인 전개를 위한 실질적인 아이디어...

      이 연구의 목적은 스트라이프 패턴을 사용한 패션 디자인의 이미지와 디자인 요소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스트라이프 패턴 사용에 따른 특정 이미지의 디자인 전개를 위한 실질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2014년 S/S에서 2018년 S/S까지 패션 컬렉션에 등장한 패션 스타일 중 609점을 대상으로 8개 이미지 범주를 사용하여 패션 이미지를 분석하였고, 통계를 사용하여 디자인의 형태적 요소, 스트라이프의 표현요소, 배색 관계에서 패션 이미지와의 관련성을 도출하였다. 스트라이프 패턴 이 사용된 디자인의 이미지는 로맨틱, 모던, 에스닉, 매니시, 엘레강트, 아방가르드, 스포티, 클래식 순 의 빈도를 보였고, 패션 이미지와 디자인 요소의 연관성 분석, 즉 아이템, 도련 위치, 실루엣, 스트라이프 패턴의 선 방향, 선 모양, 반복 형태, 배색 관계 모두에서 패션 이미지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그 결과를 토대로 스트라이프 패턴을 사용한 패션 디자인의 이미지 활용방안을 제시하면 다 음과 같다. 로맨틱 이미지는 허벅지 길이의 X 실루엣 원피스 디자인에 고명도의 무채색과 유채색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가로/혼합 방향의 선을 사용, 엘레강트 이미지는 풀렝스 원피스에 명도/채도차를 적게 둔 사선/혼합방향의 선, 클래식 이미지는 수트류에 저명도 중심의 전통적 선염 직물용 세로 방향 스트라이프를 사용, 모던 이미지는 간결한 원피스에 간격의 대비, 명도 차가 뚜렷한 무채색의 규칙적 인 세로 방향 스트라이프 사용, 매니시 이미지는 풀렝스 팬츠 아이템에 규칙적 세로 방향 스트라이프 사용, 스포티 이미지는 탑 & 팬츠/원피스 아이템에 채도차를 강조한 가로 방향 스트라이프 사용, 아방 가르드 이미지는 오벌 실루엣과 착시를 일으키는 불규칙적 반복/혼합 방향의 스트라이프 사용, 에스닉 이미지는 풀렝스 원피스에 가로 방향의 다양한 선들과 탁색조 중심의 멀티배색 등 시각적 복잡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활용하면 패션 이미지의 전달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제안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age of fashion design using stripe patterns and design elements, and to provide practical ideas for the development of a specific image using stripe patterns. The research meth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age of fashion design using stripe patterns and design elements, and to provide practical ideas for the development of a specific image using stripe patterns. The research method was to analyze fashion images using 8 image categories targeting 609 fashion styles that appeared in the fashion collection from 2014 S/S to 2018 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ashion image and formative elements of design, expressional elements of stripes, and color combinations was derived by statistical analysis. The fashion design image using stripe patterns among 609 fashion styles was used in the order of romantic, modern, ethnic, mannish, elegant, avant-garde, sporty, and classic.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relevance between fashion image and design elements, such as item, hem-line position, silhouette, line direction, line shape, line repetition, and color scheme.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for utilization of the fashion image using stripe patterns are as follows. It can be enhanced that romantic image by X silhouette one-piece dress above knee-length using horizontal/mixed directional lines consisting of white and tinted color combination; elegant image by full-length dress using diagonal/mixed lines with similar value/saturation in colors; classic image by skirt/pants suits using traditional vertical stripes for yarn-dyed fabrics with low values in colors; modern image by simple one-piece dress using regular vertical stripes with clear intervals between lines and value contrast in achromatic colors; mannish image by full-length pants using regular vertical stripes; sporty image by pants/one-piece items using horizontal stripes with saturation contrast in colors; avant-garde image by oval silhouette items using irregularly repeated multi-directional stripes which cause optical illusion; and ethnic image by full-length one-piece dress using various horizontal lines such as zigzag with tone-downed multi-colors which cause visual complex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염미선, "현대 니트웨어에 나타난 스트라이프 패턴의 조형적 특성" 한국니트디자인학회 16 (16): 1-14, 2018

      2 문주영, "스트라이프 문양과 의복스타일에 따른 이미지 차이와 포지셔닝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 12 (12): 1-9, 2010

      3 림해룡, "세미타이트 스커트의 스트라이프 방향과 폭 변화에 따른 감성 이미지"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5 (25): 64-74, 2017

      4 Kim, Y. K., "Fashion styling" Ybook 2012

      5 Lee, K. H., "Fashion and image making" Gyomoonsa 2012

      6 Han, S. J., "Fashion Design" Kyohakyeougusa 2014

      7 Hyun Jung, "Expressions of Stripes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9 (19): 1-15, 2019

      8 Lee, Y. J., "Effect of design elements of block stripe pattern on sensibility" 5 (5): 21-28, 2002

      9 Birren, F., "Color: A survey in words and pictures" University Books, Inc 1963

      10 Kobayashi, S., "Color image scale" Kodansha USA 1992

      1 염미선, "현대 니트웨어에 나타난 스트라이프 패턴의 조형적 특성" 한국니트디자인학회 16 (16): 1-14, 2018

      2 문주영, "스트라이프 문양과 의복스타일에 따른 이미지 차이와 포지셔닝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 12 (12): 1-9, 2010

      3 림해룡, "세미타이트 스커트의 스트라이프 방향과 폭 변화에 따른 감성 이미지"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5 (25): 64-74, 2017

      4 Kim, Y. K., "Fashion styling" Ybook 2012

      5 Lee, K. H., "Fashion and image making" Gyomoonsa 2012

      6 Han, S. J., "Fashion Design" Kyohakyeougusa 2014

      7 Hyun Jung, "Expressions of Stripes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9 (19): 1-15, 2019

      8 Lee, Y. J., "Effect of design elements of block stripe pattern on sensibility" 5 (5): 21-28, 2002

      9 Birren, F., "Color: A survey in words and pictures" University Books, Inc 1963

      10 Kobayashi, S., "Color image scale" Kodansha USA 1992

      11 Shin, J. D., "Analysis on image of stripe pattern expressed in contemporary fashion" 12 (12): 215-223, 2008

      12 Lee, K. M., "Analysis of visual image depending on stripe pattern" Ewha Womans University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