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국 보수당과 노동당의 유럽통합정책의 변화: EC 회원가입 이후부터 TEU 협상까지 = The change of the Conservative and Labour parties' European integration policy in the UK: thereafter the entry of the UK into the EC to the TEU discus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323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the Conservative and Labour parties' European integration policy in the UK during the period of the entry of the UK into the EC and thereafter, as well as the TEU discussion. This article will attempt to answer the main question of why two main parties, the Conservative and Labour, conflictingly changed their policies towards European integration and how the parties' policy changed.
      Drawing upon party politics theories, this article pays attention to four environments: an absence of the leader, a change of external political circumstance, a political tendency of electorates, and a competition between parties within the party system which influenced the leader to re-consider and re-shape the party policy. The policy change was a result of conflict between the leader's opinion and opponents within the party members in the progress of the re-shaping policy. With regard to the four political situations, it explores the change of the two political parties' European integration policy during this perio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the Conservative and Labour parties' European integration policy in the UK during the period of the entry of the UK into the EC and thereafter, as well as the TEU discussion. This article wil...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the Conservative and Labour parties' European integration policy in the UK during the period of the entry of the UK into the EC and thereafter, as well as the TEU discussion. This article will attempt to answer the main question of why two main parties, the Conservative and Labour, conflictingly changed their policies towards European integration and how the parties' policy changed.
      Drawing upon party politics theories, this article pays attention to four environments: an absence of the leader, a change of external political circumstance, a political tendency of electorates, and a competition between parties within the party system which influenced the leader to re-consider and re-shape the party policy. The policy change was a result of conflict between the leader's opinion and opponents within the party members in the progress of the re-shaping policy. With regard to the four political situations, it explores the change of the two political parties' European integration policy during this perio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영국의 EC 회원가입 이후부터 TEU 협상까지의 시점에서 발생된 영국 보수당과 노동당의 유럽통합정책의 변화에 관심을 두고 있다. 정당 이론에 따르면, 정당의 정책 변화는 ‘유권자의 변화’라는 단일 변수에 의해 형성되는 정치 현상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다양한 독립변수: ‘외부 정치 상황의 변화’, ‘당 대표의 부재’, ‘유권자의 성향’, 그리고 ‘정당체계의 경쟁구도’ 등의 정치적 조건이 변화의 원인이며, 이 같은 정치 환경들은 정책 변화의 필요성을 인식시킬 뿐만 아니라, 당 대표를 중심으로 한 지도부와 반대 세력들 간의 갈등을 불러온다. 정책의 변화는 갈등의 결과에 따라 그 방향이 형성된다고 보고 있다. 본 논문은 정당 이론을 기반으로 한 이론적 분석틀을 통해 영국 보수당과 노동당의 유럽통합정책의 변화를 살펴보고, ‘변화의 원인’과 ‘변화 과정’을 규명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영국의 EC 회원가입 이후부터 TEU 협상까지의 시점에서 발생된 영국 보수당과 노동당의 유럽통합정책의 변화에 관심을 두고 있다. 정당 이론에 따르면, 정당의 정책 변화는 ‘유권...

      본 논문은 영국의 EC 회원가입 이후부터 TEU 협상까지의 시점에서 발생된 영국 보수당과 노동당의 유럽통합정책의 변화에 관심을 두고 있다. 정당 이론에 따르면, 정당의 정책 변화는 ‘유권자의 변화’라는 단일 변수에 의해 형성되는 정치 현상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다양한 독립변수: ‘외부 정치 상황의 변화’, ‘당 대표의 부재’, ‘유권자의 성향’, 그리고 ‘정당체계의 경쟁구도’ 등의 정치적 조건이 변화의 원인이며, 이 같은 정치 환경들은 정책 변화의 필요성을 인식시킬 뿐만 아니라, 당 대표를 중심으로 한 지도부와 반대 세력들 간의 갈등을 불러온다. 정책의 변화는 갈등의 결과에 따라 그 방향이 형성된다고 보고 있다. 본 논문은 정당 이론을 기반으로 한 이론적 분석틀을 통해 영국 보수당과 노동당의 유럽통합정책의 변화를 살펴보고, ‘변화의 원인’과 ‘변화 과정’을 규명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한범, "유럽통합과정에서 정당의 급진성에 따른 국민여론과 정당 노선의 관계" 한국정치학회 47 (47): 205-220, 2013

      2 안병억, "유럽연합(EU)예산의 발전과정과 전망: 재정전망 논란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센터 13 (13): 301-326, 2010

      3 진영재, "유럽 국가들의 '정당체계'와 '정당'의 지속과 변화 양태에 관한 비교 분석" 한국국제정치학회 48 (48): 197-216, 2008

      4 김영준, "영국의 외교정책, 1979-97: 집권 보수당 정부의 대 미국, 영 연방, 유럽과의 외교관계를중심으로" 38 : 291-311, 1998

      5 안병억, "영국예산환급금: 연속성과 변화" 국제지역연구센터 10 (10): 107-138, 2006

      6 Cliff, Tony, "마르크스주의에서 본 영국 노동당의 역사:희망과 배신의 100년" 책갈피 2008

      7 김상수, "‘영연방’을 중심으로 한 영국 내 유럽회의주의 담론의 강화 ―1960년대와 2010년대의 보수당의 유럽연합에 대한 태도 비교―" 영국사학회 (28) : 261-290, 2012

      8 Sainsbury, Diane, "Theoretical Perspectives in Analyzing Ideological Change and Persistence: The Case of Swedish Social Democratic Party ideology" 4 (4): 273-294, 1981

      9 Seyd, Patrick, "The rise and fall of the Labour left" Macmillan Education 1987

      10 European Commission, "The Unacceptable Situation and the Correcting Mechanism" 75 (75): 1975

      1 정한범, "유럽통합과정에서 정당의 급진성에 따른 국민여론과 정당 노선의 관계" 한국정치학회 47 (47): 205-220, 2013

      2 안병억, "유럽연합(EU)예산의 발전과정과 전망: 재정전망 논란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센터 13 (13): 301-326, 2010

      3 진영재, "유럽 국가들의 '정당체계'와 '정당'의 지속과 변화 양태에 관한 비교 분석" 한국국제정치학회 48 (48): 197-216, 2008

      4 김영준, "영국의 외교정책, 1979-97: 집권 보수당 정부의 대 미국, 영 연방, 유럽과의 외교관계를중심으로" 38 : 291-311, 1998

      5 안병억, "영국예산환급금: 연속성과 변화" 국제지역연구센터 10 (10): 107-138, 2006

      6 Cliff, Tony, "마르크스주의에서 본 영국 노동당의 역사:희망과 배신의 100년" 책갈피 2008

      7 김상수, "‘영연방’을 중심으로 한 영국 내 유럽회의주의 담론의 강화 ―1960년대와 2010년대의 보수당의 유럽연합에 대한 태도 비교―" 영국사학회 (28) : 261-290, 2012

      8 Sainsbury, Diane, "Theoretical Perspectives in Analyzing Ideological Change and Persistence: The Case of Swedish Social Democratic Party ideology" 4 (4): 273-294, 1981

      9 Seyd, Patrick, "The rise and fall of the Labour left" Macmillan Education 1987

      10 European Commission, "The Unacceptable Situation and the Correcting Mechanism" 75 (75): 1975

      11 Allen, David, "The Member States of the European Union" Oxford University Press 119-141, 2005

      12 Balme, Richard, "The Member States of the European Union" Oxford University Press 97-118, 2005

      13 Vanden Abeele, Michel, "The Mandate of 30 May 1980, Budget Financing and the Revitalization of the Community: An Unfinished Journey" 19 (19): 501-519, 1982

      14 Jefferys, Kevin, "The Labour Party Since 1945" St. Martin's Press 1993

      15 Armstrong, Kenneth A, "The Government of the Single European Market"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98

      16 Nugent, Neill, "The Government and Politics of the European Union" Palgrave Macmillan 2006

      17 Laffan, Brigid, "The Finances of the European Union" Macmillan 1997

      18 Geddes, Andrew, "The Europeanization of British Politics" Palgrave Macmillan 119-134, 2008

      19 Geddes, Andrew, "The European Union and British Politics" Palgrave Macmillan 2004

      20 "The European Elections in 1989"

      21 Carrubba, Clifford J., "The Electoral Connection in European Union Politics" 63 (63): 141-158, 2001

      22 Baldwin, Richard, "The Economics of European Integration" McGraw-Hill Education 2004

      23 Thatcher, Margaret, "The Downing Street Years" HarperCollins Publishers 1993

      24 Nugent, Neill, "The Deepening and Widening of the European Community: Recent Evolution, Maastricht, and Beyond" 30 (30): 311-328, 1992

      25 이충희, "The Conservative Party’s Approach to European Integration during the Thatcher era"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4 (14): 43-58, 2013

      26 Sowemimo, Matthew, "The Conservative Party and European Integration 1988-95" 2 (2): 77-97, 1996

      27 Bilski, Raphaella, "The Common Market and the Growing Strength of Labour's Left Wing" 12 (12): 306-331, 1977

      28 Young, Simon Z, "Terms of Entry : Britain's Negotiations with the European Community, 1970-1972" Heinemann 1973

      29 Baker, David, "Sovereign nations and global markets: modern British Conservatism and hyperglobalism" 4 (4): 399-428, 2002

      30 Bache, Ian, "Politics in the European Un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31 Duverger, Maurice, "Political Parties : Their Organization and Activity in the Modern States" John Wiley and Sons Inc 1963

      32 Panebianco, Angelo, "Political Parties : Organisation and Pow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33 Dahl, Robert A., "Political Oppositions in Western Democracies" Yale University Press 332-347, 1966

      34 McNamara, Kathleen R., "Policy-Making in the European Union" Oxford University Press 141-160, 2005

      35 Young, Alasdair R., "Policy-Making in the European Union" Oxford University Press 93-112, 2005

      36 Sartori, Giovanni, "Parties and Party Systems : A Framework for Analy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6

      37 Kelly, Richard, "Leadership Elections: Conservative Party" House of Commons 2005

      38 Schonhardt-Bailey, Cheryl, "Ideology, Party and Interests in the British Parliament of 1841-47" 33 (33): 581-605, 2003

      39 "General Election Results of 9 June 1983"

      40 Forster, Anthony, "Euroscepticism in Contemporary British Politics : Opposition to Europe in the British Conservative and Labour Parties since 1945" Routledge 2002

      41 Ladrech, Robert, "Europeanization and Political Parties: Towards a Framework for Analysis" 8 (8): 389-403, 2002

      42 Egan, Michelle, "European Union Politics" Oxford University Press 253-270, 2007

      43 Urwin, Derek W., "European Union Politics" Oxford University Press 13-29, 2007

      44 "Euro-barometer: public opinion in the European Community 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y, No. 40"

      45 "Euro-barometer: public opinion in the European Community 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y, No. 32"

      46 "Euro-barometer: public opinion in the European Community 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y, No. 24"

      47 "Euro-barometer: public opinion in the European Community 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y, No. 22"

      48 "Euro-barometer: public opinion in the European Community 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y, No. 18"

      49 Lindner, Johannnes, "Conflict and Change in EU budgetary politics" Routledge 2006

      50 Forster, Anthony, "Britain and the Maastricht Negotiations" Macmillan Press Ltd 1999

      51 Jones, Alistair, "Britain and the European Union"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7

      52 Young, John W, "Britain and European Unity 1945-1999" St Martin's Press LLC 2000

      53 Gowland, David, "Britain and EUropean Integration since 1945: on the sidelines" Routledge 2010

      54 Macmillan, Harold, "At the End of the Day 1961-1963" Macmillan London Ltd 1973

      55 Harmel, Robert, "An Integrated Theory of Party Goals and Party Change" 6 (6): 259-287, 1994

      56 George, Stephen, "An Awkward Partner : Britain in the European Community"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57 Wall, Stephen, "A Stranger in Europe : Britain and the EU from Thatcher to Blair"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58 Budge, Ian., "A New Spatial Theory of Party Competition: Uncertainty, Ideology and Policy Equilibria Viewed Comparatively and Temporally" 24 (24): 443-467, 1944

      59 "1990: Tories choose Major for Number 10"

      60 "1990: Thatcher fails to win party mandate"

      61 "1970 General election results summar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2 0.32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2 0.63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