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풍류로서의 신라, 다시 쓰기로서의 신라 = Silla as Pungryu, Silla as Rewriting - A Focus on Seo Jung-ju’s Silla Studie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836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서정주의 신라정신이 함유한 의미망을 재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동안 서정주의 신라정신은 그의 시집 『신라초』와 함께 영원성 혹은 초월적 미학의 성격으로 논의되어왔다. 하지만 시집 『신라초』 전에 출간한 『신라연구』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신라연구』는 박사논문자격으로 제출한 텍스트로서, 서정주의 신라관련 논의를 고찰할 수 있는 자료이기 때문이다. 또한 서정주의 『신라연구』가 김범부의 『화랑외사』와 비슷한 형식을 취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그들의 신라정신이 어떠한 동일성과 차이가 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서정주는 『신라연구』와 『신라초』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신라정신의 핵심인 풍류를 신라인들의 삶의 태도로서 형상화했으며, 현대에 신라정신을 어떻게 창조적으로 접합할지 실험하였다. 그 결과, 그는 『신라연구』에서 신라인들의 삶의 태도와 사회적 상상으로서의 신라를 그려냈으며, 시집 『신라초』에서는 영적 성격을 구체화했을 뿐만 아니라 신라를 질마재로 전유함으로써 질마재 사람들이 신라정신을 계승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처럼 서정주의 신라정신은 영원성뿐만 아니라 영적 성격, 자연 융화적 속성, 풍류를 통한 삶에 대한 사유를 담지하고 있다. 따라서, 서정주의 신라정신은 그의 문학 활동 전반에 유기적인 관련성을 지님으로써 다양한 의미를 함유한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서정주의 신라정신이 함유한 의미망을 재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동안 서정주의 신라정신은 그의 시집 『신라초』와 함께 영원성 혹은 초월적 미학의 성격으로 논의되어...

      이 논문은 서정주의 신라정신이 함유한 의미망을 재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동안 서정주의 신라정신은 그의 시집 『신라초』와 함께 영원성 혹은 초월적 미학의 성격으로 논의되어왔다. 하지만 시집 『신라초』 전에 출간한 『신라연구』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신라연구』는 박사논문자격으로 제출한 텍스트로서, 서정주의 신라관련 논의를 고찰할 수 있는 자료이기 때문이다. 또한 서정주의 『신라연구』가 김범부의 『화랑외사』와 비슷한 형식을 취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그들의 신라정신이 어떠한 동일성과 차이가 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서정주는 『신라연구』와 『신라초』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신라정신의 핵심인 풍류를 신라인들의 삶의 태도로서 형상화했으며, 현대에 신라정신을 어떻게 창조적으로 접합할지 실험하였다. 그 결과, 그는 『신라연구』에서 신라인들의 삶의 태도와 사회적 상상으로서의 신라를 그려냈으며, 시집 『신라초』에서는 영적 성격을 구체화했을 뿐만 아니라 신라를 질마재로 전유함으로써 질마재 사람들이 신라정신을 계승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처럼 서정주의 신라정신은 영원성뿐만 아니라 영적 성격, 자연 융화적 속성, 풍류를 통한 삶에 대한 사유를 담지하고 있다. 따라서, 서정주의 신라정신은 그의 문학 활동 전반에 유기적인 관련성을 지님으로써 다양한 의미를 함유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meaning network of Seo Jeong-ju’s Silla spirit. Seo Jung-ju’s spirit of Silla has been discussed in combination with his poetry, SillaCho, as eternal or transcendental aesthetics. However, there is a need to pay close attention to the Silla Studies that were published prior to the poetry Sillacho. Silla Studies is a text submitted as a doctoral dissertation, and it is material that has potential to examine the discussion of Seo Jeong-ju’s Silla. In addition, considering the fact that Seo Jung-ju’s Silla Studies are similar to Kim Bum-boo’s Hwa-rang-oi-sa, it is necessary to examine in detail the identity and difference of their Silla spirit. In the process of examining Silla Studies and the Sillacho, Seo Jeong-ju has shaped the spirit of Silla as the attitude of the life of Silla, and experimented on how to creatively connect the spirit of Silla to the modern age. As a result, he depicted Silla as the attitude and social imagination of Silla’s life in Silla Studies, and not only embodied the spiritual character in the poetry Sillacho, but also inherited the spirit of Silla by appropriating Silla as jilmajae. In this way, the Silla spirit is bearing not only eternity, but also spiritual personality, natural harmonious property, and reason for life through Pungryu. Therefore, Seo Jeong-ju’s Silla spirit contains various meanings through its organic relation to the entirety of his literary activiti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meaning network of Seo Jeong-ju’s Silla spirit. Seo Jung-ju’s spirit of Silla has been discussed in combination with his poetry, SillaCho, as eternal or transcendental aesthetics. However, there is a ne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meaning network of Seo Jeong-ju’s Silla spirit. Seo Jung-ju’s spirit of Silla has been discussed in combination with his poetry, SillaCho, as eternal or transcendental aesthetics. However, there is a need to pay close attention to the Silla Studies that were published prior to the poetry Sillacho. Silla Studies is a text submitted as a doctoral dissertation, and it is material that has potential to examine the discussion of Seo Jeong-ju’s Silla. In addition, considering the fact that Seo Jung-ju’s Silla Studies are similar to Kim Bum-boo’s Hwa-rang-oi-sa, it is necessary to examine in detail the identity and difference of their Silla spirit. In the process of examining Silla Studies and the Sillacho, Seo Jeong-ju has shaped the spirit of Silla as the attitude of the life of Silla, and experimented on how to creatively connect the spirit of Silla to the modern age. As a result, he depicted Silla as the attitude and social imagination of Silla’s life in Silla Studies, and not only embodied the spiritual character in the poetry Sillacho, but also inherited the spirit of Silla by appropriating Silla as jilmajae. In this way, the Silla spirit is bearing not only eternity, but also spiritual personality, natural harmonious property, and reason for life through Pungryu. Therefore, Seo Jeong-ju’s Silla spirit contains various meanings through its organic relation to the entirety of his literary activit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신라를 상상하는 서정주의 방식
      • Ⅱ. 화랑의 풍류를 통한 의지로서의 풍류 강조
      • Ⅲ. 풍류의 구체화로서의 『신라연구』
      • Ⅳ. 『신라연구』와 『신라초』에 나타난 다시 쓰기로서의 신라
      • 국문초록
      • Ⅰ. 신라를 상상하는 서정주의 방식
      • Ⅱ. 화랑의 풍류를 통한 의지로서의 풍류 강조
      • Ⅲ. 풍류의 구체화로서의 『신라연구』
      • Ⅳ. 『신라연구』와 『신라초』에 나타난 다시 쓰기로서의 신라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범부, "화랑외사" 이문출판사 1981

      2 김정근, "풍류정신의 사람, 김범부의 생각을 찾아서" 한울아카데미 2013

      3 김범부, "풍류정신" 영남대학교 출판부 2009

      4 서정주, "신라정신의 현대적 수용:현대정신과 신화 <특집>" 서강대학교 4 : 1973

      5 서정주, "신라정신의 영적 성격" 교통부 25 : 1957

      6 김수남, "신라정신에 취해버린 미당 서정주 시인과 「걸어다니는 미당 시전집」김수남씨의 신년 대담" 조선일보사 1995

      7 최현식, "신라적 영원성의 의미―서정주의 ?신라초?에 나타난 ‘신라’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학회 (19) : 255-284, 2002

      8 송희복, "서정주의 특별한 인간관계 재조명" 한국문학연구소 (50) : 71-100, 2016

      9 김정신, "서정주의 『新羅硏究』 고찰 - 그의 시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우리말글학회 45 : 177-198, 2009

      10 김익균, "서정주의 50년대 시세계와 신라정신의 구체성 ― 『신라초』연구를 위한 시론(試論)" 한국시학회 (33) : 149-182, 2012

      1 김범부, "화랑외사" 이문출판사 1981

      2 김정근, "풍류정신의 사람, 김범부의 생각을 찾아서" 한울아카데미 2013

      3 김범부, "풍류정신" 영남대학교 출판부 2009

      4 서정주, "신라정신의 현대적 수용:현대정신과 신화 <특집>" 서강대학교 4 : 1973

      5 서정주, "신라정신의 영적 성격" 교통부 25 : 1957

      6 김수남, "신라정신에 취해버린 미당 서정주 시인과 「걸어다니는 미당 시전집」김수남씨의 신년 대담" 조선일보사 1995

      7 최현식, "신라적 영원성의 의미―서정주의 ?신라초?에 나타난 ‘신라’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학회 (19) : 255-284, 2002

      8 송희복, "서정주의 특별한 인간관계 재조명" 한국문학연구소 (50) : 71-100, 2016

      9 김정신, "서정주의 『新羅硏究』 고찰 - 그의 시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우리말글학회 45 : 177-198, 2009

      10 김익균, "서정주의 50년대 시세계와 신라정신의 구체성 ― 『신라초』연구를 위한 시론(試論)" 한국시학회 (33) : 149-182, 2012

      11 박현수, "서정주와 미학적 기획으로서의 신라정신-사소 모티프’를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회 (14) : 89-119, 2006

      12 손진은, "서정주 시와 산문에 나타난 김범부의 영향" 국제언어문학회 (23) : 141-162, 2011

      13 서정주, "서정주 문학전집 1-5" 일지사 1972

      14 진창영, "서정주 문집 『신라연구』의 문학적 성격 고찰" 동악어문학회 38 : 2001

      15 최재목, "범부(凡父) 김정설(金鼎卨)의 『風流精神』에 대한 검토"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103-122, 2009

      16 신범순, "반근대주의적 魂의 詩學에 대한 고찰 -서정주를 중심으로" 한국시학회 (4) : 181-222, 2001

      17 서정주, "미당 서정주 문학전집 2,6,7,11" 은행나무 2016

      18 정영진, "낙오자와 영원인 -서정주의 신라 기획과 전율의 시학-" 반교어문학회 (41) : 553-583, 2015

      19 이난수, "근대적 시선으로 본 풍류객의 미적 형상" 한국양명학회 (45) : 447-477,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7-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우리문학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7 0.61 1.35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