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 성평등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young children’s gender equality education progra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459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gender equality education program that can be us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Researchers developed young children’s gender equality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a...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gender equality education program that can be us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Researchers developed young children’s gender equality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a 5-step process.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observed from forty six 5-years-old children attending A kindergarten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mong those, twenty three children belonged to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the other twenty three in the comparative group participated in the daily activities according to the Nuri Curriculum.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meaningfully lower scores than those of the comparative group in gender role stereotypes, and higher scores in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e gender equality education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decreasing gender role stereotypes and increasing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the information about teaching-learning activities toward decreasing young children’s gender role stereotypes and increasing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by showing the educational effects of young children’s gender equality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also indicates that systematic and diverse gender equality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conducted consistently in order to effectively increase young children’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현장에서 이용될 수 있는 성평등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자는 5단계 절차에 따라 유아 성평등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현장에서 이용될 수 있는 성평등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자는 5단계 절차에 따라 유아 성평등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광주광역시 A 유치원 만 5세 유아 46명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실험집단 유아 23명은 본 프로그램에, 비교집단 유아 23명은 누리과정에 따른 일상 활동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이비교집단보다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이 감소하고 성평등 의식이 향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성평등 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 감소와 성평등 의식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결국 본 연구는 유아 성평등 교육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보여줌으로써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을 감소하고 성평등 의식을 향상하기 위한 교수-학습 활동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더불어 본 연구는 유아의 성평등 의식이 효과적으로 향상하려면 체계적이고 다양한 성평등 교육프로그램이 지속해서 시행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채금, "활동중심 양성평등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 손이전,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성차별 경험에 관한 여성주의적 분석" 여성문제연구소 1 (1): 189-192, 2003

      3 예은화, "초등학생의 성역할 고정관념과 양성평등의식 및 두 변인 간의 관계" 대진대학교 2016

      4 유문숙, "초등학교 학생과 교사의 양성평등에 관한 인식 비교- 5 6학년을 중심으로 -" 한국모자보건학회 10 (10): 1-10, 2006

      5 이화진, "제주지역 성평등 교육 실태와 개선방안" 제주여성가족연구원 2018

      6 류덕순, "유치원 교사의 유아 양성평등교육에 대한 의식과 실태 분석"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7 정미라, "유아의 성역할 정체감 형성을 위한 가정 -유치원 상호 협력 중심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201-228, 2011

      8 이윤정 ; 성소영, "유아의 성별에 따른 어머니 성역할 인식과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 및 리더십의 관계" 한국보육학회 13 (13): 113-132, 2013

      9 김승희, "유아교육과정" 공동체 2018

      10 조민지, "유아 양성평등교육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경험 및 요구" 성신여자대학교 2019

      1 이채금, "활동중심 양성평등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 손이전,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성차별 경험에 관한 여성주의적 분석" 여성문제연구소 1 (1): 189-192, 2003

      3 예은화, "초등학생의 성역할 고정관념과 양성평등의식 및 두 변인 간의 관계" 대진대학교 2016

      4 유문숙, "초등학교 학생과 교사의 양성평등에 관한 인식 비교- 5 6학년을 중심으로 -" 한국모자보건학회 10 (10): 1-10, 2006

      5 이화진, "제주지역 성평등 교육 실태와 개선방안" 제주여성가족연구원 2018

      6 류덕순, "유치원 교사의 유아 양성평등교육에 대한 의식과 실태 분석"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7 정미라, "유아의 성역할 정체감 형성을 위한 가정 -유치원 상호 협력 중심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201-228, 2011

      8 이윤정 ; 성소영, "유아의 성별에 따른 어머니 성역할 인식과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 및 리더십의 관계" 한국보육학회 13 (13): 113-132, 2013

      9 김승희, "유아교육과정" 공동체 2018

      10 조민지, "유아 양성평등교육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경험 및 요구" 성신여자대학교 2019

      11 최인경, "유아 성역할 학습 지표(SERLI)의 타당도 개선: 생태학적․문화적 타당성을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18

      12 배애성, "유아 성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동덕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3 고경미, "예비유아교사의 성역할 정체감과 성역할 고정관념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12 (12): 1001-1016, 2021

      14 강혜원, "역할놀이를 통한 양성평등 교육이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5 정종보, "역할놀이 수업이 양성평등의식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6 한인영 ; 홍선희, "여성의 성역할인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여성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심리학회 16 (16): 477-498, 2011

      17 최은옥, "양성평등프로그램이 유아의 성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18 고유진, "양성평등의식 교육 활동이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9 장순아, "양성평등교육이 초등학생의 성역할 태도에 미치는 효과"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20 김세희, "양성평등교육을 위한 중학교 미술 교과서 내용 및 이미지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2020

      21 장현용,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양성평등의식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2 김은정,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3 정은주,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 감소에 미치는 효과"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4 이은경, "양성평등 동화활동이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5 박수은, "양성평등 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남녀평등의식과 성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6 김완신, "양성평등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성 역할 인식 변화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7 엄은희, "양성평등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가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8 김정순, "양성 평등 프로그램 활동의 유아 적용 효과 연구"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9 이용옥, "양성 평등 실현을 위한 사회과 교육의 방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30 황창연, "아동기 양성평등의식 교육프로그램 개발·보급" 여성부 차별개선국 차별개선기획담당관실 2005

      31 김지민, "성평등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가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 및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2019

      32 문종란, "성평등 그림동화 들려주기 및 관련활동이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33 김지은, "성평등 관점에서 본 아동문학의 현황과 쟁점 - 성역할 고정관념을 중심으로 -"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7) : 7-52, 2020

      34 이미숙, "성역할 동화를 통한 극화활동이 유아의 성역할 이해 및 인지능력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35 김경미 ; 양혜영, "성역할 개념의 발달과 분화: 다차원적 관점"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8 (18): 1-20, 2005

      36 김용란, "보육시설의 양성평등교육이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 서울신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5

      37 박은혜 ; 김정원 ; 부성숙 ; 최혜영, "보육교사와 부모의 양성평등교육 현황 및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욕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2 (22): 109-138, 2005

      38 김현욱 ; 안세근, "동화를 활용한 양성평등 교육 프로그램개발" 동화와번역연구소 (24) : 143-162, 2012

      39 안은주, "교사 발화와 반성적 사고에 나타난 유아교사의 양성평등교육에 대한인식 연구" 15 (15): 1-23, 2006

      40 김선희, "경기도 성평등교육 전문강사 양성실태 및 표준교육안 개발"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2010

      41 박지영, "가정과 연계한 양성평등 동화책 활동이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 및 성별에 미치는 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42 박주영, "가정과 연계한 양성평등 그림책 활동이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미치는 효과"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0

      43 유은석 ; 민혜영, "가정과 연계한 그림책 활동이 유아와 어머니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미치는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15 (15): 1-22, 2008

      44 정미라 ; 박희숙, "가정-유치원 상호 협력 중심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의 양성평등의식과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1) : 175-201, 2012

      45 Levy, G. D., "Traditional and evaluative aspects of flexibility in gender roles, social conventions, moral rules, and physical laws" 66 (66): 515-531, 1995

      46 Best, D. L., "The handbook of culture and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195-222, 2001

      47 Ward, L. M., "Media and the development of gender role stereotypes" 2 : 177-199, 2020

      48 Derman-Sparks, L., "Anti-bias curriculum: Tools for empowering young children"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1989

      49 강선미, "7차 가정교과에서의 양성평등교육내용분석"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50 진명희 ; 서현순, "3, 4, 5세 유아의 놀이선호도와 놀이참여 유형에서의 성유형성 비교 및 성역할 고정관념과의 관련성"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141-162,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72 2.72 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74 2.67 3.087 0.5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