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하곡 정제두의 인적네트워크 = Hagok Jeong Jedu’s human network - Focus on the marial relatioship and cemetery writer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939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霞谷鄭齊斗(1649~1736)는 주자학이 주도하고 있던 조선후기 사회에 양명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을 연구하고 후학을 양성하였다는 점에서 주목되어 왔다. 그 결과 그의 가계를 비롯한 교유관계 ...

      霞谷鄭齊斗(1649~1736)는 주자학이 주도하고 있던 조선후기 사회에 양명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을 연구하고 후학을 양성하였다는 점에서 주목되어 왔다. 그 결과 그의 가계를 비롯한 교유관계 조차도 양명학과 관련하여 설명하려는 경향성을 띄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제두의 인적 네트워크에 대해서 살펴보고 양명학적 계보가 형성되는지 검증해보고자 한다.
      정제두 이전 가문은 정유성의 현달과 함께 서인 핵심 가문으로 성장하였다. 정제현이 효종의 부마가 된 것은 상징적인 모습이다. 정유성의 장인은 이구함이며, 정창징의 장인은 홍익한이며, 정상징의 장인은 이기조이다. 이때까지만 해도 이 가문은 서인·남인과 혼맥으로 모두 연결된다.
      한편 정창징과 정상징의 사위는 대체로 서인-노론으로 분류할 수 있고, 사위들 가운데 이세백과 민진주가 정치적·학문적으로 명성이 높았다. 이때는 노소분당 이전이기 때문에 이 가문은 서인으로 분류할 수 있다. 묘도문자 찬자를 살펴보면 이러한 경향성이 분명히 드러난다.
      정유성의 묘도문자는 송시열·정제두·이의현이 찬하였고, 정창징의 묘도 문자는 송시열·김수항이 찬하였으며, 정제현의 묘도문자는 서명응·정제두·이경석·김수항이 찬하였다. 이는 정유성 가문이 노론과 소론을 모두 아우르는 서인 핵심 가문으로 성장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정제두 가계는 정제두의 학문적 위상이 높아지면서 소론 핵심 가문으로 성장하였다. 정제두의 장인은 윤홍거·서한주이며, 정후일의 장인은 이단상·유춘양이며, 정지윤의 장인은 이징성이다. 윤홍거·서한주는 서인이며, 이단상은 서인-노론으로 볼 수 있고, 이징성은 소론이다. 이를 통해 보면 정후일이 혼인할 때까지만 해도 정제두 가계는 노론과 소론을 모두 아우르는 서인 가계였고, 이후 소론화 경향성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이 가계에서 받아들인 사위를 보면 소론화 경향성을 분명히 알 수 있다.
      정제두의 사위는 이징성이며, 정후일의 사위는 이광명·이경호·임달호·신대우·이영익이다. 이들은 모두 소론이다. 다만, 이광명·이영익은 이진유 가문의 인물로 준소계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경호는 완소계로 분류할 수 있다. 정제두가 소론의 산림학자로 명성이 높았기 때문에 이후 정제두 가계가 준소계와 완소계를 모두 아우를 수 있는 소론 핵심 가문이 된 것이다. 묘도문자 찬자를 살펴보면 이러한 경향성이 확연히 드러난다.
      정상징의 묘도문자는 윤증·정제두가 찬하였고, 정제두의 신도비명은 신대우가 찬하였으며, 정후일의 묘도문자는 윤동도·이충익이 찬하였다. 이 가계의 묘도문자 찬자 역시 모두 소론이며, 윤동도를 제외하고는 모두 인척관계에 있는 인물이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정제두의 인적네트워크는 “서인+남인→서인(노론+소론)→소론(완소+준소)”의 경향성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agok Jeong Jedu had been noted for his study of Yangm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As a result, his marriage relationship and communion relationship also tend to be explained in relation to the Joseon Yangming school. In this study, I will examine ...

      Hagok Jeong Jedu had been noted for his study of Yangm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As a result, his marriage relationship and communion relationship also tend to be explained in relation to the Joseon Yangming school. In this study, I will examine the Jeong Jedu’s human network and verify whether it is related to the Joseon Yangming school.
      The Jeong Jedu family grew into a Seoin(西人) core family with his grandfather, Jeong Yuseong, becoming the main bureaucrat. And his cousin, Jeong Jehyeon, is the son-in-law of Hyojong(孝宗) a symbolic figure representing the political growth of the family. Jeong Jedu’s big father, Jeong Changjing, was Hong Ikhan’s son in law and Jeong Jedu’s father, Jeong Sangjing, was Yi Gijo’s son in law. Therefore, untill this time, this family was connected to both Seoin and Namin(南人).
      Sons in law of Jeong Changjing and Jeong Sangjing were generally classified as Seoin-Noron(老論). Among them, Yi Sebaek and Min Jinju were highly reputed politically and acdemically. So, this time, this family can be classified as Seoin. Looking at cemetery writers, this tendecy is evident.
      Jeong Yuseong’s cemetery was written by Song Siyeol, Jeong Jedu and Yi Uihyeon. And Jeong Changjing’s cemetery was written by Song Siyeol and Kim Suhang. Furthermore Jeong Jehyeon’s cemetery was written by Seo Myeongung, Jeong Jedu, Yi Gryeonseok and Kim Suhang. This was possible because the family grew into a Seoin core family, including Noron and Soron(小論).
      On the other hand, as the academic status of Jeong Jedu increased, his family had grown up as a Soron core family. Jeong Jedu was a son-in-law of Yun Honggeo and Seo Hanju. And Jeong Huil, Jeong Jedu’s son, was a son-in-law of Yi Dansang and Yu Chunyang. Futhermore Jeong Jiyun, Jeong Jedu’s grandson, was a son-in-law of Yi Jingseong. Yun Honggeo and Seo Hanju were Seoin and Yi Dansang was Seoin-Noron and Yi Jingseon was Soron. Through this, it can be said that Jeong Jedu’s family was a Seoin family to include both Noron and Soron until Jeong Huil was married, but since then this family had become a Soron. This tendency can be seen from the son-in-law of this family.
      Jeong Jedu’s son-in-law is Yi Jingseong and Jeong Huil’s son-in-law is Yi Gwangmyeong, Yi Gyeongho, Im Dalho, Sin Daeu and Yi Yeongik. They were all Sorons. But Yi Gwangmyeong and Yi Yeongik were a Junso(峻少) and Yi Gyeongho was a Wanso(緩少). Since Jeong Jedu was highly reputed as a scholar of Soron, his family became the Soron core family that could include both Junso and Wanso. Looking at cemetery writers, this tendecy is evident.
      Jeong Sangjing’s cemetery was written by Yun Jueng, Jeong Jedu. And Jeong Jedu’s cemetery was written by Sin Daeu. Furthermore Jeong Huil’s cemetery was written by Yun Dongdo and Yi Chungik. This family’s cemetery was written by Soron. Except Yoon Dong-do, they were all relatives.
      To summarize, Jeong Jedu’s human network shows the tendency of “Seoin+Namin→Seoin(Noron+Soron)→Soron(Junso+Wanso)”.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I. 머리말
      • II. 정제두 이전 가문의 인적네트워크
      • III. 정제두 가계의 인적네트워크
      • IV. 맺음말
      • 【요약문】
      • I. 머리말
      • II. 정제두 이전 가문의 인적네트워크
      • III. 정제두 가계의 인적네트워크
      • IV.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