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의 영화는 대중적, 종합적 예술뿐만 아니라 문화적 상품으로 국가의 중요한 전략사업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영화 산업의 현실은 결코 만족스럽지 못한 입장에 위치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3622388
서울 : 檀國大學校 經營大學院, 1995
학위논문(석사) --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 경영학과 예술경영전공 , 1996. 2
1995
한국어
한국 영화 ; 소비자 태도 ; 예술경영 ; Korean Movies
326.16 판사항(4)
서울
vi, 91p. : 삽도 ; 27cm
참고문헌: p. 76-7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의 영화는 대중적, 종합적 예술뿐만 아니라 문화적 상품으로 국가의 중요한 전략사업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영화 산업의 현실은 결코 만족스럽지 못한 입장에 위치해...
오늘날의 영화는 대중적, 종합적 예술뿐만 아니라 문화적 상품으로 국가의 중요한 전략사업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영화 산업의 현실은 결코 만족스럽지 못한 입장에 위치해 있다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국 영화 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진단하고자 우리나라 영화시장의 주요 관람객을 차지하고 있으며 영화에 대한 문제성을 인식하고 자신의 의사를 자유롭게 표현하는 20대 층을 대상으로 한국 영화에 대한 소비자 태도를 실증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250부의 설문지를 직접 면접을 통해 조사하였으며 이중 이용 가능한 214부의 설문지를 SPSS PC^(+) 통계 팩키지를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빈도분석, 그리고 교차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년간 한국 영화 관람 횟수는 2회 이내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한국영화에 대해 감명이나 공감을 받은 경험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한국 영화의 선택기준에 있어서 감독과 배우의 비중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한국 영화에 대하여 보통 이상의 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한국영화에 대한 선입감은 기대이하로 분석되었다.
넷째, 한국 영화 홍보의 효과성이 비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한국 영화 대한 사전심의 정도가 규제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섯째, 외국영화 수입개방은 다른 부분보다도 사회적, 문화적 측면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되었다.
일곱째, 앞으로 제작되어지길 바라는 한국 영화 정치적, 사회적 소재를 가진 영화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끝으로 연령에 따른 한국 영화와의 관계를 보면 다음과 같다.
-. 한국 영화에 대한 관심은 연령에 관계없이 기대이상의 관심을 보이고 있다.
-. 스크린쿼터제도에 관해서는 연령에 관계없이 현재 수준 유지가 높은 비율을 나타냈지만 29세∼30대 남성은 확대하자는 비율이, 20세∼22세 여성은 축소하자는 비율이 다소 높게 분석되었다.
-. 한국영화발전을 위해 개선되어야 할 부분으로는 20세∼22세 여성과 25세∼26세 남성이 뚜렷한 주제의식을 부각해야 한다고 분석되었고 그 외에는 전문성(기술성) 측면이 개선되어야 한다고 분석되었다.
-. 한국영화지원정책에 대해서는 연령에 관계없이 보통 이하의 비효과적이라고 분석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owadays the movies are not the popular & synthetic art, but also the important strategic business of the nation as cultural goods. But the state of our nation's movie industry is not at all in the satisfactory situation Therefore to recognize and ana...
Nowadays the movies are not the popular & synthetic art, but also the important strategic business of the nation as cultural goods. But the state of our nation's movie industry is not at all in the satisfactory situation Therefore to recognize and analyze the problems for Korean movie industry, this thesis analyzed the consumer's attitude to Korean movies through 20s who consist of most of movie-goers, conceive the problems of movies and feel free to speak out their own opinions.
For an actual proof, 250 questionnaire of survey sheet were analyzed by person-to-person interview, and 214 pieces available among them were analyzed statistically analyze through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utilizing SPSS PC^(+) statistics package.
The main ideas of this study go as followings.
First,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y almost go to movies less than twice a year, it is said that they had many experiences that they were moved and impressed much by the Korean movies.
Second, they choose the movies by the standard of who are directors and actors.
Third, they hard interests more than usual in the Korean movies, but their preoccupation about them are analyzed to be less than expected. Fourth, it is said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Korean movies' PR is infective.
Fifth, it is observed that the pre-review of Korean movies is regulatory. Sixth, they say the opening of foreign movie importation will have move effect on social & cultural aspects than any other.
Seventh, most of them hope that Korean movies will be dealt with by political and social materials, in a great proportion.
finally, the reaction between Korean movies and ages is as following.
-They are more interests than expected in the Korean movies, regardless of ages.
-About the screen-quota system, it says that apart form ages, a great proportion hope the present standard will keep going, but the preportion was great that males of 29-30 want to enlarge it, and females of 20-22 want to diminish it.
-It says thath to develop the Korean movies females of 20-22 and male of 25-26 insist on reveal the distinctive main idea and others say the special aspects(technological) should be improved.
-According to the survey, they say the policy of Korean movie support is ineffective less than ordinary regardless of age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