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고경력 보육교사가 직무에 대해 느끼는 고민과 요구를 분석하여 고경력 보육교사의 현실을 개선하는 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10년 이상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407570
201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05-333(29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고경력 보육교사가 직무에 대해 느끼는 고민과 요구를 분석하여 고경력 보육교사의 현실을 개선하는 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10년 이상의 ...
본 연구는 고경력 보육교사가 직무에 대해 느끼는 고민과 요구를 분석하여 고경력 보육교사의 현실을 개선하는 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10년 이상의 보육경력을 가진 10명의 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고, 2017년 4월 19일부터 10월 19일까지 약 6개월간 예비면담, 1·2차에 걸친 심층 개별면담, 연구자의 저널 등을 가지고 수집 분석하였다. 자료를 통해 연구한 결과, 고민으로는 의미 없는 고경력 - “빛 좋은 개살구” / 경력 : 업무=비례적 관계 - “많은 업무가 버거워요” / 관계에 대한 어려움 / 고경력에 대한 기대치 - “무겁기만 한 어깨” / 부당한 대우 / 불확실한 미래 - “비전이 없어요”/ 초심을 잃어버린 교사 - “정지된 나”로 나타났으며, 요구로는 전문적 교사양성 - “배움의 기회가 필요해요” / 안정된 직업에 대한 보장 / 고경력에 대한 편견 개선요구 - “신뢰와 인정받는 교사로” / 정당한 급여 - “급여체계의 통일화”/ 보육인력 필요 - 대체교사의 확대 / 경력에 따른 맞춤 복지 - “삶의 질이 높아지는 교사” / 고경력 교사에 대한 심리적 지원 - “전문적 멘토가 필요해요”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cerns and demands of highly experienced childcare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aimed to provide the basic data needed for understanding and improving the reality of highly experienced child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cerns and demands of highly experienced childcare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aimed to provide the basic data needed for understanding and improving the reality of highly experienced childcare teacher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included 10 teachers with more than 10 years of care experience and the data were collected by pre-interviews for 6 months from April to October, 2017.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pre-interview, 2 times in-depth individual interview, and researcher journal.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ncerns that the teachers had were as following: Meaningless high-career, “Appearance is deceptive”; Experience: workload = proportional relationship, “Many tasks are heavy”; Difficulty in relationship; Expectations for high-career - “Heavy shoulder”; Unfair treatment; Uncertain future, “I have no vision”; Teachers who lost their first intention, “Paused myself”. The demands of teachers were found as following: Professional teacher training, “I need a chance to learn”; Guaranteed for a stable job; Need to improve prejudice against high-career, “Teacher who get trust and recognition”; Fair payment, “Unification of payment system”; Need for nursery staff, “Expansion of alternative teachers”; Customized welfare by career, “Teacher with high-quality life”; Psychological support for highly experienced childcare teacehrs, “I need a professional mentor”.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Todd, W., "훌륭한 교사는 무엇이 다른가" 지식의 날개 2009
2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아카데미프레스 2012
3 고미영, "질적연구방법" 청목 2012
4 이미화, "육아지원인력의 재교육 실태 및 개선방안연구" 육아정책개발센터 2008
5 최윤경, "육아지원인력 체계의 통합추진을 위한 단․중기 전략" 육아정책연구소 2011
6 김은영, "육아지원서비스 질 제고를 위한 인력 운영개선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1
7 권혜진, "유치원 초임교사와 경력교사의 협력적 멘터링 적용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8 황은희, "유치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요구-유치원 예비교사, 초임교사, 저경력교사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9 정순경, "유아교육자의 삶과 정체성의 변화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1 (21): 155-184, 2016
1 Todd, W., "훌륭한 교사는 무엇이 다른가" 지식의 날개 2009
2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아카데미프레스 2012
3 고미영, "질적연구방법" 청목 2012
4 이미화, "육아지원인력의 재교육 실태 및 개선방안연구" 육아정책개발센터 2008
5 최윤경, "육아지원인력 체계의 통합추진을 위한 단․중기 전략" 육아정책연구소 2011
6 김은영, "육아지원서비스 질 제고를 위한 인력 운영개선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1
7 권혜진, "유치원 초임교사와 경력교사의 협력적 멘터링 적용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8 황은희, "유치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요구-유치원 예비교사, 초임교사, 저경력교사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9 정순경, "유아교육자의 삶과 정체성의 변화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1 (21): 155-184, 2016
10 최정인, "유아교육기관 경력교사들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11 신은경, "유아교육기관 경력교사 지원체제로서의 집단 멘토링의 의미 탐색"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2 권화숙,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 인생관, 교사효능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소진과 사회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2 (22): 379-401, 2017
13 김희태, "유아교사의 갈등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8 (8): 5-34, 2004
14 황경애, "영유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44 : 76-95, 2005
15 서문희, "어린이집 인건비 지원의 합리화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 보건복지부 2012
16 신광순, "어린이집 유형과 보육교사 경력에 따른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의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7 보건복지부, "어린이집 연도별 보육교직원 현황"
18 김은숙, "어린이집 교사의 삶에 대한 자전적 탐구"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9 김송이, "서울시 보육교사 역량강화를 위한 재교육 실태 및 개선방안연구" 서울시여성가족재단 2014
20 안현미, "서울시 보육교사 근로환경 개선방안 연구" 서울시여성가족재단 2013
21 하수경, "사립유치원 경력교사가 교직생활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지원 요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22 여성가족부, "보육시설종사자 직무 및 근로환경 실태분석" 여성가족부 2006
23 여성가족부, "보육시설종사자 경력 및 호봉체계 개선방안연구" 여성가족부 2007
24 최윤경, "보육교직원 보수체계 개선방안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011
25 오경희, "보육교사의 직무현황과 책임성 인식에 관한 연구" 2 (2): 147-174, 2006
26 권영주,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직장 내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27 김현진, "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에 대한 연구 - 교사의 개인적 변인(연령, 학력 및 전공, 자격유형, 과거 직업유형)을 중심으로 -" 한국교원교육학회 25 (25): 239-259, 2008
28 송미선, "보육교사의 인적배경 및 보육시설의 특성에 따른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교육과학연구소 36 (36): 143-159, 2005
29 이병록, "보육교사의 인간관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3 (13): 1-21, 2011
30 임숙이,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결정요인 연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05
31 유미나, "보육교사의 소진과 관련된 직무만족도와직장 내 사회적 지지" 한국생애학회 3 (3): 73-85, 2013
32 김화선, "보육교사의 사회적 편견 연구"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8 (8): 269-286, 2017
33 이지현, "보육교사의 근무환경과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34 유희정, "보육교사의 근무환경 및 직무실태 분석" 한국여성개발원 2004
35 김윤섭, "보육교사론" 박영스토리 2014
36 박소영, "보육교사로 살아가는 힘에 관한 이야기 : 10년 이상 경력교사들의 이야기"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7 정지은, "보육교사 직무 실태에 대한 연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8 김인숙, "교사의 팔로우십 유형에 따른 원장-교사 교환관계·자아탄력성·조직문화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9
39 김현정, "공립유치원 교사가 인식한 현장문제에 관한 연구 : 문제 발생 빈도와 어려움 정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0
40 류해경, "공립유치원 고경력교사가 인식한 교직갈등의 요인 및 갈등 정도" 14 (14): 1-18, 2008
41 전복희, "공립유치원 경력교사의 어려움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42 김경애, "고경력 유아교사의 삶: 교사실존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33 (33): 267-296, 2016
43 김양은, "고경력 보육교사의 교직생활 어려움과 이탈위기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375-403, 2017
44 정다운, "경력교사가 지각한 보육시설 조직커뮤니케이션이 교사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소 41 (41): 115-133, 2010
45 노길영, "경력 유치원 교사를 통해 본 교사 발달의 제요인 및 유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46 이순영, "강원도 보육교사의 근무환경 개선방안" 강원발전연구원 2007
47 Huberman, M., "The professional life cycle of teachers" 91 (91): 31-57, 1989
48 Saracho, O. N., "Professionalism and the prepa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ractitioners" 89 (89): 1-17, 1993
49 서문희, "2013 보육정책의 성과와 과제" 육아정책연구소 2013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직업선택동기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어머니 행복감, 교사-유아 친밀관계, 유아 자아존중감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영아반 교사의 직무만족, 행복감이 교사 민감성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3-2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열린유아교육학회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35 | 2.35 | 2.3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52 | 2.45 | 2.634 | 0.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