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투자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벤처캐피탈은 펀드결성 확대와 신규 투자증가를 통해 투자성과 극대화를 위해서 자생력을 갖추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최근 벤처투자시장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962638
천안 :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2023
학위논문(박사) --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 벤처경영학과 벤처경영전공 , 2024. 2
2023
한국어
충청남도
180 ; 26 cm
지도교수: 하규수
I804:44018-20000073249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벤처투자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벤처캐피탈은 펀드결성 확대와 신규 투자증가를 통해 투자성과 극대화를 위해서 자생력을 갖추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최근 벤처투자시장의...
벤처투자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벤처캐피탈은 펀드결성 확대와 신규 투자증가를 통해 투자성과 극대화를 위해서 자생력을 갖추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최근 벤처투자시장의 급격한 성장에 따른 인력부족 현상으로 벤처캐피탈리스트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벤처캐피탈리스트의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분석은 논의된 바가 없으며 방법적인 측면에서 해답을 찾기에는 어려움이 따르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궁극적으로 벤처캐피탈의 투자성과를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벤처캐피탈리스트의 고유업무인 투자심사에 있어서 권한위임, 보상시스템, 신뢰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벤처캐피탈리스트로서 직무적합성이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매개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벤처캐피탈리스트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투자심사 권한위임은 직무적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투자심사 권한위임과 내부 의사결정 참여가 직무성과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직 내부 의사결정과정에 있어 의견 개진의 자유도와 의견반영 수용도가 높을수록 벤처캐피탈리스트가 느끼는 평가 우수성이 높아져 벤처캐피탈 직무적합도와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신뢰성 중 동료신뢰는 직무적합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조직신뢰, 동료신뢰는 직무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적합성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서 벤처캐피탈리스트의 직무적합성이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직무적합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의사결정 참여도와 동료신뢰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벤처캐피탈리스트의 직무적합성을 매개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벤처캐피탈리스트의 직무역량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벤처캐피탈의 직무환경과 조직문화 개선 및 최적의 벤처캐피탈리스트 육성과 역량강화가 벤처투자 성과에 중요한 작용을 한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venture investment market expands, venture capital‘s have been focusing on enhancing its self-sustainability through increased fund formation and new investments to maximize investment performance. However, the recent rapid growth in the vent...
As the venture investment market expands, venture capital‘s have been focusing on enhancing its self-sustainability through increased fund formation and new investments to maximize investment performance.
However, the recent rapid growth in the venture investment market has intensified the importance of venture capitalists due to the shortage of human resources.
There were not many studies on the job performance of venture capitalists and methodological solution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se factors and ultimately propose effective strategies to enhance the investment performance of venture capital.
This research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impact of empowerment in investment review, compensation systems and reliability on the job performance of venture capitalists as well as the role of job suitability in mediating these factors.
The study involved a survey conducted among venture capitalists. The results show that empowerment in investment examination significantly affects job suitability and both empowerment and participation in internal decision-making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job performance.
Notably higher levels of freedom to express opinions and acceptance of these opinions in the internal decision-making process significantly influence the perceived excellence in evaluation thereby impacting job suitability and performance of venture capitalists.
Trust in colleagues a component of reliability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s job suitability and both organizational and colleague trust positively impact job performance.
The study finds that job suitability significantly positively influences job performance highlighting its role in positively affecting job performanc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uitability was observed in how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and colleague trust impact job performance. This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the job competence of venture capitalists in influencing performance outcomes.
The study offers insights into the significance of improving the job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culture in venture capital and the crucial role of developing and enhancing the capabilities of Venture Capitalists in boosting venture investment performance.
목차 (Table of Contents)
1 한국벤처캐피탈협회, "2023 KVCA YEARBOOK", 서울: 한국벤처 캐피탈협회, 2023
2 Hackman, B. K., & Dunphy, D. C., "Managerial delegation", 5, pp. 35-57, 1990
3 Shapiro, D. L., Sheppard, B. H., & Cheraskin, L., "Business on a handshake", 8, 365, 1992
4 한국벤처캐피탈협회, "Venture Capital Market Brief", 한국벤처캐 피탈협회, 2023(1), 2023
5 양혁승, 이학종,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서울: 도서출판 오래), 2012
6 Atkinson, S., Butcher, D., "Trust in managerial relationships", 18(4), pp. 282-304, 2003
7 Robbins, S. P., & Judge, T., "Essentials of organizational behavior", 11th edition, 2011
8 Fukuyama , F., "Social Capital and The Global Economy", 74, 89, 1995
9 Yazdani, N., & Murad, H. S., "Toward an ethical theory of organizing", 127(2), pp. 399-417, 2015
10 Bartoli, A. & Blatrix, C., "Management dans les organizations publiques", 4ème édition, 2015
1 한국벤처캐피탈협회, "2023 KVCA YEARBOOK", 서울: 한국벤처 캐피탈협회, 2023
2 Hackman, B. K., & Dunphy, D. C., "Managerial delegation", 5, pp. 35-57, 1990
3 Shapiro, D. L., Sheppard, B. H., & Cheraskin, L., "Business on a handshake", 8, 365, 1992
4 한국벤처캐피탈협회, "Venture Capital Market Brief", 한국벤처캐 피탈협회, 2023(1), 2023
5 양혁승, 이학종,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서울: 도서출판 오래), 2012
6 Atkinson, S., Butcher, D., "Trust in managerial relationships", 18(4), pp. 282-304, 2003
7 Robbins, S. P., & Judge, T., "Essentials of organizational behavior", 11th edition, 2011
8 Fukuyama , F., "Social Capital and The Global Economy", 74, 89, 1995
9 Yazdani, N., & Murad, H. S., "Toward an ethical theory of organizing", 127(2), pp. 399-417, 2015
10 Bartoli, A. & Blatrix, C., "Management dans les organizations publiques", 4ème édition, 2015
11 Sonnentag, S., & Frese, M., "Performance concepts and performance theory", 23(1), pp. 3-25, 2002
12 Williamson, O. E., "Calculativeness, trust, and economic organization", 36(1, Part 2), pp. 453-486, 1993
13 Shockley-Zalabak P, Ellis K, Winograd G., "Organizational trust: What it means, why it matters", 18(4), 35, 2000
14 Cropanzano , R. & Mitchell , M. S., "Social exchange theory : An interdisciplinary review", 31(6), pp. 874-900, 2005
15 Campbell-Evans, G., "Partners in teacher education: a programme in Alberta", 18(2), pp. 23-27, 1993
16 Campbell, J. Y., Grossman, S. J., & Wang, J, "Trading volume and serial correlation in stock returns", 108(4), pp. 905-939, 1993
17 이경원, "벤처캐피탈 회사의 보상체계와 투자행태", 經濟分析, 10(1), pp. 82-106, 2004
18 Colombo, M. G., Cumming, D. J., & Vismara, S., "Governmental venture capital for innovative young firms", 41, pp. 10-24, 2016
19 최현희, "국내 벤처펀드의 성과지속성에 관한 연구", 고려대 박사학 위논문, 2020
20 Conger , J . A. , & Kanungo , R. N., "The empowerment process :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13(3), pp. 471-482., 1988
21 Burke, C. S., Sims, D. E., Lazzara, E. H., & Salas, E., "Trust in leadership: A multi-level review and integration", 18(6), pp. 606-632, 2007
22 Hassan, S., Mahsud, R., Yukl, G., & Prussia, G. E., "Ethical and empowering leadership and leader effectiveness", 28(2), pp. 133-146, 2013
23 박현일, 홍효석, 이원기, 서란주, "내 외재적 동기유발과 보상시스템의 관련성", 지역산업연구, 37(4), pp. 259-281, 2014
24 Simon, G., & Zhow, E., "Can corporate sustain ability influence employee engagement", 8(2), pp. 284-293, 2018
25 Ugoani, J., "Effective Delegation and its impact on employee Performance", 6(3), pp. 78-87, 2020
26 Streiner, "Figuring out factors: the use and misuse of factor analysis", 39(3), pp. 135-140, 1994
27 Tian, X., & Zhai, X, "Employee involvement in decision-making: the more the better", 40(4), pp. 768-782, 2019
28 Miloud, T., Aspelund, A., & Cabrol, M., "Startup valuation by venture capitalists: An empirical study", 14(2-3), 151-174, 2012
29 Liu, Z., & Chen, Z, "Venture Capital Networks and Investment Performance in C hina", 53(1-2), pp. 97-111, 2014
30 Schwienbacher, A, "Venture capital exits. Venture Capital: Investment Strategies", pp. 387-405, 2010
31 이승계, "성과주의 보상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인적자원 관리연구, 20(3), pp. 187-208, 2013
32 김도성, 안성필, "한국 대학벤처캐피탈의 투자성과에 대한 연구", 벤 처창업연구, 15(1), pp. 17-2, 2020
33 Hiltz, S. R., Johnson, K., "User satisfaction with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systems", 36(6), pp. 739-764, 1990
34 김현정, 허은전, 박수경, "원격 근무환경 내 동료 신뢰와 지식공유의 관계", 창조와혁신, 15(4), pp. 169-207, 2022
35 Burnes, B., "Understanding resistance to change–building on coch and French", 15(2), pp. 92 –116, 2015
36 김원배, 이창대, "성과측정치, 권한위임, 그리고 성과에 관한 연구", 상업교육연구, 22, pp. 201-222, 2008
37 Granovetter , M., "Economic action and social structure : The problem of embeddedness", 91(3), pp. 481-510, 1985
38 Hollander, E. P., & Offermann, L. R., "Power and leadership in organizations: Relationships in transition", 45, pp. 179-189, 1990
39 Strange, J. M., & Mumford, M. D., "The origins of vision: Effects of reflection, models, and analysis", 16(1), pp. 121-148, 2005
40 Tzafrir, S. S.,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HRM practices and firm performance", 16(9), pp. 1600-1622, 2005
41 Tetrick, L. E., Wong, C. M., "Job crafting: older workers’ mechanism for maintaining person-job", 8, 2017
42 Yukl, G., "Leading organizational learning: Reflections on theory and research", 20(1), 49-53, 2009
43 권정숙, 류성민, "비전만족도의 선행요인 및 결과 요인에 관한 연 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3(3), pp. 127-158, 2009
44 Glikson, E., Woolley, A. W., "Human trust in artificial intelligence: Review of empirical research", 14(2), pp. 627-660, 2020
45 Cable, D. M., DeRue, D. S.,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subjective fit perceptions", 87(5), p. 875, 2002
46 Bretz, R. D., and Judge, T. A, "The role of human resource systems in job applicant decision processes", 20, pp. 531–551, 1994
47 Berson, Y., Shamir, B., Avolio, B. J., & Popper, M.,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on strength, leadership style, and context", 12(1), pp. 53-73, 2001
48 Gulati, R., Mikhail, O., Sittig, D. F., Morgan, R. O., "Vision statement qual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US hospitals", 61(5), pp. 335-350, 2016
49 박지영, 신현한, "벤처캐피탈 투자가 벤처기업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벤처창업연구, 15(1), pp. 1-15, 2020
50 백유성, "동료신뢰성, 조직신뢰, 조직시민행동간의 구조적 관계", 경 영과 정보연구, 35(4), pp. 155-168, 2016
51 한국벤처캐피탈협회, "한국벤처캐피탈협회 30년사, Korean Venture Capital Association", 서울: 한국벤처캐피탈협회, 2019
52 Černe, M., Jaklič, M., & Škerlavaj, M., "Authentic leadership, creativity, and innovation: A multilevel perspective", 9(1), pp. 63-85, 2013
53 구중회, 이수용, 백지연, 김영준, 김도현, "한국 벤처캐피탈리스트의 투자결정에 미 치는 요인 연구", 벤처창업연구, 14(4), pp. 1-18, 2019
54 Ryan , R. M. , & Deci , E. L.,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 Classic definitions and new directions", 25(1), pp. 54-67, 2000
55 Edwards, I. R., Shipp, A. I,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environment fit and outcomes: An integrative", 209, pp. 109-142, 2007
56 Mishra, J., & Morrissey, M. A, "Trust in employee/employer relationships: A survey of West Michigan managers", 19(4), pp. 443-486, 1990
57 Herz, M., Hutzinger, C., Seferagic, H., & Windsperger, J, "Trust, decision rights delegation, and performance—The case of franchising", 54(3), pp. 973-991, 2016
58 Sharma, A. K., "Venture capitalists' investment decision criteria for new ventures: a review", 189, pp. 465-470, 2015
59 김현진, 최원주, "경영자 재량권과 개인별 보상을 이용한 성과-보상 민감도", 대한경영학회지, 30(2), pp. 203-229, 2017
60 MacMillan, I. C., Kulow, D. M., & Khoylian, R., "Venture capitalists' involvement in their investments: Extent and performance", pp. 245-265, 2022
61 Monika, & Sharma, A. K., "Venture Capitalists’ Investment decision criteria for new ventures: A Review", 189, pp. 465-470, 2015
62 Bashshur, M. R., & Oc, B, "When voice matters: A multilevel review of the impact of voice in organizations", 41(5), pp. 1530-1554, 2015
63 문광수, 조항수, 이계훈, 오세진, "임금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조직 신뢰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7(3), pp. 585-615, 2014
64 Neely, A. D., Adams, C., & Kennerley, M., "The performance prism: The scorecard for measuring and managing business success", pp. 159-160, 2002
65 Fernandez, S., & Moldogaziev, T., "Using employee empowerment to encourage innovative behavior in the public sector", 23(1), pp. 155-187, 2013
66 서성용, 조준희, "윤리적 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매개효 과", 전문경영인연구, 20(3), pp. 197-212, 2017
67 Smith, P. A., & Birney, L. L., "The organizational trust of elementary schools and dimensions of student bullying", 19(6), pp. 469-485, 2005
68 Kara, B. K., Sarıkaya, Ş., "Organizati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support as a predictor of job satisfaction", 12, pp. 435-466, 2020
69 구본기, 기은혜, "항공사 종사원의 신뢰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29(2), pp. 237-257, 2014
70 구경철, "AHP를 활용한 벤처캐피탈의 투자결정모형 도출 및 타당 성 분석",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71 Maynard, M. T. Luciano, M. M. Innocenzo, L. D. Mathieu, J. E. Dean, D. and Dean. M. D., "Modeling time-lagged reciprocal psychological-empowerment performance: Relationships", 99, pp. 1244-1253, 2014
72 Peng, Y., & Mao, C., "The impact of person–job fit on job satisfaction: the mediator role of Self efficacy", 121, pp. 805-813, 2015
73 Jain, B. A., & Kini, O, "Venture capitalist participation and the post-issue operating performance of IPO firms", pp. 397-410), 2022
74 Aydin Kucuk, B, "Work flow experience in the light of leader-member exchange and person-job fit theories", 125(1), pp. 464-497, 2022
75 Huang, W., Yuan, C., & Li, M., "Person–job fit and innovation behavior: roles of job involvement and career commitment", 10, 1134, 2019
76 Pierce, J. L., M. P. O'driscoll and A. M. Coghlan, "Work environment structure and psychological ownership: The mediating effects of control", 144(5), pp. 507-534, 2004
77 김진희, 이철영, "광고 크리에이터들의 다중지능적 성향과 직무적합 도에 관한 연구",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9(11), pp. 1165-1175, 2019
78 Savaneviciene, A., Venckuviene, V., & Girdauskiene, L., "Venture capital a catalyst for start-ups to overcome the Valley of death: Lithuanian case", 26, pp. 1052-1059, 2015
79 Lauver , K. J. , & Kristof-Brown , A ., "Distinguishing between Employees ' Perceptions of Person-Job and Person-Organization Fit .", 59(3), pp. 454-470, 2001
80 Jing, F. F., Avery, G. C., & Bergsteiner, H., "Enhancing performance in small professional firms through vision communication and sharing", 31(2), pp. 599-620, 2014
81 Borman , W. C. , & Motowidlo , S. J, "Task performance and contextual performance : The meaning for personnel selection research", 10(2), pp. 99-109, 1997
82 Baumeister, R. F., Leary, M. R., "The need to belong: Desire for interpersonal attachments as a fundamental human motivation", 57-89, 2017
83 이은국, "해석수준에 따른 비전소통, 변혁적 리더십, 그리고 성과 간 의 관계,", 제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84 Bora, B., Chungyalpa, W., Borah, S., "Crafting strategic objectives: Examining the role of business vision and mission statements", 6(1), pp. 1-6, 2017
85 Magnan, M., Martin, D., "Executive compensation and employee remuneration: The flexible principles of justice in pay", 160, pp. 89-105, 2019
86 Liao, K. H., & Huang, I. S., "Impact of vision, strategy, and human resource on nonprofit organization service performance", 224, pp. 20-27, 2016
87 구중회, "한국 벤처캐피탈리스트의 투자의사 결정 기준 및 중요도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22
88 Barsky, A,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Moral Disengagement and Participation on Unethical Work Behavior", 104(1), pp. 59-75, 2011
89 Kauppinen, M., von Bonsdorff, M. B., Zhou, Z. E., Von Bonsdorff, M. E., Vanhala, S., Rantanen, T., Miettinen, M., "Organizational justice, selection, optimization with compensation, and nurses’ work ability", 56(3), pp. 326-330., 2014
90 Kurtessis, J. N., Eisenberger, R., Ford, M. T., Buffardi, L. C., Stewart, K. A., & Adis, C. 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 meta-analytic evalua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theory", 43(6), pp. 1854-1884, 2017
91 김소연, 이광용, 신현한, "벤처캐피탈 투자기업의 성과에 관한 연구: 코스닥 IPO 기업을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14(2), pp. 15-30, 2019
92 이미혜, 장혜진, "컨벤션 종사자의 조직신뢰가 직무만족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연구", 관광연구, 30(2), pp. 375-399, 2015
93 McAllister , D. J, "Affect-and cognition-based trust as foundations for interpersonal cooperation in organizations", 38(1), pp. 24-59, 1995
94 강민형, 오인하, 김성준, "벤처캐피탈 공동투자 네트워크가 벤처캐피 탈 투자성과에 미치는 영향", 중소기업연구, 39(4), pp. 1-22, 2017
95 김기영, 김재곤, "여행사종사원의 보상요인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에 미치는 영향 연구", 관광연구저널, 30(7), pp. 49-63, 2016
96 유두호, 최정윤, "지방정부 신뢰의 결정요인: 지역변화와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학연구, 40(2), pp. 35-71, 2021
97 Stouten, J., Rousseau, D. M., & De Cremer, D., "Successful organizational change: Integrating the management practice and scholarly literatures", 12(2), pp. 752-788, 2018
98 신혜란, 한인구, 주지환, "벤처캐피탈 투자에 따른 코스닥 상장기업의 상장실적 및 경영성과 분석", 벤처창업연구, 17(2), pp. 33-51, 2022
99 Carton, A. M., Murphy, C., & Clark, J. R., "A (blurry) vision of the future: How leader rhetoric about ultimate goals influences performance", 57(6), pp. 1544-1570, 2014
100 Chow, I. H. S., Wong, Y. Y., Lau, V. P., Gong, Y, "Benefits of team participative decision making and its potential to affect individual creativity", 48(7), pp. 369-376, 2018
101 김민경, 신제구,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동료 신뢰의 조절 효과", 교육컨설팅코칭연구, 3(2), pp. 5-22, 2019
102 Mayer , R. C. , Davis , J. H., "The Effect of the Performance Appraisal System on Trust for Management : A Field Quasi-experiment", 84(1), 123, 1999
103 권흥순, 윤병섭, "벤처캐피탈의 투자성과 분석: 정부벤처캐피탈과 민 간벤처캐피탈의 비교", 금융공학연구, 18(1), pp. 167-192, 2019
104 박경태, 이석만 , "외식기업 종사원의 조직신뢰가 조직몰입과 조직시민 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저널, 29(9), pp. 233-244, 2015
105 조윤형, "직장내 괴롭힘, 직업소명의식, 개인-직무 적합성과 고객지 향성과의 관계", Journal of Corporation and Innovation, 46(2), pp. 109-128, 2023
106 Zhang, X, Qian, J. Wang, B, Jin, Z, Wang, J. and Mang, X, "Leaders' Behaviour Matter. The Role of Delegation in Promoting Employees Feedback-seeking Behaviour", 8(920), pp. 1-10, 2017
107 Kurniawan, J. E., Rahmayanti, N., "Relationship between person job fit and psychological ownership in the successor of family business", pp. 64-71, 2020
108 Ismail, E. A., Medhat, M. I., "What determines Venture Capital investment decisions? Evidence from the emerging VC market in Egypt", 21(2), 1, 2019
109 이영민, "벤처캐피탈 투자심사역의 직무환경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 에 미치는 영향",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110 Cumming, D. J., Grilli, L., & Murtinu, S., "Governmental and independent venture capital investments in Europe: A firm-level performance analysis", 42, pp. 439-459, 2017
111 Iqbal, Q, "Job-Craft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erson-Job Fit as Moderator in Banking Sector of Pakistan", 3(12), 2016
112 Bui, H. T., Zeng, Y., & Higgs, M., "The role of person-job f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engagement", 32(5), pp. 373-386, 2017
113 도명록, 심희섭, "리더십, 심리적 권한위임 및 직무만족의 관계: 공 사조직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인사행정학회보, 19(4), pp. 29-59, 2020
114 이정언, 조신, "보상시스템의 유형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중국 기업구성원을 대상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3), pp. 393-400, 2014
115 박성민, 천보영, 이희수, "조직과 개인특성이 직무적합성을 통해 경력 몰입과 경력만족에 미치는 영향", HRD 연구, 14(2), pp. 7-78, 2012
116 박범진, "경영자 초과보상이 CSR 성과에 미치는 영향: 가족기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영교육연구, 32(3), pp. 93-114, 2017
117 강미라, "권한위임 리더십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창의성의 조 절효과를 중심으로", 서비스경영학회지, 18(5), pp. 45-67, 2017
118 이병관, "리조트 기업의 조직비전과 종사자의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 와의 구조적 관계", 관광레저연구, 31(3), pp. 203-217, 2019
119 엄영호, 유두호, "사회적 기업 역할 및 영역 확대의 필요성 분석: 국 회의원의 신뢰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34(2), pp. 87-117, 2020
120 김하은, 이은주, "악재를 경험한 기업의 경영자 이익예측 정확성이 경영자 보상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17(4), 2019
121 Ali, F., Darvishmotevali, M., "Job insecurity, subjective well-being and job performance: The moderating role of psychological capital", 87, 102462, 2020
122 이형우, "공공부문 성과중심 보상제도의 동기부여 효과에 관한 연 구: 조절변수의 탐색", 한국공공관리학보, 30(3), pp. 1-28, 2016
123 Nedkovski, V., Guerci, M., De Battisti, F., & Siletti, E., "Organizational ethical climates and employee's trust in colleagues, the supervisor, and the organization", 71, pp. 19-26, 2017
124 Chua, R. Y. J., Ingram, P. & Morris, M. W., "From the head and the heart: locating cognition- and affect-based trust in managers professional networks", 51(3), pp. 436-452, 2008
125 Chen, Y. S., Lin, S. H., Lin, C. Y., Hung, S. T., Chang, C. W., & Huang, C. W., "Improving green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from green vision and organizational culture perspectives", 27(1), pp. 222-231, 2015
126 김민정, 이영민, "기업의 조직문화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6(3), pp. 229-258, 2019
127 김진모, 박현주, "대기업 근로자의 무형식학습과 학습동기, 상사의 학습지원 및 학습문화의 관계", HRD 연구(구인력개발연구) , 20(2), pp. 25-49, 2018
128 Chuang, A., & Sackett, P. R., "The perceived importance of person-job fit and person-organization fit between and within interview stages", 33(3), pp. 209-226, 2005
129 Braun, S., Peus, C., Weisweiler, S., & Frey, 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job satisfaction, and team performance: A multilevel mediation model of trust", 24(1), pp. 270-283, 2013
130 정기호, "e-Business 종사원이 지각하는 동료신뢰가 팀 몰입과 조 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자상거래학회지, 12(1), pp. 121-138, 2011
131 Liu, S., Hu, J., Li, Y., Wang, Z., & Lin, X, "Examining the cross-level relationship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learning in teams: Evidence from China", 25(2), pp. 282-295, 2014
132 김경수, 최현준, 조환기, 양정윤, "고객불량행동에 의한 종업원 직무스 트레스와 이탈의도 간 권한위임의 조절효과", 호텔경영학연구, 29(7), pp. 37-47, 2020
133 이나영, 천한슬, 조영복, "사회적기업 종사자의 비전공유가 조직사회 화에 미치는 영향-조직건강을 매개로", 경영과 정보연구, 37(1), pp. 75-101, 2018
134 전양우, 하규수, "벤처캐피탈 투자역량이 벤처기업의 투자성과에 영 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21(6), pp. 125-135, 2016
135 조태준, "참여적 의사결정과 직무성과 간 관계에 대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 과 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보, 13(2), pp. 211-239, 2014
136 전무경, "혁신적 업무행동의 강화: 개인-직무적합성의 주효과와 상 사 조망수용의 조절효과", 경영컨설팅연구, 23(2), pp. 179-190, 2023
137 Ng, T. W., "The incremental validity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88, pp. 154-163, 2015
138 정철우, "경찰조직 구성원의 의사결정참여의 직무만족 관계 연구:조 직몰입의 매개효과중심", 치안정책연구, 37(3), pp. 207-234, 2023
139 김지원, "재취업 산재 근로자의 직무적합성이 일자리 만족도 및 자 발적 이직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보, 53(2), pp. 211-248, 2019
140 곽원준, 호민, "직원의 개인-직무 적합성, 직무열의, 동료교환관계가 동료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生産性論集, 30(3), pp. 283-305, 2016
141 Ke, Z, Zheng, X., Yin, H., Liu, Y., "Effects of leadership practices o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The mediating role of trust in colleagues", 17, pp. 521-532, 2016
142 Fogaça, N., Rego, M. C. B., Melo, M. C. C., Armond, L. P., & Coelho Jr, F. A, "Job performance analysis: scientific studies in the main journals of management and psychology from 2006 to 2015", 30(4), pp. 231-247, 2018
143 Williams , L. J. , & Anderson , S. 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predictor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and in-role behaviors", 17(3), pp. 601-617, 1991
144 Ashiq, M., Jabeen, F., & Mahmood, K., "Workplace creativity and job satisfaction of academic librarians: A perspective of distributed leadership theory", 39(3), pp. 500-511, 2023
145 변희섭, 이태식, "개인-직무적합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직무 기반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 9(2), pp. 275-284, 2023
146 김현준, "조직의 교환관계가 조직신뢰와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H자동차의 사례를 중심으로", 동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147 Lu, X., Zhang, Y., Wang, S., Tu, Y., "Differentiating two facets of trust in colleagues: How ethical leadership influences cross-team knowledge sharing", 41(1), pp. 88-100, 2020
148 Kristof‐Brown, A. L., "Perceived Applicant Fit: Distinguishing between recruiters, perceptions of person-job and person-organization fit", 53, pp. 643–671, 2000
149 Biron, M., Boon, C., "Temporal issues in person–organization fit, person–job fit and turnover: The role of leader–member exchange", 69(12), pp. 2177-2200, 2016
150 김범준, 장채욱, "APIM 모형을 활용한 생활체육 동호인 복식 선수 들의 동료신뢰와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83, pp. 299-310, 2021
151 David, K. G., Irakoze, E., "Linking Motivation to Employees’ Performance: The Mediation of Commitment and Moderation of Delegation Authority", 12, 2019
152 최두식, "사회적 지원에 대한 인식이 직무만족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 리더십 유형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153 Guo, C. Y., Yao, J., Ou, A. Y., Ng, J. W. X., Lim, S., "Experienced incivility in the workplace: A meta-analytical review of its construct validity and nomological network", 107(2), 193, 2022
154 김희진, 현성협, 이정실, "공항레스토랑 서비스 품질, 감정반응 및 행동의 도간의 관계 연구 : 보상을 조절효과로", 관광연구, 30(6), pp. 111-129, 2015
155 조태준, "권한위임(delegation)과 개인성과 간 관계에 대한 연구: 개인 특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27(1), pp. 169-202, 2013
156 김승완, 노성민,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적합성과 조직몰입에 따른 잠재계층 전이 양상 및 영향요인 분석", 한국정책연구, 23(2), pp. 89-108, 2023
157 정승철, "직장인의 직무적합도가 번영에 미치는 영향: 일의 의미와 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2(3), pp. 250-260, 2022
158 남정민, 이성호, "창업가 역량이 창업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 는 영향: 직무적합도의 조절효과 검증", 벤처창업연구, 16(4), pp. 85-99, 2021
159 Bouwmans, M., Runhaar, P., Wesselink, R., & Mulder, M., "Fostering teachers' team learning: An interplay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participative decision-making", 65, pp. 71-80, 2017
160 김기근, 조윤형, 문명 , "조직비전이 조직구성원들의 조직변화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한국인사관리학회 학 술대회 발표논문집, 2012(2), pp. 504-520, 2012
161 Suwanti, S., Udin, U., & Widodo, W., "Person-organization fit, person-job fit,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The role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21, pp. 389-402, 2018
162 Jena, L. K., Pradhan, S., & Panigrahy, N. P., "Pursuit of organisational trust: Role of employee engagemen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23(3), pp. 227-234, 2018
163 Arnold, J. A., Arad, S., Rhoades, J. A., & Drasgow, F., "The empowering leadership questionnaire: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new scale for measuring leader behaviors", 21(3), pp. 249-269, 2000
164 Al Farooque, O., Hoang, N., Buachoom, W., "Interactive effects of executive compensation, firm performance and corporate governance: Evidence from an Asian market", 36, pp. 1111-1164, 2019
165 Colombo, M. G., & Murtinu, S., "Venture capital investments in Europe and portfolio firms' economic performance: Independent versus corporate investors", 26(1), pp. 35-66, 2017
166 문성옥, "조직공정성, 동료신뢰와 지식공유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정부출 연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1(7), pp. 194-205, 2021
167 Dhochak, M., & Sharma, A. K., "Integration of factors affecting venture capitalists' investment decision: an interpretive structural modelling approach", 15(1), pp. 38-52, 2016
168 서대석, 조상윤, "사회복지조직의 참여적 의사결정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구 성원 민첩성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1(4), pp. 463-472, 2021
169 Tian, X., Xu, Z., Gu, J., & Herrera-Viedma, E., "How to select a promising enterprise for venture capitalists with prospect theory under intuitionistic fuzzy circumstance", 67, pp. 756-763, 2018
170 김경묵, "종업원 참여가 노동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의사결정 참여 와 성과 참여의 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33(1), pp. 97-123, 2020
171 이하나, 허찬영, "구성원의 의사결정 참여가 조직몰입 및 조직응집 성에 미치는 영향: 시장경쟁도의 조절효과", 인적자원개발연구, 22(1), pp. 157-176, 2019
172 김정기, "전직지원 컨설팅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이 고용가능성과 조직 신뢰,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73 박선대, "조직지원인식과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조직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174 Baruch, Y., Shoaib, S., "Deviant behavior in a moderated-mediation framework of incentives, organizational justice perception, and reward expectancy", 157, pp. 617-633, 2019
175 이종찬, "동료 신뢰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시민행동의 매개효과: 베트남기업을 대상으로", 전문경영인연구, 23(1), pp. 319-332, 2020
176 장동화, "한식 외식산업에서 관리자의 권한위임이 종사자의 직무만 족과 서비스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외식경영연구, 19(3), pp. 145-169, 2016
177 심상신, "스포츠 팀 선수가 지각하는 팀신뢰와 동료신뢰가 긍정심리 자본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 18(1), pp. 735-749, 2020
178 박선규, 정은경, "코칭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조직신뢰의 매개효과와 권력거리성향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 업 및 조직, 34(3), pp. 349-375, 2021
179 김대희, 하규수, "벤처캐피탈의 투자경험과 직무적합도가 펀드결성과 투자수익률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벤처창업연구, 18(4), pp. 37-50, 2023
180 이용기, 남중헌, 김민성, "호텔 구성원의 개인-환경적합이 조직감정 과 종업원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구조모형분석", 호텔경영학연 구, 23(2), pp. 219-237, 2014
181 손하늬, "기업벤처캐피탈(CVC) 투자와 투자기업 혁신 성과 간의 관 계: ESG 리스크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17(2), pp. 195-205, 2022
182 김미옥, 이은실, 김준수, "장애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직무적합성과 직무만족의 관계- 일의 의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 지행정학, 19(3), pp. 33-55, 2017
183 Aghel, M., Hakimzadeh, A., "Investigation on the Effect of Organization's Cooperative Climate in Employees' Involvement: Evidence from Universities in Iran", 11(3), pp. 984-989, 2017
184 방재임, "기업 CoP 에서의 동료 간 신뢰, 권력, 의사소통이 내재동 기와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래교육연구, 10(4), pp. 35-55, 2020
185 김진우, 신만수, "기업의 인적자원관리 제도가 종업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국제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국제경영리뷰, 23(3), pp. 61-92, 2019
186 강희경, 최수형, 권미희, "항공사 안전 풍토가 객실 승무원의 안전시 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상사 및 동료신뢰의 매개효과", 경영과 정 보연구, 40(3), pp. 97-117, 2021
187 이수용, "벤처캐피탈리스트의 의사결정 기준에 관한 연구: 벤처기업 의 불확실성과 창업자의 경험 중요성",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188 Malik, M., Saleem, S., Rasheed, M. I., Okumus, F., "Employee-fit and turnover intentions: The role of job engagement and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in the hospitality industry", 49, pp. 385-395, 2021
189 최유석, 홍대원, "사회복지조직에서 권한위임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장애인 거주시설 중간관리자를 대상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 학, 15(2), pp. 253-286, 2013
190 신제구, 탁제운, 정영재, "참여적 의사결정과 구성원 민첩성 (agility) 의 관계: 역할확장 자기효능감과 성장 마인드셋의 역할", 대한경영 학회지, 32(10), pp. 1727-1757, 2019
191 강희경, 최수형, 안나, "동료에 대한 신뢰가 집단성과에 미치는 영 향-집단지성의 매개효과와 과업상호의존성의 조절효과", 인적자원관리 연구, 22(1), pp. 147-169, 2015
192 이정성, "리더십이 조직구성원 신뢰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SME의 한국과 중국 사업장 비교를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193 김형진, 심덕섭, "변혁적 리더십이 일중독, 직무성과 및 일․ 가정갈등에 미치는 영향: 상사충성도의 조절효과 검증", 경영학연구, 51(3), pp. 761-788, 2022
194 박동현, 전지연,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적합성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과 자아존중감의 이중매개효과", 장애와 고용, 32(4), pp. 49-68, 2022
195 Ben Amara, D., Chen, H., "The impact of participative decision-making on eco-innovation capability: The mediating role of motivational eco-innovation factors", 23, pp. 6966-6986, 2021
196 김영중, 홍윤주, "특급호텔 종사원이 인지하는 심리적 권한위임이 직무만족도,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외식경영연구, 23(5), pp. 53-71, 2020
197 이병주, 장재윤, "변화 필요성 인식, 비전 명확성, 및 임파워먼트가 변화 성과에 미치는 영향: 집합적 정서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지: 산업 및 조직, 24(3), pp. 575-596, 2011
198 Baron , R. M. , & Kenny , D . A,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 strategic ,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6), 1173, 1986
199 이희태, "지방정부의 성과중심적 인사관리의 공정성이 공무원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지방정부연구, 19(3), pp. 53-75, 2015
200 Kouakou, D. C., "Determinants of employees'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in developing countries: Does a firm's formal versus informal status matter", 43(5), pp. 1501-1514, 2022
201 Hadi, N., Minhaj, S., Jamil, A., "Rol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its Components on Organizational Innovation through Employee Engagement: Evidence from Pakistan", 9(3), 2019
202 신인규, 정승철, "개인-직무적합성과 직무성과의 관계에 대한 직무 열의의 매개효과와 일의 의미의 조절된 매개효과연구", 벤처혁신연 구, 3(2), pp. 77-93, 2020
203 김대수, 김영진, "구성원의 의사결정 참여와 정보공유가 조직유효성 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 경영연구, 30(4), pp. 285-319, 2015
204 Belderbos, R., Lokshin, B., Jacob, J., "Corporate venture capital(CVC) investments and technological performance: Geographic diversity and the interplay with technology alliances", 33(1), . 20-34, 2018
205 김원호, 심진예, 박종빈, "중증장애인 경력경쟁채용 공무원의 개인직무적합성과 조직몰입 분석: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장 애와 고용, 31(2), pp. 119-148, 2021
206 봉준호, 이상희, "직원에 대한 회사에서의 신뢰가 고객지향성 및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 외식업체 비정규직을 대상으로", 호텔경영 학연구, 26(3), pp. 131-142, 2017
207 김형진, 심덕섭, "윤리적 리더십이 비윤리 행동, 내부고발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 향 : 개인-조직 적합성의 매개효과 검증", 대한경영 학회지, 32(2), pp. 305-326, 2019
208 강재완, 이형룡, "호텔 직원의 직무불안정성과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성과의 관계: 사내 동호회활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호텔 경영학연구, 22(6), pp. 59-78, 2013
209 최세경, 황혜경,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그룹 일 체성과 조직구성원 간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적자원 관리연구, 22(2), pp. 171-192, 2015
210 이진서, 이홍배, "CEO의 비전설정 행위와 조직성과 간 조직시민행 동의 매개효과 분석: 비전 설정 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산 업경제연구, 26(6), pp. 2875-2902, 2013
211 정용배, "윤리적 판단력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조직동일시 및 조직신뢰의 매개효과와 조직적 지원의 조절효과",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212 김철우, "권한위임이 조직구성원의 독립적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및 다양성 관리와 의사소통 능력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인사 행정학회보, 12(3), pp. 1-21, 2013
213 배재성, 서영욱, "연구개발조직구성원이 인식하는 신뢰, 동료애, 자 부심의 영향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 GPTW 신뢰지수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6), pp. 565-572, 2019
214 김종훈, 남현정, "제조업 사업장 근로자의 경영의 사결정 참여와 품질관 리 개선의 체계화가 혁신활동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 국생산관리학회지, 29(1), pp. 1-21, 2018
215 나용주, "특수전 부대 팀의 셀프리더십, 서번트리더십, LMX가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 조직신뢰, 조직공정성의 매개효과", 서울벤처 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216 남승하, 정종원,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이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과 직 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혁신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 국인사행정학회보, 16(4), pp. 27-55, 2017
217 박순애, 이혜연, "공공봉사동기와 성과중심 보상제도에 대한 인식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공직봉사동기의 구축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한국조직학회보, 14(2), pp. 97-128, 2017
218 김문겸, 서상국, 김종하, "군 조직문화 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 향: 권한위임의 매개효과와 개인 인지사고 특성의 조절효과를 중 심으로", 융합사회와 공공정책, 14(1), pp. 67-96, 2020
219 현병무, "조직신뢰와 직무열의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공공지배구조호텔과 민간지배구조호텔의 비교를 중심으로", 단국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220 양동우, 임재성, "재직자의 기업가적 지향성, 보상만족, 지속학습, 고용가능성 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혁신행동 매개효과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17(1), pp. 89-106, 2022
221 Huang, X., Iun, J., Liu, A., & Gong, Y, "Does participative leadership enhance work performance by inducing empowerment or trust? The differential effects on managerial and nonmanagerial subordinates", 31(1), pp. 122-143, 2010
222 김태연, 양오석, "한국진출 글로벌 기업의 비전만족도와 성과 간 관 계에 대한 일고찰: 비전 속성, 비전 내용과 비전 커뮤니케이션의 영향", 한국경영학회, pp. 1184-1217, 2016
223 Florić, O. K., Đorđić, D., Ninković, S., "The effect of teacher trust in colleagues on collective teacher efficacy: Examining the mediating role of the characteristics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119, 103877, 2022
224 오경은, "사회복지사의 소명의식과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서 조직 신뢰의 매개효과-조직지원인식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신 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1
225 Afridi, S. A., Shahjehan, A., Nawaz, A., Maqsoom, A., Fazliani, H., Afsar, B., "Responsible leadership and employee's proenvironmental behavior: The rol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green shared vision, and internal environmental locus of control", 27(1), pp. 297-312., 2020
226 김영경, 진한규, 이정우, "핵심자기평가, 동료신뢰, 상호의존성이 가상 협업역량의 조절효과와 함께 원격근무자의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 향에 관한 연구", 경영학연구, 50(3), pp. 829-860, 2021
227 김정식, 차동옥, "리더의 참여적 의사결정이 조직구성원들의 창의 적행동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임파워먼트와직무몰입의 역할을 중심으로", 인사조직연구, 21(3), pp. 331-370, 2013
228 신웅철, 조준, 윤동열, "공공기관 구성원의 개인-직무 적합성이 혁신행동 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와 자기효능감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기업경영연구, 28(6), pp. 51-68, 2021
229 Sev, J. T., "Effective delegation of authority as a strategy for task accomplishment and performance enhancement in business organizations-an empirical survey of flour mills of Nigeria plc, Lagos-Nigeria", 8(4), 138, 2017
230 김인신, 이유안, 노호정, "호텔 기업의 개인-환경 적합성과 보상 시스템이 심리적 주인의식, 지식공유행동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효과와 함께", 호텔경영학연구, 24(1), pp. 147-162,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