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재외동포 교육용 한국어 교재 문화 요소 분석 및 단원 구성 방안-상호문화 접근법에 기반하여 = An Analysis of Cultural Elements and Suggests a structure for Cultural Units in Korean Textbooks for Overseas Koreans-Focused on Intercultural Approa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017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suggests a structure for culture units in Korean textbooks for overseas Koreans using an intercultural approach. It also analyzes the cultural aspects of the previously published textbook Customized Korean. After analyzing the thirty volume textbook series, we found that the “Culture” sections covered comparative culture content. However, most of the content was made up of simple questions, and these units did not cover each country’s culture in depth. Also, we found that there was too much culture content for most adolescent students to follow, and the content would be difficult to use in an actual classroom because there were no specific activity suggestions. Textbooks “customized” for overseas Koreans must be developed to reflect the culture of each language group to become more intercultural textbooks. Also, instead of relying on a “Culture” section, intercultural factors should be actively inserted in grammar activities or tasks. We believe that this will help the students better understand language and culture. Future Korean textbooks for overseas Koreans should include a more intercultural perspective.
      번역하기

      This article suggests a structure for culture units in Korean textbooks for overseas Koreans using an intercultural approach. It also analyzes the cultural aspects of the previously published textbook Customized Korean. After analyzing the thirty volu...

      This article suggests a structure for culture units in Korean textbooks for overseas Koreans using an intercultural approach. It also analyzes the cultural aspects of the previously published textbook Customized Korean. After analyzing the thirty volume textbook series, we found that the “Culture” sections covered comparative culture content. However, most of the content was made up of simple questions, and these units did not cover each country’s culture in depth. Also, we found that there was too much culture content for most adolescent students to follow, and the content would be difficult to use in an actual classroom because there were no specific activity suggestions. Textbooks “customized” for overseas Koreans must be developed to reflect the culture of each language group to become more intercultural textbooks. Also, instead of relying on a “Culture” section, intercultural factors should be actively inserted in grammar activities or tasks. We believe that this will help the students better understand language and culture. Future Korean textbooks for overseas Koreans should include a more intercultural perspectiv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영순, "한국어교육으로서의 문화 교육에 대하여" 23 : 67-89, 2003

      2 김정숙, "한국어 숙달도 배양을 위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 10 : 317-326, 1997

      3 조항록, "한국어 문화교육론의 내용 구성 시론" 1 (1): 199-219, 2004

      4 조재형,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화교육 내용에 관한 연구" 중앙어문학회 (53) : 109-132, 2013

      5 성기철, "한국어 교육과 문화 교육"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2 (12): 111-135, 2001

      6 김정숙, "프랑스의 ‘상호문화주의’에 대한 소고"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9 (9): 75-92, 2012

      7 조항록, "초급 단계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화 교수 요목의 개발" 12 (12): 491-510, 2001

      8 김정숙, "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연구-초급 1단계 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회 (37) : 61-83, 2008

      9 류재택, "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육과정 및 교재 체제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4

      10 박호남, "재외동포를 위한 교재 개발의 성과와 전망" 2013

      1 박영순, "한국어교육으로서의 문화 교육에 대하여" 23 : 67-89, 2003

      2 김정숙, "한국어 숙달도 배양을 위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 10 : 317-326, 1997

      3 조항록, "한국어 문화교육론의 내용 구성 시론" 1 (1): 199-219, 2004

      4 조재형,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화교육 내용에 관한 연구" 중앙어문학회 (53) : 109-132, 2013

      5 성기철, "한국어 교육과 문화 교육"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2 (12): 111-135, 2001

      6 김정숙, "프랑스의 ‘상호문화주의’에 대한 소고"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9 (9): 75-92, 2012

      7 조항록, "초급 단계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화 교수 요목의 개발" 12 (12): 491-510, 2001

      8 김정숙, "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연구-초급 1단계 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회 (37) : 61-83, 2008

      9 류재택, "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육과정 및 교재 체제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4

      10 박호남, "재외동포를 위한 교재 개발의 성과와 전망" 2013

      11 정명숙, "재외동포 유아 대상 한국어 교육 방안" 이중언어학회 (44) : 295-317, 2010

      12 김윤주, "재외동포 아동학습자용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연구 -아동문학 제재를 활용한 문화교육 단원 구성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1 (21): 61-85, 2010

      13 안정현, "재외동포 교육용 한국어 교재 개발·공급 현황 및 개선 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4 재외동포재단, "재외동포 교육기관 현황" 재외동포재단 2012

      15 이경란, "재북미 한인청소년을 위한 한국문화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 생활문화교육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16 김태진, "재미동포 한국어 학습자 정체성 구성 요인과 계승어 교육" 이중언어학회 (54) : 99-122, 2014

      17 홍애란, "재미동포 청소년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읽기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18 Chang Edward, "재미동포 2세 교육의 방향과 미래상" 1 : 2004

      19 하연주, "재미교포 청소년 학습자의 요구조사를 바탕으로 한 문화 중심의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 연구" 선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0 우인혜, "외국인을 위한 한국 문화 항목 선정" 이중언어학회 (25) : 149-186, 2004

      21 조혜영, "외국어로서의 ‘모국어’ 학습과 민족 정체성- 재미한인 학생들의한국어 수업 참여 과정에 대한 민족지적 연구" 34 (34): 181-209, 2001

      22 강승혜, "영어권 한국어 교재 실태조사 및 개발 방안 연구" 국립국어원 2010

      23 원진숙, "영어권 교포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 이중언어학회 (20) : 193-212, 2002

      24 김은정, "상호문화 접근법에 기반 한 문화 교육 -프랑스와 한국의 문화 비교 관점에서"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37) : 7-34, 2011

      25 손호민, "미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역사와 미래 조망"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526 : 79-135, 2001

      26 백종학, "미국 사회에서 한국인 2세가 겪는 언어와 정체성의 문제" 10 (10): 34-42, 1993

      27 김수진,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위한 한국문화교육 방법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0

      28 강성영, "문화 상호적 접근법의 원리 연구" 42 (42): 217-237, 2000

      29 교육과학기술부, "맞춤한국어 1~6(프랑스어권)" 국립국제교육원 2012

      30 교육과학기술부, "맞춤한국어 1~6(포르투갈어권)" 국립국제교육원 2015

      31 교육과학기술부, "맞춤한국어 1~6(태국어권)" 국립국제교육원 2012

      32 교육과학기술부, "맞춤한국어 1~6(중국어권)" 국립국제교육원 2012

      33 교육과학기술부, "맞춤한국어 1~6(인도네시아어권)" 국립국제교육원 2013

      34 교육과학기술부, "맞춤한국어 1~6(영어권)" 국립국제교육원 2011

      35 교육과학기술부, "맞춤한국어 1~6(아랍어권)" 국립국제교육원 2015

      36 교육과학기술부, "맞춤한국어 1~6(스페인어권)" 국립국제교육원 2013

      37 교육과학기술부, "맞춤한국어 1~6(베트남어권)" 국립국제교육원 2012

      38 교육과학기술부, "맞춤한국어 1~6(독일어권)" 국립국제교육원 2013

      39 김태원, "다문화사회의 통합을 위한 패러다임으로서의 유럽 상호문화주의에 대한 이론적 탐색" 인문학연구원 1 : 179-214, 2012

      40 조윤희, "다문화 국가 스위스에서의 계승어 정책" 2013

      41 박진아, "교육연극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방안 연구 : 재외동포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9

      42 조태린, "계승어 교육 측면에서 본 재외동포 한국어 교육과정 분석" 2013

      43 Pulverness, A., "Worlds within words: Literature and British Cultural Studies" The British Council 1996

      44 Pennycook, A., "The Cultural Politics of English as an International Language" Longman 1994

      45 Byram, M., "Teaching-and-Learning Language-and-Culture" Multilingual Matters 1994

      46 Buram, M., "Teaching and Assessing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Multilingual Matters 1997

      47 Buram, M., "Studying British Cultures" Routledge 53-64, 1997

      48 Fantini, A. E., "New Ways in Teaching Culture" TESOL 1997

      49 Bosher, S., "New Ways in Teaching Culture" TESOL 169-173, 1997

      50 Stern, H. H., "Issues and Options in Language Teaching"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51 Byram, M., "Defining and assessing intercultural competence: Some principles and proposals for the European context" 29 : 14-18, 1997

      52 Barrow, R., "Culture and the Language Classroom" Macmillan and Modern English Publications/British Council 3-10, 1990

      53 Damen, L., "Culture Learning: The Fifth Dimension in the Language Classroom" Addison Wesley 1987

      54 McGuigan, J., "Cultural Methodologies" Sage 1997

      55 Guilherme, M., "Critical Citizens for an Intercultural World: Foreign Language Education as Cultural Politics" Multilingual Matters 2002

      56 Davcheva, L., "Branching Out: A Cultural Studies syllabus" British Council and Tilia 1998

      57 Corbett, J., "An Intercultural Approach to English Language Teaching" Multilingual Matters 2003

      58 조항록, "21세기 한국어교육학의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문화와 융합 -> 문화와융합 KCI등재
      2022-03-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 The Society of Korean Culture and Convergence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4-03-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학과언어학회 -> 한국문화융합학회
      영문명 : Munhak Kwa Eoneo Hakhoi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