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친환경 주거단지 내 외부공간 계획요소에 대한 거주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6842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세기 말부터 전 세계적으로 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면서 자연환경의 보호와 관리를 위한 환경 패러다임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환경 중에서도 특히 건축 환경의 중요성...

      20세기 말부터 전 세계적으로 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면서 자연환경의 보호와 관리를 위한 환경 패러다임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환경 중에서도 특히 건축 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서 선진 각국에서는 이미 그린 빌딩, 친환경 건축, 생태건축, 환경친화형 건축, 지속가능한 건축, 환경공생 건축 등 다양한 개념으로 보다 에너지 절약적이며, 자연 보존적인 건축물과, 거주 쾌적성을 제고할 수 있는 건축 환경을 만들기 위한 연구와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건축물에 대한 환경적인 변화와 노력은 주거환경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최근 지속가능한 개발을 원칙으로 하는 환경친화형 주거단지들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다. 주택분양 시장에서도 친환경 주거단지들이 속속 공급되고 있으며, 친환경 인증제도도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친환경 주거단지에 대한 건축적, 환경적, 정책적 노력이 시작되는 단계로서, 현재의 친환경 주거단지는 단지 내에 녹지공간이나 단순히 몇 가지 환경 친화적 계획 요소를 도입함으로써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는 실정이다.
      환경보호와 에너지 절약 및 거주자의 건강한 주택 내 삶을 위한 친환경 주거단지 계획이나 또한 이미 친환경 단지계획에 많은 사례들을 갖고 있는 외국에 비하여도 진정한 의미에서의 환경 친화적 주거단지 계획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환경 친화적인 주거단지 개발에 있어서 친환경 주거단지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친환경 주거단지의 외부공간의 친환경성에 대한인지도 및 거주자 만족도와 친환경적 계획요소들에 대한 시설이용도와 만족도 및 거주 후 사후검증 형식으로 조사하여 향후 실질적인 친환경 주거단지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범위는 친환경 주거단지는 토지주택연구원 친환경 건축인증센터에서 활용하고 있는 평가지표에 부합되거나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계획 요소들을 포함한 주거단지로, 이러한 계획요소들을 비교적 많이 포함한 주거단지를 선정하였다. 또한 친환경적 요소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해 거주한지 6개월에서 1년 이상이 지나 자신의 아파트 생활에 익숙해진 대상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길음 래미안 9단지, 미아 래미안 2단지, 길음 두산위브7단지, 성수 힐스테이트 등 4곳을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의 방법은 선행연구와 이론적 고찰을 위해 문헌조사를 하고, 이를 바탕으로 체크리스트를 작성한 후 사례지에 방문하여 현장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의 과정을 통하여 진행되었다.
      첫째, 친환경 주거에 관한 선행연구와 국내외 친환경 인증제도, 배치도분석을 바탕으로 친환경 계획요소를 추출하였다.
      둘째, 추출된 조사도구를 가지고 2011년 4월 24일 길음 두산 위브를 예비조사 하였다. 예비조사 후 부분적인 수정작업을 거쳐 조사도구를 확정하였다.
      셋째, 2011년 4월 24일 ~ 5월 9일까지 해당 사례지의 각 단지별로 평일, 주말 두 차례 걸쳐 현장 방문하여 관찰조사를 하였다.
      이상의 계획요소별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친환경 계획요소 중 녹지 공간에서는 세대수, 평형 구분 없이 모든 단지에서 현재 배치되어져 있는 녹지 공간에 대하여 만족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추후 공원형식의 녹지 공간을 요구 하였다. 직접 체험하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녹지 공간의 형태를 요구하였고 적은 세대수의 경우 단지 내 외부 공간의 배치로 테마공원 형식을 요구하였다. 또한 요즘 시공되어지는 주거단지에 커뮤니티센터가 설치되고 있으나 단지 내 외부 공간에서도 이용할 수 있는 주민체육시설을 요구하였다. 이처럼 단지 녹화에 대해서 앞으로는 기존의 단지 내 녹화 방식인 높고 낮은 수목을 심는 것이 아니라 거주자가 녹지에 들어가 여러 가지 행태가 이루어질 수 있는 공간으로 설계되어야한다고 사료되어지며, 또한 어린이 놀이터와 벤치가 있어 쉴 수 있는 공원과 같은 장소에서는 강한 일광을 차단시킬 수 있어야한다. 강한 일광을 차단하기 위해 식재하는 녹음용 수목은 필요한 계절에 상당한 그늘을 형성하고 겨울에는 낙엽이 되는 수종이어야 하며, 식재 시 사람의 머리가 닿지 않을 정도의 지하고를 유지해야 한다.
      둘째, 수 공간에서는 세대수에 따른 만족도 차이는 크게 보이지 않았으나 평형별로 만족도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조사 대상지 중 두 단지에서 큰 평형의 주동 근처에 수 공간이 배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실제로 수 공간을 이용한다는 응답자의 대부분이 작은 평수의 거주자들로 조사되었다. 또한 어린 자녀, 손주를 둔 거주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 공간의 형태에 따라 만족도가 다른 것을 볼 수 있었다. 세대수가 많은 단지의 경우 생태연못, 실개천, 분수대가 모두 설치되어있는 반면 적은 세대수의 단지는 분수대가 설치되어 있었다. 생태연못의 경우 상시 물이 고여 있었지만, 분수대의 경우 대부분이 비어있어 실제로 이용을 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밖에 친환경 주거단지를 떠올릴 때 대표적으로 떠올릴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으며 실제로 거주자 면담조사 시 분양당시 외부공간의 친환경적인 요소로 수 공간을 보고 고려했다는 응답자가 많았다. 이처럼 수 공간을 설계 할 때는 어린 자녀를 두고 있는 거주자를 고려하여 배치하여야 하며, 수 공간의 종류도 중요하며 실제로 체험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수 공간은 위치에 따라 종류가 달라야 한다. 어린이 놀이터와 접근해 있는 수 공간은 아이들이 물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계곡을 생각나게 하는 도심 속의 친환경적인 연못', 원목마루에서 엄마와 함께 즐기는 놀이 공간 조성, 계단식 수경시설, 물놀이 수로, 징검다리, 바닥분수 등 다양한 놀이요소가 설치되어야 하며, 생태 체험을 할 수 있는 생태연못이 배치되어야하고 그 외에 장소에 배치되는 수 공간은 종류보다는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이 함께 설치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셋째, 친환경 계획요소 중 생태 가로에서는 세대수, 평형별로 만족도의 차이를 볼 수 없었다. 친환경 주거단지 내 외부공간에서 단지 내 녹지 공간 다음으로 중요한 계획요소로 조사되었고 설치 시 단지 순환형 생태 가로에 만족도를 더 느꼈으며 더 나아가 수 공간, 어린이 놀이터, 단지 외부로 부터의 접근성이 뛰어 날수록 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산책로 및 조깅로를 따로 배치할 수 없을 때는 단지 내 가로를 ‘순환형’으로 가로의 폭이 넓게 배치하여 함께 이용 할 수 있게 해야 하며, 구릉지와 같이 단지 내부의 단차가 있을 경우 어린이 놀이터, 분수대, 커뮤니티센터 외곽 등을 이용하여 산책로 및 조깅로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고 추정된다. 이밖에도 대지가 좁은 단지 외곽을 따라 산책로 및 조깅로가 설치되어 주동과의 거리가 가까울 때는 각종 소음을 완화ㆍ차단시킬 필요가 있으며, 각종 소음을 완화·차단하기 위해서는 방음용 수목을 식재하는 것이 적합하다.
      넷째, 주동 녹화에서는 세대수, 평형별 만족도의 차이가 있었으며, 세대수가 적은 단지에서는 옥상녹화의 설치를 필요로 하고 있었으며, 옥상 녹화에는 평형별로 미니텃밭 등 주동 거주자의 요구에 따른 테마형태의 옥상 녹화 공간을 배치해 주는 것이 거주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단지 외곽을 둘러싸고 있는 측벽녹화는 인공적인 석재와 몇 그루의 수목보다는 거주자가 직접참여 참여 할 수 있는 텃밭이나 실개천등을 배치하는 것도 좋다고 사료되어 지며, 구릉지와 같은 지리적 특성이 있어 울타리형의 단지 외곽이 아닌 콘크리트 벽이 단지 외곽이 될 경우 수직 녹화를 조성하여 벽면녹화 하단부의 생태연못으로, 친환경 벽면녹화 공법 등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고 추정된다.
      다섯째, 친환경 재료에서는 실제로 친환경 인증 기준인 오수배수로, 우수침투타일은 거주자의 친환경 주거단지 내 외부공간의 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단지 오수 배수로(배수로뚜껑)의 디자인은 몇몇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만족도의 경향을 나타내기도 하였지만, 주거 단지 내 외부 공간 친환경계획요소 만족도에 대한 영향은 크게 없었다. 하지만 단지별 디자인에 어울리거나 바닥타일의 디자인과 컬러와 일치해야 하고 녹지 공간(잔디밭)을 활용하여 설치하는 것도 좋은 생각일 것 같다. 또한 어린이 놀이터 바닥재 만족도에서 세대별 차이는 없었으나 평형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작은 평형의 거주자들의 불만족도가 큰 평형의 거주자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실제로 어린이 놀이터를 자녀와 함께 이용하는 응답자의 대부분이 작은 평형의 거주자들이였으며, 어린이 놀이터 바닥재의 친환경성에 대하여 불만족스럽다고 조사되었다. 이와 같이 친환경 재료에서는 직접 체험에 의한 만족도의 차이가 보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친환경 주거단지에서는 어린이 놀이터 시설에 태양열이나 자가발전을 이용하여 환경은 물론 아이들이 자연스럽게 에너지 절약에 대해서 알 수 있도록 조성하며, 뿐만 아니라 덮개를 설치하거나 작은 울타리를 설치한 모래밭은 유기동물이나 애완동물들로 인해 생기는 기생충을 막기위해 모래밭을 1년에 두 차례에 걸쳐 모래밭 기생충과 중금속을 점검하는 관리 및 소독을 실시등 사후 관리 또한 신경 써야 할 부분이다. 또한 글루램·자작나무 합판·무독성 페인트 등 자연친화적 재료 사용하여야 하며, 이와 같은 강한 내구성과 항균작용이 있는 자연친화적 재료를 사용해 최근 어린이들에게 자주 나타나는 아토피, 천식 등의 환경성 질별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고 또 부자재를 연결할 때의 결합방식, 탄성소재로 이뤄진 바닥재의 안정성, 유해인자 발생여부를 꼼꼼하게 확인해 안전하고 건강하게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친환경 주거단지에 대한 거주자들의 인식이 한층 높아 졌음을 알 수 있었고 더구나 경제적인 부담이 되더라도 환경보존에 대한 인식이 높아진 것은 우리나라 거주자 측면에서 환경보전과 에너지 절약을 위한 실질적인 친환경 주거단지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준비가 된 것으로 사료되며, 건설업계에서는 친환경 주거단지 인증을 얻어 분양률을 높이려는 의도보다 거주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탐색하여 진정한 친환경 주거단지를 제공함으로써 자원절약과 환경보존 및 거주자들의 삶의 질을 제고시킬 수 있는 진정한 의미의 친환경 주거단지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정책 입안자나 공급자 입장에서의 의식전환이 시급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몇몇 단지의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건설부 인증제도의 평가기준에 국한하여 만족도를 조사하였으나, 향후 좀 더 다양한 지역과 단지에서 만족도를 평가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기초자료로 하여 바람직한 친환경적 주거단지 모델을 세우는 것이 요구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s in protecting and sustaining the environment since the end of the 20th century. Especially environment -friendly architecture is receiving more attention than others. In developed countries, there is vast research a...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s in protecting and sustaining the environment since the end of the 20th century. Especially environment -friendly architecture is receiving more attention than others. In developed countries, there is vast research and a growing need to develop and to build architecture that utilizes energy efficiency, conserves nature and promotes residents’ comfort. Green Building, environment-friendly architecture, ecological architecture, sustainable architecture and architecture with nature are some terms and phrases that are used to describe this new architectural paradigm.
      This new paradigm shift in architecture deeply affects residential complexes. Recently, active research is being conducted on environment-friendly residential complexes with the principle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recent housing market, environment-friendly residential complexes are popular and environment accreditation systems are in practice. However, the efforts to realize environment-friendly residential complexes have only just started. Presently, having green space in the complex and adopting a few environment-friendly elements are the only things that make some complexes more environment-friendly. There is not a standard from which all builders can work.
      It is difficult to say whether Korea has a real strategy in planning environment-friendly complexes compared to strategies implemented by some developed countries when environment, energy efficiency and residents' comfort are in consider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ractical design elements that will constitute a proposed future plan for environment-friendly residential complexes. This will be accomplished largely from surveys which include the awareness of outdoor environment-friendly factors, the residents' rate of usage of these outdoor design factors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environment-friendly elements in the complex and, finally, follow-up interviews with the residents having lived in the complex for a period of time.
      Only residential complexes that have adopted and been certified by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enter by the Land and Housing Institute and similar buildings are to be included in this survey. To evaluate satisfaction level, the residents who lived in their apartments more than 6 months were selected. Four places in Seoul - Gilum Raemian 9th complex, Mia Raemian 2nd complex, Gilum Doosan Weve 7th complex, and Sungsoo Hillstate - were chosen. The order of the research was first to review written documents to learn from previous research and theory and secondly, to create a checklist through survey and finally to go out to conduct research and interview.
      The process is as follows.
      First, to pick out environment friendly elements from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residences and review domestic and international accreditation system and to do an analysis on the layout of each building.
      Second, to verify materials used in the construction of Gilum Doosan Weve apartment on April 24th, 2011. After doing this pre-research, to confirm the actual research frame.
      Third, to carry out field research at each of the above mentioned apartments on two occasions, once on a weekday and another on a weekend between April 24th, 2011 and May 9th, 2011.
      The following shows the results and summary of the research.
      First, for the green space, regardless of the number of units of the complex or the size of the unit they live in, none of the residents were satisfied with it. They wished to have green space like a park so that they could carry out activities and rest in that space. The residents of small units expressed a desire to have outdoor green space like theme parks rather than indoor facilities such as gym, pool or golf range, which most complexes have at these days. In summary, green space should be able to accommodate different activities. A “green space” should have more than just tall and short trees. Also, because of Korea’s hot humid summer climate, there should be tall trees to block strong daytime sunlight above sitting benches and children's play ground. Desiduous trees with enough height would provide significant shade in summer.
      Second, in the use of water space, there was no difference in satisfaction level depending on the number of units of the complex but there was a differenc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unit they live in. In two complexes that I researched, water spaces were located around the buildings. Those respondents who lived in smaller units were the ones who used these facilities. Furthermore, the residents who have young children and grand children mainly used these spaces. Also learned from the survey, there was a difference in levels of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water space. The complexes with big size units have ecological ponds supplemented with both a small stream and fountain set up, but the ones with smaller size units have only fountains. Besides, the fountains have no water so it was not actually usable at times. Water space is the key design element that people first think of when they try to come up with an environment friendly element. According to the interview, most residents rely on the existence of outside water space as the factor of environment friendly elements when they select apartment complex.
      Therefore, when water space is planned, residents with young children should be considered.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types of water space and its uses. Water space should be varied with its locations. If it is near a children's park, it should be a water play area, such as an environment-friendly pond that reminds one of valleys, a wooden floored play area where young children can enjoy with their mother, stair-typed water space, water trail play space, stone jumping bridge, and/or a play fountain. The water space that is not near children's play park should be located within the resting area and more scenic in purpose.
      Third, concerning residents' satisfaction of pedestrian path inside the complex, a correlation was not found with the number of units or the size of the unit they live in. It was considered the second most important design element after green space among the elements of environment-friendly space of apartment complex. Paths that circled around the building and were in good proximity to and from water space, children’s play park and outside the complex were more satisfying the respondents. When jogging or walking trails do not exist independently, one major trail with larger width should be considered. When there is a height difference in ground level, for example if the complex is on a hill, the trail for jogging and walking should be located alongside of a children’s park, a fountain or the amenity building with gym and golf facility and so on. When the complex is located on a small piece of land and trails are close to the buildings, there should be trees planted to block noise.
      Fourth, for the satisfaction level of afforestation on buildings, there was a difference in satisfaction level depending on the number of units in the building and the size of the unit. Residents of complex with a small number of units desired rooftop green space. On this, to satisfy the residents, the roof garden could be divided into small vegetable areas with each unit's responsibility for his or her own plot. The afforestation on building walls facing outside, a small garden or small stream that the residents can use is preferable and can be used more than artificial rocks or trees. If a complex doesn’t have a fence due to uneven land, like on a hill, or has a concrete wall bordering the complex, it would be better to use an environment-friendly technique utilizing vertical greenery, such as ivy plants, on the wall and an ecological pond below.
      Fifth, for the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such as sewer line and drainage tiles, there is no identical importance on satisfaction level for the outdoor space in complex. Only the sewer lid should go well with the design of the complex and floor tile design and color. Ideally, it could be hidden in the lawn. Satisfaction with the ground covering material used for children’s parks was determined by respondent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unit. The residents from smaller size units were less satisfied with it than those who resided in bigger units because the residents of smaller units have small children and therefore used the children’s park more frequently. Therefore, the satisfaction level differs depending on subjective experience with it. In the future, one possible park idea might be to build a self-made energy children’s park like solar energy and it will teach children the idea of saving energy. The covered sand area or fenced sand areas in the children’s park should be regularly inspected and cleaned or sanitized of heavy metals and feces and bugs from abandoned animals and pets at least twice a year. The children’s park should use environment friendly materials with durability,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such as glulam, birch plywood and non-toxic paint so that children are safe from such ailments as skin irritation and athsma. In addition, building codes for utilizing subsidiary materials in construction, the safety of the flooring with respect to elasticity and the reduction of harmful effects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through material testing, while engineering text should be carefully conducted and enforced to maintain a healthy environment for children.
      Upon review and analysis of all the data, we can conclude that residents are a lot more aware of their surroundings and what environment-friendly means to them. They are ready to accept a bigger commitment from developers with regards to environment -friendly spaces and practices even though the price is a litter higher than what they may be able to afford. Building owners should not just try to acquire the green building accreditation based on minimum commitment and compromise, but should consider the needs of all, as this survey clearly shows, and offer true meaning of what an environment-friendly complex really is, which is to improve the living quality as well as environment conservation and energy conservation. Therefore, policy makers, building traders and developers should change their perspective as soon as possible.
      The research is restrictedly based on the certification system by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on residents from a few complexes, thus further anticipated research should include diverse sites and complexes. Hopefully, all the data and analysis in this survey could bring about the practical changes of our policy makers toward the ideal model for an environment-friendly complex.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 1.2.1 연구의 범위 4
      • 1.2.2 연구의 방법 5
      • 제 1 장 서 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 1.2.1 연구의 범위 4
      • 1.2.2 연구의 방법 5
      • 1.3 연구의 흐름 7
      • 1.4 연구의 제한점 8
      • 1.5 용어 정리 8
      • 제 2 장 이론적 고찰 9
      • 2.1 친환경 주거단지 9
      • 2.1.1 친환경 주거단지 개념 9
      • 2.1.2 친환경 건축 인증제도 12
      • 2.1.3 친환경 주거단지 인증사례 13
      • 2.2 친환경 주거단지 내 외부 공간 15
      • 2.2.1 친환경 주거단지 내 외부 공간 변천 15
      • 2.2.2 친환경 주거단지 내 외부 공간 개념 17
      • 2.3 친환경 주거에 관한 연구 동향 20
      • 제 3 장 사례조사 및 분석 24
      • 3.1 조사대상 및 개요 24
      • 3.2 조사방법 29
      • 3.3 조사 도구 30
      • 3.4 친환경 주거 단지 국내 사례 31
      • 3.4.1 길음 래미안 9단지 31
      • 3.4.2 미아 래미안 2단지 36
      • 3.4.3 길음 두산위브 7단지 41
      • 3.4.4 성수 힐스테이트 46
      • 3.5 조사대상지별 적용된 친환경 계획요소 분석 53
      • 3.5.1 길음 래미안 9단지 53
      • 3.5.2 미아 래미안 2단지 54
      • 3.5.3 길음 두산위브 7단지 54
      • 3.5.4 성수 힐스테이트 55
      • 제 4 장 거주자 만족도 조사 및 분석 57
      • 4.1 설문조사 대상 선정 기준 및 조사 방법 57
      • 4.2 자료 분석 방법 58
      • 4.3 조사대상지의 항목별 만족도 59
      • 4.3.1 길음 래미안 9단지 59
      • 4.3.2 미아 래미안 2단지 69
      • 4.3.3 길음 두산 위브 7단지 78
      • 4.3.4 성수 힐스테이트 87
      • 4.4 세대수.평형별 만족도 분석 97
      • 제 5 장 결론 100
      • 참고문헌 106
      • 부 록<설 문 지> 108
      • 국문초록 112
      • Abstract 1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