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시설재배 부추 중 Dichlorvos와 Valifenalate 사용에 따른 경시적 잔류량 변화와 잔류 안전성 평가 = Residual Dissipation Pattern and Residual Safety Assessment of Dichlorvos and Valifenalate in Chinese Chives (Allium tuberosum R.) under Greenhouse Condi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964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부추 시설재배지에 20% dichlorvos 유제와 12% valifenalate 액상수화제를 살포하여 이들의 경시적 잔류변 화와 생물학적 반감기 및 잔류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 수확 당일 약액 살포 후 dichlorvos의 초...

      부추 시설재배지에 20% dichlorvos 유제와 12% valifenalate 액상수화제를 살포하여 이들의 경시적 잔류변 화와 생물학적 반감기 및 잔류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 수확 당일 약액 살포 후 dichlorvos의 초기 잔류량은 1.709- 2.054 mg kg-1이었으나 , 이를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dichlorvos는 LOQ미만으로 불검출 되었으며 , 20% dichlorvos 유 제를 수확 7일 전까지 2회 처리하여도 잔류안전성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Valifenalate의 총 환산잔 류량은 수확 당일 약액 살포 후 13.06-17.63 mg kg-1이었고 , 최종 약제 처리 21일 경과 후 잔류량은 0.891-0.955 mg kg-1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고 , 이는 현재 부추에 설정되어 있는 최대 잔류 허용량인 0.05 mg kg-1을 초과하지 않았다 . Valifenalate에 대한 부추의 생물학적 반감기는 9.30일이었다 . 따라서 , 12% valifenalate 액상수화제를 수확 14일 전까 지 2회 처리하여도 잔류안전성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경애 ; 임건재 ; 홍수명 ; 김진배 ; 임양빈 ; 고현석 ; 김장억, "형태적 특성이 다른 들깻잎, 상추, 케일 중 농약 잔류량 비교" 한국농약과학회 16 (16): 336-342, 2012

      2 공승헌 ; 이득영 ; 송영훈 ; 박기훈 ; 서우덕 ; 이동열 ; 김진효, "에테폰의 관주처리와 엽면살포에 의한 콩 잎 중 잔류 안전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61 (61): 75-78, 2018

      3 박종우 ; 김태화 ; 채석 ; 심재룡 ; 배병진 ; 이해근 ; 손경애 ; 임건재 ; 김진배 ; 김장억, "시설재배 쪽파에서 살균제 Dimethomorph와 Pyraclostrobin의 잔류특성" 한국농약과학회 16 (16): 328-335, 2012

      4 황은진 ; 박정은 ; 도정아 ; 정형욱 ; 장희라, "시설재배 쑥갓 및 피망의 작물특성에 따른 Boscalid 및 Spinetoram의 잔류량 감소추이" 한국환경농학회 36 (36): 184-192, 2017

      5 안재민 ; 김익로 ; 김민기 ; 장순영 ; 임현지 ; 박재옥 ; 황향란 ; 박대한 ; 이광희, "시설재배 부추(Allium tuberosum R.)에 대한 살균제 Tebuconazole의 잔류특성 연구" 한국농약과학회 23 (23): 220-230, 2019

      6 문갑순 ; 류복미 ; 이민자, "수확시기에 따른 부추 성분 및 항산화효과의 변화" 한국식품과학회 35 (35): 493-498, 2003

      7 진미지 ; 박효경 ; 정혜림 ; 이정우 ; 노현호 ; 이재윤 ; 김진숙 ; 권찬혁 ; 김장억 ; 김태화 ; 경기성 ; 조승현, "소면적 재배작물 중 살균제 fenhexamid의 잔류 특성 및 안전성 평가" 한국농약과학회 22 (22): 363-369, 2018

      8 우민지 ; 허경진 ; 김지윤 ; Manoharan Saravanan ; 김세원 ; 허장현, "소면적 재배작물 산마늘(Allium ochotense Prokh.) 중 살균제 Tebuconazole 및 Fludioxonil의 잔류특성" 한국농약과학회 19 (19): 354-360, 2015

      9 김희곤 ; 김지윤 ; 허경진 ; 권찬혁 ; 허장현,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설정을 위한 Flubendiamide 및 Pyriofenone의딸기(Fragaria ananassa Duch.) 중 경시적 잔류특성 연구" 한국농약과학회 21 (21): 62-67, 2017

      10 이용재 ; 고광용 ; 원동준 ; 길근환 ; 이규승, "복숭아의 재배 및 저장기간 중 Procymidone, Chlorpyrifos 및 Cypermethrin의 잔류량 변화" 한국환경농학회 22 (22): 8-, 2003

      1 손경애 ; 임건재 ; 홍수명 ; 김진배 ; 임양빈 ; 고현석 ; 김장억, "형태적 특성이 다른 들깻잎, 상추, 케일 중 농약 잔류량 비교" 한국농약과학회 16 (16): 336-342, 2012

      2 공승헌 ; 이득영 ; 송영훈 ; 박기훈 ; 서우덕 ; 이동열 ; 김진효, "에테폰의 관주처리와 엽면살포에 의한 콩 잎 중 잔류 안전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61 (61): 75-78, 2018

      3 박종우 ; 김태화 ; 채석 ; 심재룡 ; 배병진 ; 이해근 ; 손경애 ; 임건재 ; 김진배 ; 김장억, "시설재배 쪽파에서 살균제 Dimethomorph와 Pyraclostrobin의 잔류특성" 한국농약과학회 16 (16): 328-335, 2012

      4 황은진 ; 박정은 ; 도정아 ; 정형욱 ; 장희라, "시설재배 쑥갓 및 피망의 작물특성에 따른 Boscalid 및 Spinetoram의 잔류량 감소추이" 한국환경농학회 36 (36): 184-192, 2017

      5 안재민 ; 김익로 ; 김민기 ; 장순영 ; 임현지 ; 박재옥 ; 황향란 ; 박대한 ; 이광희, "시설재배 부추(Allium tuberosum R.)에 대한 살균제 Tebuconazole의 잔류특성 연구" 한국농약과학회 23 (23): 220-230, 2019

      6 문갑순 ; 류복미 ; 이민자, "수확시기에 따른 부추 성분 및 항산화효과의 변화" 한국식품과학회 35 (35): 493-498, 2003

      7 진미지 ; 박효경 ; 정혜림 ; 이정우 ; 노현호 ; 이재윤 ; 김진숙 ; 권찬혁 ; 김장억 ; 김태화 ; 경기성 ; 조승현, "소면적 재배작물 중 살균제 fenhexamid의 잔류 특성 및 안전성 평가" 한국농약과학회 22 (22): 363-369, 2018

      8 우민지 ; 허경진 ; 김지윤 ; Manoharan Saravanan ; 김세원 ; 허장현, "소면적 재배작물 산마늘(Allium ochotense Prokh.) 중 살균제 Tebuconazole 및 Fludioxonil의 잔류특성" 한국농약과학회 19 (19): 354-360, 2015

      9 김희곤 ; 김지윤 ; 허경진 ; 권찬혁 ; 허장현,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설정을 위한 Flubendiamide 및 Pyriofenone의딸기(Fragaria ananassa Duch.) 중 경시적 잔류특성 연구" 한국농약과학회 21 (21): 62-67, 2017

      10 이용재 ; 고광용 ; 원동준 ; 길근환 ; 이규승, "복숭아의 재배 및 저장기간 중 Procymidone, Chlorpyrifos 및 Cypermethrin의 잔류량 변화" 한국환경농학회 22 (22): 8-, 2003

      11 김영호 ; 유재기 ; 홍석일 ; 이주용 ; 류갑희 ; 김우식, "배추과 작물들에서 무테두리진딧물과 양배추가루진딧물에 대한3종 살충제의 약효비교" 한국농약과학회 21 (21): 284-288, 2017

      12 이득영 ; 배지연 ; 오경열 ; 류성기 ; 김영진 ; 김진효, "균핵병 방제용 살균제 boscalid와 fluxapyroxad, hexaconazole, pencycuron, pyraclostrobin, thifluzamide의 당근 중 잔류 특성" 한국농약과학회 25 (25): 11-19, 2021

      13 Ambrus A, "Within and between field variety of residue data and sampling implications" 17 (17): 512-537, 2000

      14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Vegetable Production (Fruit Vegetables)"

      15 Li W, "The dissipation rates of trichlorfon and its degradation product dichlorvos in cabbage and soil" 82 (82): 829-833, 2011

      16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KREI), "Research on Fresh-cut Fruits and Vegetables" 85-131, 2019

      17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KREI), "Research Service for Food Consumption"

      18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NAS), "Pesticide residue definitions for agricultural products" 2018

      19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Pesticide and veterinary Drugs Information"

      20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HIDI),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1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EPA), "Interim Reregistration Eligibility Decision for Dichlorvos (DDVP)"

      22 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ry (IUPAC), "IUPAC Pesticide Properties DataBase"

      23 Liang Y, "Dynamics and residues of chlorpyrifos and dichlorvos in cucumber grown in greenhouse" 26 (26): 231-234, 2012

      24 Li R, "Determination of valifenalate in grape, vegetables, and soil using ultra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andem mass spectrometry and exploration of its degradation behavior in grape field" 12 : 742-751, 2019

      25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NAS), "Crop Residue Analysis of Minor Crop for Pesticide Registration Authority to Establish the Post-Harvest Interval(PHI) and Maximum Residue Limit(MRL). Part 2" 89-, 2019

      26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NAS), "Crop Residue Analysis of Minor Crop for Pesticide Registration Authority to Establish the Post-Harvest Interval(PHI) and Maximum Residue Limit(MRL). Part 1" 58-120, 2019

      27 Ripley BD, "Comparative persistence of pesticides on selected cultivars of specialty vegetables" 51 (51): 1328-1335, 2003

      28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KCPA), "Agrochemical use guide book"

      29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NAQS), "2016 Annual report for quality management of agricultural products" 28-29,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3 0.642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