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발명 사고기법 적용에 따른 고등학교 학생들의 뇌파특성 분석 = A Study of Analysi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EEG of High School Students due to appling to Inventive Thinking Metho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549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sought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EG of high school students that are evident in the divergent and convergent thought processes in dealing with inventive problems. To pursue this objective, an inventive problem was designed to measure the students' divergent and convergent thought processes, and was presented to 8 high schoolers, in the solving process of which the students' EEG activation, EEG concentration, EEG stabilization was analyzed to compare the effect of utilization and non-utilization of a creative thinking metho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both divergent and convergent thought processes showed lively activities in the prefrontal and frontal lobes in problem-solving situations, and the level of activity was higher in a divergent process than convergent. When a creative thinking method was utilized in the two thought processes, θ-wave and α-wave were more active, implying that the brain solved problems at a more stabilized state. Secondly, utilization of creative thinking method proved less stressful in both divergent and cognitive thought processes than non-utilization, showing that it activates the brain at a more stable state in displaying creativity and other cognitive abilities.
      번역하기

      This research sought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EG of high school students that are evident in the divergent and convergent thought processes in dealing with inventive problems. To pursue this objective, an inventive problem was designed t...

      This research sought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EG of high school students that are evident in the divergent and convergent thought processes in dealing with inventive problems. To pursue this objective, an inventive problem was designed to measure the students' divergent and convergent thought processes, and was presented to 8 high schoolers, in the solving process of which the students' EEG activation, EEG concentration, EEG stabilization was analyzed to compare the effect of utilization and non-utilization of a creative thinking metho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both divergent and convergent thought processes showed lively activities in the prefrontal and frontal lobes in problem-solving situations, and the level of activity was higher in a divergent process than convergent. When a creative thinking method was utilized in the two thought processes, θ-wave and α-wave were more active, implying that the brain solved problems at a more stabilized state. Secondly, utilization of creative thinking method proved less stressful in both divergent and cognitive thought processes than non-utilization, showing that it activates the brain at a more stable state in displaying creativity and other cognitive abil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발명문제의 확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과정에서 뇌파 특성 및 발명 사고 기법을 적용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간에 나타나는 고등학생의 뇌파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의 확산적 사고 및 수렴적 사고를 경험할 수 있는 발명 문제를 구안하였으며,4명의 발명 사고 기법 집단과 4명의 비교 집단 간의 학생의 뇌파 활성, 주의 집중도, 두뇌 안정도를 중심으로 한 뇌파 특성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명 사고 기법의 적용과 관계없이 두 집단 모두 확산적 사고 과정과 수렴적 사고 과정모두 문제를 해결할 때 전전두엽과 전두엽의 활동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활성 정도를 비교하였을 때 확산적 사고 과정에서 두뇌 활성이 수렴적 사고과정보다 더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사고 과정에서 발명 사고 기법을 적용하였을 때 θ파와 α파의 활성이 더 활발하고, 두뇌가 안정된 상태에서 문제를 해결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발명 사고 기법을 적용하여 발명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확산적 사고과정과 수렴적 사고과정에서 문제 해결 시 두뇌 안정도가 높게 나타나 창의성과 사고능력을 발휘하는데 안정된 상태에서 활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발명문제의 확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과정에서 뇌파 특성 및 발명 사고 기법을 적용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간에 나타나는 고등학생의 뇌파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발명문제의 확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과정에서 뇌파 특성 및 발명 사고 기법을 적용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간에 나타나는 고등학생의 뇌파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의 확산적 사고 및 수렴적 사고를 경험할 수 있는 발명 문제를 구안하였으며,4명의 발명 사고 기법 집단과 4명의 비교 집단 간의 학생의 뇌파 활성, 주의 집중도, 두뇌 안정도를 중심으로 한 뇌파 특성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명 사고 기법의 적용과 관계없이 두 집단 모두 확산적 사고 과정과 수렴적 사고 과정모두 문제를 해결할 때 전전두엽과 전두엽의 활동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활성 정도를 비교하였을 때 확산적 사고 과정에서 두뇌 활성이 수렴적 사고과정보다 더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사고 과정에서 발명 사고 기법을 적용하였을 때 θ파와 α파의 활성이 더 활발하고, 두뇌가 안정된 상태에서 문제를 해결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발명 사고 기법을 적용하여 발명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확산적 사고과정과 수렴적 사고과정에서 문제 해결 시 두뇌 안정도가 높게 나타나 창의성과 사고능력을 발휘하는데 안정된 상태에서 활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성호, "휴대폰 사용별 초등학생의 건강자각증상 및 신경생리작용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2 김영채, "창의적 문제해결:창의력 이론, 개발과 수업" 교육과학사 2002

      3 탁준수, "정보 영재와 일반 학생의 뇌파 특성 차이"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4 정정숙, "블록을 이용한 공학적 발명교육프로그램이 아동의 뇌파와 인지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5 최유현, "문제의 구조화 정도에 따른 중학생의 기술적 문제해결 사고 과정의 뇌파 활성도 분석"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7 (17): 129-152, 2011

      6 김희필, "목제품 구상하기 사고 과정에서 나타나는 대학생의 뇌파 활성도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 23 (23): 309-321, 2010

      7 박병운, "뉴로피드백 입문" 한국정신과학연구소 2005

      8 "뇌파검사도구"

      9 김대식, "뇌파 검사학" 고려의학 2001

      10 정진현, "뇌과학과 실과를 통한 창의적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16 (16): 91-106, 2003

      1 최성호, "휴대폰 사용별 초등학생의 건강자각증상 및 신경생리작용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2 김영채, "창의적 문제해결:창의력 이론, 개발과 수업" 교육과학사 2002

      3 탁준수, "정보 영재와 일반 학생의 뇌파 특성 차이"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4 정정숙, "블록을 이용한 공학적 발명교육프로그램이 아동의 뇌파와 인지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5 최유현, "문제의 구조화 정도에 따른 중학생의 기술적 문제해결 사고 과정의 뇌파 활성도 분석"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7 (17): 129-152, 2011

      6 김희필, "목제품 구상하기 사고 과정에서 나타나는 대학생의 뇌파 활성도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 23 (23): 309-321, 2010

      7 박병운, "뉴로피드백 입문" 한국정신과학연구소 2005

      8 "뇌파검사도구"

      9 김대식, "뇌파 검사학" 고려의학 2001

      10 정진현, "뇌과학과 실과를 통한 창의적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16 (16): 91-106, 2003

      11 김희필, "기술적 문제 해결의 사고 과정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뇌파 활성도 분석"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6 (16): 15-34, 2010

      12 박경희, "과학창의성 검사도구 개발과 과학영재아의 뇌 기능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13 김기성, "고령자 인지 훈련을 위한 뇌파의 이해" 건양대학교 RIS사업단 2009

      14 박지영, "가설 생성 학습 후에 나타난 초등학생의 뇌파 변화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6

      15 Jasper, J. J., "The ten-twenty electrode system of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10 : 371-375, 1958

      16 Hutchision, M., "Mebabraine : New tools and techniques for brain growth and mind expansion" Ballantine books 1991

      17 Tjoa, A., "Increased intelligence and reduced neuroticism through the Transcendental Miditation program. Findings previously published as "Meditation, neuroimaging data" 7 : 133-149, 1975

      18 Lubar J. O., "EEG biofeedback of SMR and beta for treatment of attention deficit disorders in clinical setting" 9 (9): 1-23, 198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5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0.97 1.367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