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재현 예술작품으로서의 사진 = Photographs as works of representational ar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973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 investigate whether photographs can be works of representational art. Roger Scruton, a skeptic, claims that the “ideal” photograph is not a representation. For it stands in a causal, not intentional, relation to its photographed object, which means that it does not express the photographer’s thought or intention. If so, the interest in a photograph is not the interest in the photographic image itself but the interest in (the existence of) the photographed object. Photographs, then, serve as a means to seeing the photographed object, that is, as a medium transparent to human intention. So, the skeptic concludes that photographs are not the object of an aesthetic interest, and thereby cannot be works of representational art. Dominic Lopes argues, against the skeptic’s conclusion, that photographs can be works of representational art. Seeing photographs as photographs is seeing things through photographs. It engages an aesthetic interest of ‘revelation’ that is not engaged by seeing things face-to-face. If photographs can be the object of aesthetic interest in this sense, then they can be works of representational art while standing in a causal relation to their photographed objects. However, I think that Lopes misuses Walton’s term, ‘seeing through’. For Walton, photographs are not only transparent but also representational, which means that the viewer of a photograph imagines seeing things directly, face-to-face, while actually seeing them indirectly, via the photograph. Photographs invite aesthetic interests not in the experience of seeing through them but in the experience of seeing them as representations in Walton’s sense, and in this sense can be works of representational art.
      번역하기

      In this paper I investigate whether photographs can be works of representational art. Roger Scruton, a skeptic, claims that the “ideal” photograph is not a representation. For it stands in a causal, not intentional, relation to its photographed ob...

      In this paper I investigate whether photographs can be works of representational art. Roger Scruton, a skeptic, claims that the “ideal” photograph is not a representation. For it stands in a causal, not intentional, relation to its photographed object, which means that it does not express the photographer’s thought or intention. If so, the interest in a photograph is not the interest in the photographic image itself but the interest in (the existence of) the photographed object. Photographs, then, serve as a means to seeing the photographed object, that is, as a medium transparent to human intention. So, the skeptic concludes that photographs are not the object of an aesthetic interest, and thereby cannot be works of representational art. Dominic Lopes argues, against the skeptic’s conclusion, that photographs can be works of representational art. Seeing photographs as photographs is seeing things through photographs. It engages an aesthetic interest of ‘revelation’ that is not engaged by seeing things face-to-face. If photographs can be the object of aesthetic interest in this sense, then they can be works of representational art while standing in a causal relation to their photographed objects. However, I think that Lopes misuses Walton’s term, ‘seeing through’. For Walton, photographs are not only transparent but also representational, which means that the viewer of a photograph imagines seeing things directly, face-to-face, while actually seeing them indirectly, via the photograph. Photographs invite aesthetic interests not in the experience of seeing through them but in the experience of seeing them as representations in Walton’s sense, and in this sense can be works of representational ar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나는 이 글에서 사진이 재현 예술작품일 수 있는지의 여부를 탐구한다. 회의주의자인 스크러튼의 주장에 따르면, “이상적인” 사진은 재현이 아니다. 왜냐하면 그러한 사진은 그 대상과 인과적 관계만을 맺을 뿐 사진가의 생각이나 의도를 표현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사진에 대한 관심은 사진 이미지 자체에 대한 관심이 아니라 사진 찍힌 대상(의 존재)에 대한 관심이다. 사진은 그 대상을 보기 위한 수단으로서, 투명한 매체이므로 미적 관심의 대상일 수 없고, 따라서 재현 예술작품일 수 없다. 이와 같은 회의주의 논변에 대해 로페즈는 사진이 여전히 재현 예술작품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사진을 사진으로서 보는 경험은 사진을 통해 그 대상을 보는 경험이며, 맨눈으로 직접 보기로부터 얻을 수 없는, ‘드러냄’이라는 미적 관심을 환기한다. 만약 사진이 이런 의미에서 미적 관심의 대상일 수 있다면, 사진은 사진 찍힌 대상과의 인과적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재현 예술작품일 수 있다. 그러나 나는 로페즈가 월튼의 용어인 ‘~통해 보기’를 잘못 사용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월튼에게 사진은 투명할 뿐만 아니라 재현이기도 하다. 즉 우리는 사진을 통해 간접적으로 그 대상을 보면서도 그것을 맨눈으로 직접 본다고 상상한다. 미적 관심은 ‘~통해 보기’가 아닌 월튼의 의미에서 재현으로서의 사진 보기로부터 촉발되며, 사진은 바로 이런 의미에서 재현 예술작품일 수 있다.
      번역하기

      나는 이 글에서 사진이 재현 예술작품일 수 있는지의 여부를 탐구한다. 회의주의자인 스크러튼의 주장에 따르면, “이상적인” 사진은 재현이 아니다. 왜냐하면 그러한 사진은 그 대상과 인...

      나는 이 글에서 사진이 재현 예술작품일 수 있는지의 여부를 탐구한다. 회의주의자인 스크러튼의 주장에 따르면, “이상적인” 사진은 재현이 아니다. 왜냐하면 그러한 사진은 그 대상과 인과적 관계만을 맺을 뿐 사진가의 생각이나 의도를 표현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사진에 대한 관심은 사진 이미지 자체에 대한 관심이 아니라 사진 찍힌 대상(의 존재)에 대한 관심이다. 사진은 그 대상을 보기 위한 수단으로서, 투명한 매체이므로 미적 관심의 대상일 수 없고, 따라서 재현 예술작품일 수 없다. 이와 같은 회의주의 논변에 대해 로페즈는 사진이 여전히 재현 예술작품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사진을 사진으로서 보는 경험은 사진을 통해 그 대상을 보는 경험이며, 맨눈으로 직접 보기로부터 얻을 수 없는, ‘드러냄’이라는 미적 관심을 환기한다. 만약 사진이 이런 의미에서 미적 관심의 대상일 수 있다면, 사진은 사진 찍힌 대상과의 인과적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재현 예술작품일 수 있다. 그러나 나는 로페즈가 월튼의 용어인 ‘~통해 보기’를 잘못 사용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월튼에게 사진은 투명할 뿐만 아니라 재현이기도 하다. 즉 우리는 사진을 통해 간접적으로 그 대상을 보면서도 그것을 맨눈으로 직접 본다고 상상한다. 미적 관심은 ‘~통해 보기’가 아닌 월튼의 의미에서 재현으로서의 사진 보기로부터 촉발되며, 사진은 바로 이런 의미에서 재현 예술작품일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Alward, Peter, "Transparent Representation: Photography and the Art of Casting" 70 : 2012

      2 Walton, Kendall, "Transparent Pictures" 11 : 1984

      3 Lopes, Dominic, "The Aesthetics of Photographic Transparency" 112 : 2003

      4 Scruton, Roger, "Photography and Representation" 7 : 1983

      5 Walton, Kendall, "Marvelous Images on Values and the Arts"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6 Lopes, Dominic, "Four Arts of Photography: An Essay in Philosophy" John Wiley & Sons 2016

      1 Alward, Peter, "Transparent Representation: Photography and the Art of Casting" 70 : 2012

      2 Walton, Kendall, "Transparent Pictures" 11 : 1984

      3 Lopes, Dominic, "The Aesthetics of Photographic Transparency" 112 : 2003

      4 Scruton, Roger, "Photography and Representation" 7 : 1983

      5 Walton, Kendall, "Marvelous Images on Values and the Arts"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6 Lopes, Dominic, "Four Arts of Photography: An Essay in Philosophy" John Wiley & Sons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6-17 학술지등록 한글명 : 미학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Aesthetic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5 1.026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