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을 둘러싼 외부 환경의 급격한 변화는 공직사회로 하여금 고도의 전문성, 변화대응력 및 문제해결능력을 갖춘 인재양성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또한 중앙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729830
서울 : 서울시립대학교, 2009
학위논문(석사)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 행정학과 , 2009. 8
2009
한국어
공무원교육 ; 교육훈련전이 ; 신규채용자교육 ; 지방자치단체교육훈련
350 판사항(4)
서울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training transfer of civil servants at local governments : Focused on the survey on newly recruited civil servants of Seoul
v, 82 p. : 삽도 ; 26 cm.
지도교수:김영우
참고문헌 : p.70-7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공무원을 둘러싼 외부 환경의 급격한 변화는 공직사회로 하여금 고도의 전문성, 변화대응력 및 문제해결능력을 갖춘 인재양성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또한 중앙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들...
공무원을 둘러싼 외부 환경의 급격한 변화는 공직사회로 하여금 고도의 전문성, 변화대응력 및 문제해결능력을 갖춘 인재양성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또한 중앙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들도 지역발전을 위해서는 인적자원개발이 필수적이라는 인식을 하게 되었고, 중앙과 차별화된 교육훈련계획을 수립하는 등 공무원교육훈련의 중요성은 점점 강조되고 있다.
최근 고학력 소지자의 공직 선호로 인한 우수한 인적자원의 공직 지원 현상은 사회의 관심과 기대를 증폭시키고 있다. 그러나 기존 공무원 교육훈련에 관한 연구들은 대부분 재직중인 공무원들이 연구대상으로 신규 채용된 공무원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거의 찾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에 신규 채용된 공무원의 교육훈련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신규채용자 교육훈련의 효과성 제고방안을 제시하여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9년 서울시에 신규채용된 공무원을 대상으로 교육수료 직후 1차 설문 및 3개월 후 교육훈련 전이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2차 설문을 실시, 최종적으로 230부를 유효응답 자료로 선별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타당도분석, 신뢰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test,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교육훈련 전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학습기대, 교육훈련내용 및 강사의 자질이 있었다. 또한 개인적 특성인 학습기대보다 교육훈련내용, 강사의 자질 등 교육프로그램 특성의 요인들이 신규채용자 교육훈련의 전이에 더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신규채용자 교육훈련의 전이효과 향상을 위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교육목표를 잘 반영할 수 있도록 교육훈련프로그램을 구성하여야 한다. 이번 연구에서 교육훈련내용이 신규채용자 교육훈련 전이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에 교육생들의 교육훈련 전이를 위해서는 교육훈련의 목표에 적합성을 갖는 신규채용자 교육훈련 프로그램 구성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신규채용자 교육훈련에 있어 직무역량 부문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신규채용자 교육훈련의 목표 중 하나인 공직자로서의 기본마인드 함양은 전이효과가 높았으나 직무역량 향상은 상대적으로 미흡하였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직무역량 향상에 관련되는 교육과목은 직렬별·대상별 등으로 구분하여 교육을 시행하거나, 신규채용자 교육훈련 후 조기에 전문교육을 실시하는 등의 보완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신규채용자 교육훈련에 대한 적극적인 사전안내 및 홍보가 요구된다. 학습기대는 교육훈련 전이효과는 물론, 교육훈련내용 및 강사의 자질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신규채용자들의 학습기대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목표 및 내용, 방법 등 다양한 부문에 대하여 상세하고 적극적인 홍보 및 안내로 교육생들이 흥미와 관심을 갖도록 이끌 필요가 있다.
넷째, 강의기술을 고려한 강사선정이 필요하다. 아무리 뛰어난 지식을 보유한 강사라도 표현능력이 부족하다면 그 교육은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힘들다. 기존의 공급자 중심의 단순주입식 교육에서 수요자 중심의 교육으로 변화하고 있는 현 추세에서는 더더욱 강의스킬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다섯째, 공무원 교육기관의 만족도 위주의 교육훈련 평가를 개선하여야 한다. 그동안의 공무원 교육훈련 평가는 교육훈련 직후 개인의 주관적 느낌이나 즐거움을 측정하는 만족도 조사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이는 실질적·객관적인 효과성 검증으로 볼 수 없는 바, 교육 수료 후 전이효과 평가 등 교육훈련에 대한 효과성 분석을 실시하고 철저한 사후평가 체제를 확립하는 등 교육훈련 평가 개선이 요구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교육훈련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 개인적 특성 및 교육프로그램 특성의 요인들만 대상으로 하여 포괄적인 연구결과를 얻는데 한계가 있었고, 연구에 활용된 설문 표본수가 많지 못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교육전이 요인의 도출과 더불어 표본추출 방법을 보다 정교히 하여 통계적 정확성을 높이고, 타 기관과의 비교연구를 통한 결과의 일반화를 도출하여 연구의 객관성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주요어 : 공무원교육, 교육훈련전이, 신규채용자, 지방자치단체 교육훈련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adical vicissitude of external environment around civil servants came to require personnel development furnished with high professionalism, capacity to cope with changes, and ability to solve problems. Further, local governments as well as centra...
The radical vicissitude of external environment around civil servants came to require personnel development furnished with high professionalism, capacity to cope with changes, and ability to solve problems. Further, local governments as well as central government became aware that the development of personal development is indispensible, and the significance of civil servants training such as establishing an education plan distinctive from central authority is being emphasized more and more.
The recent phenomena of preference on civil position by advanced human resources such as well-educated professionals has started to attract interests from the every tier of our society. The problem, however, is that the researches on existing civil servants training are mostly about the workers in office rather than the practical research on newly recruited workers.
Thus, this study purport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training transfer of newly recruited civil servants at local governments substantially, and suggest an optimal policy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newly recruited civil servants training.
Under all the circumstances, I conducted the 1st survey for the newly recruited civil servants of Seoul in 2009 shortly after the completion of their training, and the 2nd survey for transfer effect of training after 3 months, and finally selected 230 copies as the valid response data. For the data analysis, I have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validit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a program called SPSS 12.0.
In terms of factors that affect the training transfer, there are learning expectations, training contents, and instructor's quality. In addition, the analysis result presented that the factors of traits of training program such as training contents, instructor's quality are reported to affect the training transfer of newly recruited workers more than learning expectations, the personal trait.
Upon the basis of the result derived from this study, I could figure out the following issues for the improving the effect of training transfer of newly recruited civil servants.
Firstly, it is imperative to organize an education training program reflective of education purpose. This study presented that the training contents has the highest influence on training transfer of newly recruited civil servants. Thus, we can see that the desirable constitution of training program for newly recruited civil servants which is appropriate for the education purpose is indispensible for training transfer of the trainees.
Secondly,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field of job capacity in training for newly recruited civil servants. While the building the basic mind as civil servants, one of the training goals for newly recruited civil servants, showed somewhat high transfer effect, the enhancement of job capacity showed relatively lower transfer effect. To cover this up, it would be required to categorize the training subject, which is related to the enhancement of job capacity, in job series and objects, or to exercise additional professional education shortly after the training for newly recruited civil servants.
Thirdly,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training evaluation oriented for the satisfaction of the organization which is in charge of the training of civil servants. The existing evaluation of civil servants training was mostly about the survey on satisfaction evaluating the degree of personal subjective feeling or pleasure shortly after the training. It, however, cannot be seen as substantial·objective verification of effectiveness, consequently, the improvement of training evaluation including implementing effectiveness analysis on training such as evaluation of transfer effect after training, and establishing an thorough post-evaluation system is required.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limitation for obtaining comprehensive result as this study was targeted at personal traits and factors of training program out of the elements affecting training transfer, and as there were only a few number of samples for survey. For the next study, it shall be highly required to heighten the statistical precision by deriving various elements of training transfer and sophisticating the method for obtaining samples, and to procure objectiveness of the study by deriving generalization of results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with other institutions.
Keyword : Civil Servants Training, Training Transfer, Newly Recruited Civil Servants, Local Government's Training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