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자율성 지지, 기본심리욕구 충족 및 학교참여 간의 상호 관련성과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학교참여 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782906
부산 :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8
학위논문(석사) --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 학교상담전공 , 2018. 2
2018
한국어
중학생 ; 교사의 자율성 지지 ; 학교참여 ; 기본심리욕구
371.4 판사항(23)
부산
v, 59 장 : 삽화 ; 30 cm
지도교수: 김정섭
부록: 설문지
참고문헌: 장 43-51
I804:21016-00000013388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자율성 지지, 기본심리욕구 충족 및 학교참여 간의 상호 관련성과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학교참여 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충...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자율성 지지, 기본심리욕구 충족 및 학교참여 간의 상호 관련성과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학교참여 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충족은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중학교 5곳에 재학 중인 1, 2, 3학년 학생 578명을 최종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자율성 지지, 기본심리욕구 충족 및 학교참여 간의 상호 관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학교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학생의 기본심리욕구 충족 요인들의 구조적 관계 및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여 모형의 적합도와 경로계수를 분석하였다. 또한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학교참여 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충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랩 절차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자율성 지지, 기본심리욕구 충족 및 학교참여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본심리욕구 충족은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학교참여와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즉 교사가 자율성을 지지하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과 더불어 학생들의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의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환경이 조성될 때, 더 적극적인 학교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생들의 학교참여 증진을 위한 학생상담 및 지도에 도움을 제공하며, 학생들의 학교참여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mediating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support of teachers,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desire, school participati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mediating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support of teachers,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desire, school participation,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teacher autonomy, and school participation. For this study, 578 students in 1st, 2nd, and 3rd grades attending 5 middle schools in Busan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for final analysis.
In this study,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interrelation between teacher 's autonomy support, basic psychological desire satisfaction and school participation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In order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nd influence of teachers' autonomy support factors and basic psychological desire satisfaction factors affecting school participati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set up to analyze the fit and path coefficient of the model. In addition, the bootstrap procedure was us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desi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s autonomy support and school participation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upport of autonomy of teachers,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chool participation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lso, it was found that the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is mediating fac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s autonomy support and school participation. In other words, it shows that more inclusive school participation can be achieved when the environment that satisfies the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ionship desires of the students is provided along with the teacher's support for autonomy.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c data to help students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their participation in school by providing students with counseling and guidance to promote their participation in the school.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