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상담자의 정서인식명확성과 자기자비가 상담자 소진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 불안의 조절된 매개효과 = The Influences of Emotional Clarity and Self-Compassion on Counselor Burnout: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Fear of Self-Compass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fear of self-compassion through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counselor burnout. The sample included 206 counselors who had more than one year of experience in psychological counseling.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SPSS macro PROCESS v3.5.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clarity, self-compassion, fear of self-compassion, and counselor burnout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Second, a mediating model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counselor burnout was partially mediated by self-compassion. Third, the mediation effect of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counselor burnout was moderated by fear of self-compassion.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fear of self-compassion through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counselor burnout. The sample included 206 counselors who had more than one y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fear of self-compassion through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counselor burnout. The sample included 206 counselors who had more than one year of experience in psychological counseling.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SPSS macro PROCESS v3.5.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clarity, self-compassion, fear of self-compassion, and counselor burnout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Second, a mediating model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counselor burnout was partially mediated by self-compassion. Third, the mediation effect of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counselor burnout was moderated by fear of self-compassion.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상담자의 정서인식명확성이 상담자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및 자기자비 불안의 조절효과를 포함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심리 상담 경력이 1년 이상인 상담자 206명을 대상으로 정서인식명확성, 자기자비, 자기자비불안, 상담자 소진을 측정하였고, 수집된 설문 자료는 SPSS 21.0과 SPSS macro PROCESS v3.5 를 사용하여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의 정서인식명확성과 자기자비, 자기자비 불안, 그리고 상담자 소진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매개효과검증 결과 정서인식명확성이 상담자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이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셋째,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결과 정서인식명확성과 상담자 소진의 관계를 자기자비가 매개하며, 자기자비와 상담자 소진의 관계가 자기자비 불안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고, 상담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에 포함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상담자의 정서인식명확성이 상담자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및 자기자비 불안의 조절효과를 포함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심...

      본 연구는 상담자의 정서인식명확성이 상담자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및 자기자비 불안의 조절효과를 포함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심리 상담 경력이 1년 이상인 상담자 206명을 대상으로 정서인식명확성, 자기자비, 자기자비불안, 상담자 소진을 측정하였고, 수집된 설문 자료는 SPSS 21.0과 SPSS macro PROCESS v3.5 를 사용하여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의 정서인식명확성과 자기자비, 자기자비 불안, 그리고 상담자 소진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매개효과검증 결과 정서인식명확성이 상담자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이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셋째,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결과 정서인식명확성과 상담자 소진의 관계를 자기자비가 매개하며, 자기자비와 상담자 소진의 관계가 자기자비 불안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고, 상담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에 포함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주리 ; 김은영 ; 최승애 ; 이유정 ; 김정기, "한국판 자비불안 척도들의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7 (27): 881-903, 2015

      2 김경의 ; 이금단 ; 조용래 ; 채숙희 ; 이우경,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의 타당화 연구 :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13 (13): 1023-1044, 2008

      3 양난미 ; 이은경 ; 서은경, "한국에서의 상담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9 (19): 587-607, 2007

      4 박주호, "초심상담자의 정서인식명확성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돌봄의 매개효과"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8

      5 김은혜 ; 윤아랑, "초심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들"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8 (38): 75-93, 2017

      6 김다희 ; 송미경, "초심상담자의 심리적 소진 유형에 따른 상태불안과 정서인식 차이" 한국교육치료학회 7 (7): 229-248, 2015

      7 김신실 ; 유금란, "청소년의 애착유형이 자기자비에 미치는 영향 :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2 (22): 27-45, 2014

      8 문은주 ; 최해연, "정서처리과정에서 자기자비의 역할: 정서인식명료성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20 (20): 1-16, 2015

      9 김정민 ; 강다연, "정서경험특성, 상담자활동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가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가정과삶의질학회 29 (29): 19-32, 2011

      10 박세란 ; 이훈진, "자존감, 자기자비와 심리적 부적응 및 안녕감의 관계" 한국임상심리학회 32 (32): 123-139, 2013

      1 정주리 ; 김은영 ; 최승애 ; 이유정 ; 김정기, "한국판 자비불안 척도들의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7 (27): 881-903, 2015

      2 김경의 ; 이금단 ; 조용래 ; 채숙희 ; 이우경,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의 타당화 연구 :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13 (13): 1023-1044, 2008

      3 양난미 ; 이은경 ; 서은경, "한국에서의 상담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9 (19): 587-607, 2007

      4 박주호, "초심상담자의 정서인식명확성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돌봄의 매개효과"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8

      5 김은혜 ; 윤아랑, "초심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들"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8 (38): 75-93, 2017

      6 김다희 ; 송미경, "초심상담자의 심리적 소진 유형에 따른 상태불안과 정서인식 차이" 한국교육치료학회 7 (7): 229-248, 2015

      7 김신실 ; 유금란, "청소년의 애착유형이 자기자비에 미치는 영향 :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2 (22): 27-45, 2014

      8 문은주 ; 최해연, "정서처리과정에서 자기자비의 역할: 정서인식명료성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20 (20): 1-16, 2015

      9 김정민 ; 강다연, "정서경험특성, 상담자활동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가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가정과삶의질학회 29 (29): 19-32, 2011

      10 박세란 ; 이훈진, "자존감, 자기자비와 심리적 부적응 및 안녕감의 관계" 한국임상심리학회 32 (32): 123-139, 2013

      11 심은수 ; 이봉건, "자기초점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대한스트레스학회 24 (24): 65-74, 2016

      12 김연수, "자기자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공상의 자각과 탈중심화의 매개효과 검증" 3 (3): 93-108, 2014

      13 윤성근 ; 유주희 ; 이승은 ; 이지영 ; 장현진 ; 허다연 ; 홍예주 ; 장수정, "수퍼바이저의 경력에 따른 초심 상담자의 수퍼비전 경험: 개념도 연구법을 활용하여"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9 (39): 189-216, 2018

      14 배애진 ; 심혜원,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자비불안과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30 (30): 1193-1217, 2018

      15 정주리, "상담자의 자기자비 불안과 소진의 관계: 자기자비와 공감능력을 매개로"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8 (38): 1-16, 2017

      16 최연희, "상담자의 자기돌봄과 소진/공감피로의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자기자비의 역할"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대학원 2018

      17 강현주 ; 이홍숙 ; 최한나, "상담자의 자기 돌봄(self-care) 인식에 관한 개념도 연구" 한국상담학회 17 (17): 25-45, 2016

      18 조경희, "상담자의 경력수준에 따른 정서인식명확성과 역전이 행동이 상담협력관계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14

      19 강선아 ; 김안나 ; 최보영, "상담자 소진 메타 연구: 상담자 개인 요인 중심" 한국상담학회 21 (21): 1-27, 2020

      20 최윤미 ; 양난미 ; 이지연, "상담자 소진 내용의 질적 분석" 한국상담심리학회 14 (14): 581-598, 2002

      21 이나은 ; 김영근, "상담자 발달수준, 정서인식의 명확성, 자기자비 및 공감능력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치료학회 11 (11): 245-263, 2019

      22 심흥섭, "상담자 발달수준 평가에 관한연구" 10 (10): 1-28, 1998

      23 백미현 ; 유현실, "상담경력에 따른 상담자 발달수준과 소진의 관계: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3 (13): 3191-3205, 2012

      24 이자영 ; 남숙경 ; 박희락 ; 김동현 ; 이미경 ; 이상민, "상담경력과 상담자소진과의 관계:한국과 미국상담자 비교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23-42, 2008

      25 김정문, "불안정 애착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자동적 사고, 정서 인식, 정서표현 양가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26 이미선 ; 홍혜영, "대학생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우울의 관계- 자비불안의 매개효과 -"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5 (15): 101-113, 2017

      27 천부경 ; 양난미,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과 심리적 안녕감: 정서강도, 정서주의, 정서명확성, 정서표현양가성의 군집비교" 한국심리학회 32 (32): 719-733, 2013

      28 김다인 ; 이소연, "놀이치료자의 직무스트레스 및 자기돌봄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 19 (19): 21-34, 2016

      29 주수현 ; 이홍숙, "고등학생의 불안정애착이 내재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 자비불안의 매개효과" 교육연구소 24 (24): 447-469, 2018

      30 박유미 ; 이아라, "감정노동자의 정서인식명확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과 정서표현의 매개효과 검증" 사회과학연구원 42 (42): 247-268, 2016

      31 Germer, C. K., "Wisdom and compassion in psychotherapy: Deepening mindfulness in clinical practice" The Guilford Press 2012

      32 Yager, G. G., "Wellness and counselor education" 46 (46): 142-153, 2007

      33 이수정, "Trait Meta-Mood Scale의 타당화에 관한 연구: 정서지능의 하위 요인에 대한탐색" 11 (11): 95-116, 1997

      34 Kirby, J. N., "The ‘Flow’of compassion : A meta-analysis of the fears of compassion scales and psychological functioning" 70 : 26-39, 2019

      35 Skovholt, T. M., "The resilient practitioner: Burnout prevention and self-care strategies for therapists, counselors, teachers, and health professionals" Allyn & Bacon 2001

      36 Neff, K. 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other-focused concern among college undergraduates, community adults, and practicing meditators" 12 (12): 160-176, 2013

      37 Patsiopoulos, A. T., "The practice of self-compassion in counseling : A narrative inquiry" 42 (42): 301-, 2011

      38 Stone, G. L., "The heroic syndrome" 67 (67): 108-, 1988

      39 Pauley, G.,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compassion and self-compassion for individuals with depression or anxiety" 83 (83): 129-143, 2010

      40 Neff, K. D.,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self-compassion" 2 (2): 223-250, 2003

      41 Ünal, Z., "The contribu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components of burnout: the case of health care sector professionals" 19 (19): 27-34, 2014

      42 Mayer, J. D., "TARGET ARTICLES : "Emotional Intelligence : Theory, Findings, and Implications"" 15 (15): 197-215, 2004

      43 Etherington, K., "Supervising counsellors who work with survivors of childhood sexual abuse" 13 (13): 377-389, 2000

      44 Anderson, J. C.,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103 (103): 411-, 1988

      45 Hannigan, B., "Stress and stress management in clinical psychology : Findings from a systematic review" 13 (13): 235-245, 2004

      46 Leary, M. R., "Self-compassion and reactions to unpleasant self-relevant events : the implications of treating oneself kindly" 92 (92): 887-, 2007

      47 Finlay-Jones, A. L, "Self-compassion and psychological health among psychologists" Curtin University 2014

      48 Kelly, A. C., "Self-compassion and fear of self-compassion interact to predict response to eating disorders treatment : A preliminary investigation" 23 (23): 252-264, 2013

      49 Neff, K. D., "Self-compassion and adaptive psychological functioning" 41 (41): 139-154, 2007

      50 Neff, K. D., "Self-compassion : An alternative conceptualization of a healthy attitude toward oneself" 2 (2): 85-101, 2003

      51 Martin Jr, W. E., "Sali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as a core characteristic of being a counselor" 44 (44): 17-30, 2004

      52 Hayes, A. F., "Partial, conditional, and moderated moderated mediation : Quantification, inference, and interpretation" 85 (85): 4-40, 2018

      53 Raab, K.,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and self-compassion among mental healthcare professionals: a pilot study" 18 (18): 503-512, 2015

      54 Newsome, S., "Mindfulness group work : Preventing stress and increasing self-compassion among helping professionals in training" 37 (37): 297-311, 2012

      55 Jeong, J. R., "Mediators between self-criticism and depression : Fear of compassion, self-compassion, and importance to others" 62 (62): 453-464, 2015

      56 Van Dam, N. T., "Measuring mindfulness? An item response theory analysis of the Mindful Attention Awareness Scale" 49 (49): 805-810, 2010

      57 Rayle, A. D., "Mattering to others : Implications for the counseling relationship" 84 (84): 483-487, 2006

      58 Barnett, J. E., "In pursuit of wellness: The self-care imperative" 38 (38): 603-612, 2007

      59 Crits-Christoph, P., "Implications of therapist effects for the design and analysis of comparative studies of psychotherapies" 59 (59): 20-26, 1991

      60 Gilbert, P., "Fears of compassion in a depressed population: Implication for psychotherapy" S2 (S2): 2014

      61 Gilbert, P., "Fear of compassion: Development of three selfreport measures" 84 (84): 239-255, 2011

      62 MacBeth, A., "Exploring compassion : A meta-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self-compassion and psychopathology" 32 (32): 545-552, 2012

      63 Choi, H., "Examining differential effects of internal and external resources on counselor burnout symptoms in South Korea" 51 (51): 2-15, 2014

      64 Norcross, J. C., "Evidence-based therapy relationships : research conclusions and clinical practices" 48 (48): 98-, 2011

      65 Ciarrochi, J., "Emotional intelligence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mental health" 32 (32): 197-209, 2002

      66 Salovey, P., "Emotion, disclosure, & health" APA 125-154, 1995

      67 Lee, S. M., "Development and initial psychometrics of the Counselor Burnout Inventory" 40 (40): 142-154, 2007

      68 Maxwell, S. E., "Designing experiments and analyzing data: A model comparison perspective" Routledge 2017

      69 Warren, C. S., "Demographic and work-related correlates of job burnout in professional eating disorder treatment providers" 50 (50): 553-, 2013

      70 Bradley, N., "Creative approaches for promoting counselor self-care" 8 (8): 456-469, 2013

      71 Testa, D., "Contribution of mindfulness and emotional intelligence to burnout among counseling interns" 55 (55): 95-108, 2016

      72 Gilbert, P., "Compassionate mind training for people with high shame and selfcriticism: Overview and pilot study of a group therapy approach" 13 (13): 353-379, 2006

      73 Gilbert, P., "Compassion: Conceptualisations, research and use in psychotherapy" Routledge 2005

      74 Corey, M. S., "Becoming a helper" Brooks/Cole 2002

      75 Mayer, J. D., "An emerging understanding of the reflective(meta-)experience of mood" 27 (27): 970-978, 1994

      76 Browne, M. W.,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21 (21): 230-258, 1992

      77 Preacher, K. J., "Addressing moderated mediation hypotheses : Theory, methods, and prescriptions" 42 (42): 185-227, 2007

      78 Hayes, S. C.,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9

      79 Hammond, T. E., "A thematic inquiry into the burnout experience of Australian solo-practicing clinical psychologists" 8 : 1996-, 2018

      80 Yu, K., "A cross-cultural validation study on counselor burnout: A Korean sample" University of Arkansas 2007

      81 Council for Accreditation of Counseling & Related Educational Programs, "2016 CACREP standards" Council for Accreditation of Counseling & Related Educational Programs

      82 American Counseling Association, "2014 ACA code of ethics" American Counseling Associa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3-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2차)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9 1.89 2.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07 2.04 3.44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